● 게임리뷰: 기동전사 건담 SEED 데스티니 연합 VS 자프트 2 플러스 (PS2)
|
|
|||||||||||||||||||||||||||||||||||
|
||||||||||||||||||||||||||||||||||||
'기동전사 건담 SEED 연합 vs 자프트' 시리즈(이하 연합 vs 자프트)는 현재 일본에서 새로운 스타일의 대전 액션 게임이라는 평가를 받으며, 최고의 인기를 누리고 있는 게임 중 하나이다.
국내에서는 이런 인기에 대해 의문을 가질 지도 모르지만, 그것은 콘솔이나 PC가 아닌 게임 센터를 기반으로 인기가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몇 년간 게임 센터가 급속하게 줄어든 국내에서는 그래서 더더욱 이러한 인기를 실감할 수 없을 것이다.
건담, 그 중에서도 TV 애니메이션 시리즈 최신작인 건담 SEED라는 소재를 채택하였기 때문에 원작을 좋아하지 않는 사람이라면 다소 접하기 힘든 게임이 아닌가 하는 선입관을 가지게 되기 마련이지만, 이 게임은 캐릭터성을 제외하더라도 게임 자체의 게임성만으로 높은 완성도를 자랑하기 때문에 한번이라도 플레이를 해본 게이머라면 금새 빠져들 수 있는 게임이라고 감히 단언할 수 있다.
'기동전사 건담 SEED 데스티니 연합 vs 자프트 2 플러스'(이하 연합 vs 자프트 2)는 원래부터 아케이드를 기반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따로 스토리를 가지고 있지 않다. 기껏해야 원작에 등장하는 이야기가 짧게 펼쳐질 뿐이다. 그렇기 때문에 원작을 모르는 게이머라면 내용을 이해할 수 없는 게 당연한 일이다. 게임에 수록된 이야기만으로는 전체적인 내용을 파악하기 힘들 테니 말이다.
제작사도 이러한 사실을 잘 알고 있기 때문인지 연합 vs 자프트 2에서는 어정쩡하게 스토리를 보여 주기보다는 스토리에 대한 비중을 대폭 감소시켰다. 게임 제목의 마지막에 붙어 있는 '플러스'(P.L.U.S)가 스토리 모드를 나타내고 있는데, 굳이 스토리 모드라고 표현하지 않고 P.L.U.S라고 표기한 데는, 이렇듯 스토리에 대한 비중이 감소한 것이 원인이 아닐까 싶을 정도이다.
하지만 스토리의 비중이 줄어 들었다고 해서 스토리적인 요소를 완전히 무시한다는 뜻은 아니다. 원작을 즐겼던 게이머라면 충분히 해당 게임을 통해 원작의 내용을 다시 한번 되살릴 수 있다(원작에 등장하는 거의 모든 기체가 등장한다). P.L.U.S에 마련된 미션의 내용들은 시간이나 사건에 연관되는 것이 아니라, 상관도에 따라 이리저리 움직이기 때문에 스토리를 이해시키기보다는 단지 해당 미션에 주어진 조건을 마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상관도가 있다고 해도, 단지 적과 아군에 관한 구분만 있을 뿐 해당 캐릭터들간의 상호 관계를 알기는 쉽지 않다. 그리고 P.L.U.S에는 줄기에 해당하는 이벤트가 없으며, 가끔 등장하는 이벤트 CG는 스토리와 상관없이 보여 주기에 그치는 것이 다수이다. 이렇게 스토리의 비중이 적은 것이 아쉽기는 하지만, 무리하게 전달하기 보다는 원래부터 아케이드 성격이 강한 게임의 특성을 살려 미션제를 채택한 것은 적절한 판단이었다고 본다.
P.L.U.S 모드의 상관도는 캐릭터간의 호감도에 따라 거리가 멀어지거나 가까워지지만, 처음 보았을 때의 기대감과는 달리 게임 내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지는 않는다. 단지 캐릭터간의 관계를 이해시키는 역할에 그치며 크게 중요하지는 않지만, 호감도를 올리므로써 호감도가 최대치가 된 캐릭터를 직접 플레이 할 수 있게 되거나, 겔러리 모드의 데이터를 추가시키는 등의 특전은 마련되어 있다.
원작이 호평을 받았던 만큼 난이도 조정도 잘 되어 있는 편이며, 미션의 종류도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미션의 수도 상당하기 때문에 한 판, 한 판이 짧은 플레이 시간을 가지는 연합 vs 자프트 2의 플레이 시간을 늘려 주는 것이 마음에 든다. 이 외에 유저 인터페이스 측면에서도 크게 불편한 점을 느끼기 힘들기 때문에 여러가지 측면에서 만족스러운 모드라고 할 수 있다.
게임은 아케이드 판의 내용을 충실하게 이식하고 있다. 커다란 변화도 없고, 로딩 또한 그리 길지 않다(로딩 화면이 랜덤하게 변경되어 체감 시간은 적은 편이다). 그렇기 때문에 게임 센터에서 실력을 발휘하고 싶은 게이머라면 집에서 여유롭게 트레이닝이 가능한 PS2판의 등장을 환영할만 하다. 하지만 이식 자체에만 너무 충실하다는 점이 어떤 이들에게는 미묘하게 받아 들여질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게임에서 가장 아쉬운 점이라고 하면, 역시 한글화를 들 수 있다. 게임의 성격상 그다지 많은 분량의 대사가 들어가 있는 것도 아니고, 게임을 플레이 하는데도 크게 지장을 주는 것이 아니지만, 그래서 더욱 한글화가 안 된 것이 아쉽다. 또 P.L.U.S 모드에서는 미션의 클리어, 실패 조건을 잘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하기 때문에, 어이 없이 미션 수행에 실패하는 경우도 있다.
또 하나 아쉬운 점은 네트워크와 그래픽에 대한 것. 사실 이 게임은 2대 2 대전이 가장 큰 장점이라고 할 수 있지만 가정용이라는 특성상 2대 2 모드가 마련되어 있더라도 그 정도 수의 인원을 모으는 것은 쉽지 않다. PS3가 이미 등장한 마당에 PS2로 네트워크를 지원한다는 것은 조금 무리일지도 모르겠지만, 어느 정도의 제한선 안에서 가능하게 했더라면 좋지 않았을까 싶다.
그래픽적인 부분은 화면 전환이 빠르다는 게임의 특성 상 크게 신경 쓰이지는 않지만 역시 '조금만 더 좋았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마치면서
비록 이 게임의 진가는 대전 모드를 통해 드러나기는 하지만, 이번에 등장한 PS2 버전은 가정용 오리지널 요소도 추가되었고, 전작에 비해 볼륨도 상당히 늘어난 만큼 로봇 액션 게임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구입해도 후회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만큼 이 게임은 잘 만들어진 게임이라고 할 수 있다. 단지 연말에 쏟아져 나오는 대작들을 이겨낼 수 있는가 하는 것은 별개의 문제이지만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