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개성·고음질 지닌 고급 헤드폰 10선

미디어잇
2011.11.17. 12:05:24
조회 수
44,028
16
댓글 수
10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국내 헤드폰 시장 규모가 날로 커지고 있다.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음향 기기들의 보급률이 높아지면서 안정된 음질과 편안한 착용감을 추구하는 소비자들이 많아졌기 때문이다. 그러다 보니 헤드폰 시장은 그 어느 때보다 치열한 경쟁을 보이고 있다.

 

헤드폰은 이어폰보다 비싼 만큼 음질과 서비스, 디자인, 착용감 등을 꼼꼼히 따져보고 구매한다. 하지만 종류도, 형태도, 가격도 제각각이어서 어떤 헤드폰이 나에게 어울릴지 쉽게 알 수 없다.

 

가격부터 디자인, 기능 등을 고민하고 있는 소비자들을 위해 현재 헤드폰 시장에서 잘 나가는 10만원~40만원대 제품 10종을 모아봤다. 음질은 기본, 독특한 디자인과 신기술이 적용된 제품들을 살펴보자.

 

※ 헤드폰 소비자 가격은 발매 기준이며, 실 판매가는 그보다 낮을 수 있음

 

크기 작거나 소음차단 효과 뛰어난 아웃도어형 헤드폰

아웃도어 휴대폰의 미덕은 가벼운 무게, 안락한 착용감, 외부 소음 차단 등에 있다. 특히 베이어다이나믹 T50P와 보스 OE2는 초소형 설계가 돋보이는 제품으로 휴대성이 좋으며, 소니 MDR-PQ1, 닥터 드레 솔로 HD, 루다크리스 SL150 같은 제품은 화려한 디자인을 자랑하고픈 제품.

 

이 밖에 페니왕의 2001 오버이어 DJ는 앰프 내장 설계로 야외에서도 초강력 저음을 즐길 수 있고 루다크리스 SL300은 노이즈 캔슬링 기능을 지원해 시끄러운 곳에서도 음악에 몰입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테슬라 드라이버의 위력을 체험할 수 있는 고급 입문기

베이어다이나믹 T50P

 

 

젠하이저와 함께 독일을 대표하는 브랜드 베이어다이나믹의 T50P도 눈여겨 볼 만한 제품이다. T 시리즈의 막내 격인 T50P지만 이니셜 ‘T’는 테슬라 코일, 라디오, 교류전류 발명가로 유명한 니콜라스 테슬라의 이름을 딴 테슬라 드라이버를 채택했다는 뜻이다. 테슬라 드라이버는 기존 네오디뮴 마그넷보다 자속밀도가 높아 반응 속도가 빠르고 해상력이 높다.

 

베이어다이나믹 헤드폰의 플래그십 모델이자 테슬라 드라이버를 사용한 첫 제품인 ‘T1’의 저항이 600옴이어서 포터블 기기에 사용할 수 없었는데 소비자들의 요구를 수용하고 보급형으로 완성한 제품이 바로 T50P다. T50P의 저항은 32옴. 게다가 크기가 작고 가벼워 야외에서 사용하기 무난하다. 알루미늄과 카본 재질을 사용한 묵직한 이어패드는 고급스럽고 안정감이 느껴진다. 장르 구분 없이 잘 울려주는 올라운드 형이다. 소비자 가격은 39만 8000원이다.  

 

 

노이즈 캔슬링 갖춘 신예 고급기

소울 바이 루다크리스 SL300  

 

 

‘소울 바이 루다크리스(Soul by Ludacris)’의 ‘SL300’은 노이즈 캔슬링 기술을 탑재해 원하지 않는 사운드와 외부의 소음을 완벽하게 제거해 준다. 강력한 저음과 깔끔한 중고음의 조화가 눈에 띈다. 탈부착식 케이블로 일반 케이블과 아이폰용 리모트가 달린 것을 각각 교체할 수 있도록 했다. 사용 시 양쪽 심볼에 라이트가 켜지는 것도 인상적. AAA 건전지 2개를 사용하며, 배터리 사용 후에도 수동 모드에서 플레이가 가능하다. 색상은 블랙과 골드 두 종류이며 소비자 가격은 44만 9000원이다.

 

 

연예인에게 인기 있는 저음 지향 헤드폰

비츠 바이 닥터 드레 솔로 HD

 

 

‘비츠 바이 닥터 드레(Beats by Dr.Dre)’의 ‘솔로 HD (Solo HD)’는 중저음을 잘 잡아내는 베이스 음향이 특징이다. 블랙아이드피스, 에미넴, 타이거 JK 등 스타들이 애용해 ‘연예인 헤드폰’으로 알려진 헤드폰. 리모컨으로 볼륨 조절과 트랙 이동이 가능하다. 케이블에는 컨트롤 토크(Control Talk) 기능이 있어 음량 조절과 전화통화가 가능하다. 스마트폰으로 항상 음악을 즐겨 듣는다면 유용한 기능이다. 색상은 블랙, 화이트, 레드, 스페셜 옐로우 에디션까지 총 4종류가 있다. 소비자 가격은 42만 9000원이다.

 

 

어쿠스틱 사운드를 맛볼 수 있는 프리미엄 헤드폰

페니왕 2001 오버이어 DJ  

 

 

‘페니왕(Fannywang)’의 ‘2001 오버이어 DJ (Over Ear DJ)’는 파워 앰프 기능을 탑재해 어쿠스틱 사운드를 살려준다. AAA 배터리로 작동되는 베이스 부스트 기능을 통해 6dB의 풍부한 베이스를 들려준다. 외관상으로는 이전 모델인 ‘온이어(On Ear)’와 비슷하다. 색상은 블랙/레드, 블랙/화이트, 화이트/크롬, 화이트/레드가 있다. 소비자 가격은 39만 5000원이다.

 

 

젊은층을 겨냥한 소니의 과감한 디자인 시도

소니 MDR-PQ1

 

 

‘소니(Sony)’가 출시한 헤드폰 MDR-PQ1은 밋밋한 단색 디자인에서 벗어나 네온 핑크 컬러를 집어넣고 플랫 케이블과 메시 패브릭 소재 이어패드, 잠금장치를 통한 길이조절 등 톡톡 튀는 디자인을 적용한 제품이다. MDR-PQ1은 코드 분리가 가능하고 단선을 최소화하기 위한 고무 타입 선을 적용해 활동적인 소비자들을 배려했다. 잭 플러그는 ‘ㄱ’자 형태로 제작돼 기기와 연결했을 때 케이블이 돌출되지 않도록 했다. 전반적으로 아웃도어용으로 만든 제품이며 40mm 대형 드라이버 유닛을 탑재하고 있어 강한 비트에 장점이 있다. 색상은 블랙, 가격은 12만 9000원이다.

 

 

 

초소형 헤드폰으로 초강력 사운드 재생

보스 OE2/OE2i

 

 

미국의 홈시어터, 스피커 전문 브랜드 보스(BOSE)는 노이즈 캔슬링 헤드폰(Quiet Comfort)과 귀를 감싸는 AE(Around Ear), 귀에 꼭 맞는 소형 헤드폰 OE(On Ear)의 세 가지 타입이 있다. 그 중 귀에 꼭 맞는 OE의 신형 모델인 OE2가 새롭게 출시됐다. OE2는 일반 헤드폰보다 작은 전작에서 한층 더 작아진 초소형 헤드폰이다. 게다가 검은색 일색이던 전작과 달리 화이트 컬러로도 발매돼 눈길을 끈다.

 

OE2는 크기가 작아 장시간 착용 시 머리를 압박할 듯한데 이어패드에 푹신한 메모리폼을 채택해 장시간 착용해도 편리하고 큰 움직임에도 쉽게 벗겨지지 않는다. 오른손 움직임에 방해 받지 않도록 왼쪽 한 군데에만 케이블이 연결되며 케이블은 탈부착이 가능하고 잘 꼬이지 않는다. 사운드는 해상력 중시형이 아니고 풍부한 저음과 서라운드감이 강조된 어쿠스틱 헤드폰이다. 기본형인 OE2는 18만 7000원이며 아이폰/아이팟 터치/아이패드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OE2i는 마이크와 컨트롤로가 추가돼 통화 및 볼륨 조절, 선곡이 가능하다. OE2i는 24만 2000원이다.

 

 

여성들에게 인기 있는 헤드폰

소울 바이 루다크리스 SL150

 

 

‘소울 바이 루다크리스(Soul by Ludacris)’의 ‘SL150’은 고급 드라이버와 전자회로 설계로 최상의 베이스와 깨끗한 중음, 고음을 재현한다. 정확한 오디오 밸런스도 이 제품만의 강점. 귀를 완벽하게 덮어줘 편안한 착용감을 주는 서큐머럴(Circum-aural) 디자인이다. 간편하고 쉬운 옵션과 매끈한 디자인으로 여성들에게도 인기가 있다. 색상은 블랙과 화이트 두 가지. 소비자 가격은 35만 9,000원이다.

 

오픈형이거나 별도 앰프 필요한 인도어형 헤드폰

외부에서 사용할 때는 타인을 위해 밀폐형 헤드폰을 선택할 수밖에 없지만 실내에서 사용한다면 음악 소리가 밖으로 약간 새어나가는 오픈형 헤드폰을 선택할 수 있다. 밀폐형 헤드폰은 유닛에서 방출되는 소리 중 일부가 이어패드 에 머물러 정재파를 만들기도 하지만 오픈형 헤드폰은 불필요한 소리를 밖으로 빼냄으로써 소리의 혼탁함을 줄이고 스테이지감을 잘 형성한다.

 

아래 소개하는 헤드폰 중 Form 2와 HD598은 비교적 저렴한 가격에 하이엔드 지향의 소리를 들을 수 있는 제품이며, RS170은 무선의 강점과 고음질을 함께 느낄 수 있는 실내 전용 모델이다.

 

뉴욕현대미술관에서 전시되었던 헤드폰’

뱅앤올룹슨 Form 2

 

 

덴마크의 명품 오디오 & AV 브랜드 ‘뱅앤올룹슨(Bang&Olufsen, B&O)은 혁신적인 디자인과 음향설계’가 돋보이는 제품이지만 가격 역시 그에 상응해 쉽게 구입할 수 있는 제품이 아니다. 그렇지만 B&O의 헤드폰과 이어폰은 비교적 저렴한데 이어폰은 ‘나는 가수다’의 박정현이 사용했던 A8이 있고 헤드폰은 뉴욕 현대미술관에 전시된 폼 2(Form 2)가 있다.

 

비교적 소형인 폼 2는 무게가 가벼워 착용감이 뛰어나다. 반 개방형 구조로 돼 있어 소음 차단 효과가 우수하지 않지만 주변 소음을 들어야 하는 경우라면 유용하다. 사운드는 높은 해상력을 바탕으로 현악기 음 재생에 특히 우수하다. 저음의 빈약함은 요즘 제품들과 상반되지만 클래식 감상에는 좀 더 우수한 음질을 제공한다. 최근 새로운 색상이 추가돼 블랙, 레드, 오렌지, 옐로우, 화이트 총 5종류에 이른다. 소비자 가격은 22만원.

 

 

독특한 색상과 놀라운 음질의 조화

젠하이저 HD598

 

 

2010년 말에 공개된 젠하이저의 보급형 헤드폰. 젠하이저의 폭넓은 라인업에 비췄을 때 보급형이지만 HD500 시리즈는 비교적 중급 제품이라 부를 만하다. 무엇보다 젠하이저로서는 다분히 실험적인 아이보리 색상 헤어밴드와 나무 장식, 브라운 계통의 벨루어 천으로 이어패드를 덮었다. 사용하다 보면 때가 탈 수밖에 없겠지만 이 부조화스러운 색 조합이 제법 멋스럽다. 헤드폰 형태는 귀 전체를 덮는 서큐머럴 타입이며, 오픈형으로 소리가 외부로 새어나간다. 바깥에서 사용하기에는 불편하지만 젠하이저 답지 않은 과감한 디자인과 그에 상응하는 음질은 음악 감상용으로 제격이다.

 

재생 주파수 대역은 15Hz~28kHz로 넓으며 초저역 재생음이 아쉽지만 상당한 수준의 저음의 깊이감과 중고음의 안정된 사운드를 느낄 수 있다. HD600과 소리 차이는 미비하지만 가격 차이가 크므로 젠하이저의 밸런스 중시형 헤드폰을 써보고자 한다면 추천할 만한 제품이다. 참고로, 기본 헤드폰 잭 구경이 6.35mm이고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3.5mm 변환 젠더가 포함된 제품이므로 포터블 기기에 사용할 수 있지만 기본적으로 헤드폰 앰프에 사용하는 것이 좋다. 소비자 가격은 39만원이다.

 

 

무선으로 즐기는 하이파이 헤드폰

젠하이저 RS170

 

 

 

‘젠하이저(sennheiser)’의 무선헤드폰 ‘RS170’은 클리어 기술을 이용하여 비압축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방식으로 전송해 고음질 사운드를 들려준다. 비슷한 모델로 RS160, RS180이 있지만 RS160은 재생 모드 중 ‘베이스’와 ‘서라운드’가 빠졌고 RS180은 오픈형으로 주위를 신경 써야 한다.

 

밀폐형 제품인 RS170은 거치대를 음악 플레이어와 연결하고 헤드폰에 건전지를 넣어 음악 감상을 하면 된다. 최대 80m 거리에서도 거치대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최대 4개 헤드폰으로 동시에 음악을 들을 수 있기 때문에 집 안에서 사용하기 좋다. AA A건전지 2개를 사용하며 체감 사용 시간은 20시간이 넘는다. 색상은 블랙 단 한 가지. 소비자 가격은 43만 9000원이다.

 

미디어잇 이상훈 기자 hifidelity@it.co.kr
상품전문 뉴스채널 <미디어잇(www.it.co.kr)>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최신 구매가이드 전체 둘러보기
1/1
비슷한데 왜 두 배? '세탁건조기'계의 끝판왕 '삼성 인피니티 AI 콤보' [이 구역의 미친 X] 다나와
부담 없는 가격에 강력한 성능으로 AAA 게임도 거뜬 '인텔 코어 울트라5 245K' (1) 미디어픽
[친절한 IT] 라이젠 + 라데온 PC조립 '게임 가이드' 최신판 (ver. 2510) 위클리포스트
1인 가구를 위한 최고의 밥을 찾아라! (1) 다나와
뭐가 다른거지? 용도별 HDD 시리즈 추천 가이드 다나와
가성비와 성능의 황금비율… 다나와가 뽑은 10월 이달의 추천 데스크톱PC 다나와
장비병 다나와! [캠핑 난로편] (5) 동영상 있음 다나와
게이밍부터 사무까지, 로지텍 마우스는 오늘도 지구를 정복합니다! [라인업을 보자] (5) 다나와
장비병 다나와! [PC부품편] (6) 동영상 있음 다나와
304? 430? 스테인리스 제대로 알고 사자! (11) 다나와
애플, M5 칩 탑재한 ‘아이패드 프로 M5’ 출시 임박! 예상 스펙은? (4) 다나와
5만 원부터 100만 원까지, 대학생 추석 용돈 테크템 15종 총정리 (9) 다나와
햅쌀은 지금뿐! 추석 즈음에 꼭 알아야 할 햅쌀 상식 (5) 다나와
게이머를 위한 완성형 PC '다나와 10월의 게임용 표준PC' (1) 다나와
추석 연휴, 집콕 게임의 정답은? '다나와 10월의 게임용 표준PC' (1) 다나와
학업도 게임도 끊김 없이 '다나와 10월의 게임용 표준PC' (1) 다나와
게임부터 AI 까지 모두 가능한 최적의 '가성비 PC' 구성은? 미디어픽
'갤럭시 GALAX 지포스 RTX 5060 WHITE OC D7 8GB'로 알아보는 NVIDIA DLSS 미디어픽
통돌이=구식? 지금은 편의·세탁력 다 잡은 신형 통돌이 시대! [이젠 바꿨으면 좋겠네] (10) 다나와
게이밍부터 AI·친환경까지... '다나와 10월 표준 노트북' 다나와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