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의 감동을 4K UHD로 생생하게 느끼려면?
<지상파 UHD 방송 수신 방법 및 준비사항 보러가기>
지난 2017년 5월 31일 세계 최초 지상파 UHD 방송이 시작된 후 부족한 콘텐츠로 인해 지상파 UHD 방송을 일부러 찾아 본 시청자는 많지 않았을 것이다.
하지만 2018년 2월 평창 동계올림픽이 지상파 UHD 방송을 통해 중계될 예정이기에 그동안 4K UHD 콘텐츠에 대한 목마름을 어느 정도 해결해 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렇다면 평창 동계올림픽을 지상파 UHD 방송으로 시청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대부분의 시청자들의 생각은 당연히 지상파 UHD 방송을 직접 수신할 수 있는 4K UHD TV를 먼저 생각할 것이다. 하지만 4K UHD TV가 있어도 지역별, 거주형태별로 지상파 UHD 방송을 수신할 수 없거나 수신하더라도 수신율이 낮을 경우 시청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아래 필요 사항을 꼭 확인하도록 하자.
※1. 지상파 UHD 방송 수신 가능 지역 확인! |
2017년 5월부터 시작된 지상파 UHD 방송은 수도권을 시작으로 2017년 12월 말까지 전국 5개 광역시인 대전, 대구, 부산, 울산, 광주와 평창 동계올림픽 개최지인 강원권 지역까지 확대되었으나 그 외 지역은 아직 수신이 안되므로 본인이 거주하고 있는 지역이 지상파 UHD 방송 수신 가능 지역인지 확인해야 한다.
|
※2. 지상파 UHD 방송 수신 가능 4K UHD TV! |
위에서 잠깐 언급했던 내용으로 평창 동계올림픽을 지상파 UHD 방송으로 시청하기 위해 지상파 UHD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UHD TV가 필요하다. 우리나라의 경우 미국식인 ATSC 3.0 규격을 채택하여 해당 규격을 지원하는 4K UHD TV로만 시청이 가능한데 현재 ATSC 3.0 규격을 지원하는 제품은 LG전자와 삼성전자의 2017년 3월 이후 출시된 UHD TV만 해당된다. |
※3. 지상파 UHD 방송 수신을 위한 UHD 안테나 선택법! |
지상파 UHD 방송 수신이 가능한 4K UHD TV가 있어도 전파 수신율이 낮을 경우 시청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UHD 방송 수신을 위해 470~806MHz의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광대역 안테나가 필요하다. |
영상음향CM 이병석
(c)가격비교를 넘어 가치비교로, 다나와(www.danaw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