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주관이 100%로 들어간 복사용지 가이드

다나와
2018.02.28. 16:26:14
조회 수
25,917
1
댓글 수
3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복사용지는 우리 주변에서 뗄레야 뗄 수 없는 관계에 있는 물건이다. 사무실에서 또 가정집에서 흔히 볼 수 있고 자주 사용하기 때문이다. 모두 같은 모양에 같은 종이라고? NO! 복사용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복사용지 선택하는 방법

1. 용지 규격

복사용지를 고를 때, 기본이 되는 선택사항이 바로 용지 규격이다. 우리가 흔하게 접하는 A4용지와 같은 용지 규격은 국제 표준화 기구인 ISO를 따른다. 어떤 사이즈(크기)의 복사용지를 구매할 것인가? 아래 사이즈를 보고 정해보자.

 

사이즈

크기(mm)

사이즈

크기(mm)

A1

 594 x 841

B1

728 x 1030 

A2

 420 x 594

B2

515 x 728 

A3

 297 x 420

B3

364 x 515 

A4

 210 x 297

B4

 257 x 364

A5

 148 x 210

B5

182 x 257 

[복사용지 규격]

 

다들 아는 것처럼 A4용지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A3와 B4용지 또한 복사용도로 자주 사용된다. 간혹 출판인쇄용 크기인 4절지나 8절지와 비교하는 경우가 있는데, 정확하게 A4사이즈와 같은 값은 없다. 그러나 A4용지(210 x 297)사이즈는 16절지(197 x 272)와 유사하고, B4용지(257 x 364)는 8절지(272 x 394)와 유사하다.

 

2. 용지 평량

용지 규격을 골랐다면 그 다음 순위로 보아야할 것이 바로 용지 평량이다. 평량이라는 단어가 생소할 수도 있겠으나 쉽게말해 종이의 무게 개념이다. 인쇄 용지의 비교단위로 단위는 g/㎡ 이다. 종이가 1㎡일때의 무게를 g 단위로 표기 하는데, 이 수치가 클수록 종이가 튼튼하고 촉감이 더 좋다.

 

 

 

그렇다고 해서 종이의 평량이 높다고 무조건 좋은 것은 아니고, 용도에 맞는 용지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무조건 고평량의 용지를 사용할 경우 종이가 너무 뻣뻣하여 복사기나 프린터의 급지 롤러에 부담을 줄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프린터가 지원하는 범위 내의 제품을 사용하여야 한다. 일반적인 복사용지는 70~80g/㎡ 의 종이를 추천한다.

 

 

★브랜드별 복사용지 점유율

 

 

[다나와 리서치 기준 18년도 판매량 데이터]

 

복사용지를 판매하는 유명한 브랜드는 더블에이, 한솔제지, 한국제지, HP, 삼성물산 5개로 꼽을 수 있다. 위의 그래프를 보면 더블에이 브랜드가 36%로 1위를 차지하였고, 그 다음으로 한솔제지(20%), 한국제지(19%)가 뒤를 이었다. 가장 인기가 많은 이 3개의 제조사 제품을 비교해보자.

 

★주관 100% 브랜드별 비교

우선 비교를 할 제품을 소개한다. 다나와 인기브랜드의 대표적인 제품이다.

왼쪽부터 차례로 한국제지 밀크 복사용지 A4 75g, 더블에이 복사용지 A4 80g, 한솔제지 라인프렌즈 복사용지 A4 80g이다. 블라인드 테스트로 직접 그 성능을 비교해보았다. 이는 다나와 직원들의 주관적인 평가임으로 사람에 따라 달리 느낄 수는 있다.

 

 

 

  

  

  

[한국제지 밀크 복사용지

A4 75g 2500매]

[더블에이 복사용지

A4 80g 2500매]

[한솔제지 라인프렌즈 복사용지

A4 80g 2500매]

 

1. 가격비교

우선 가격적인 측면으로 보았을 때에는 2500매 기준, 더블에이 > 한국제지 > 한솔제지 순이었다. 가격변동은 생길 수 있으나, 보통 위 3가지 중에서는 한솔제지 복사용지 80g를 가장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다.

 

2. 두께감 및 촉감

두께감을 비교해보았을 때, 평량 75g인 한국제지 제품이 위 두가지 상품보다는 얇게 느껴졌다. 촉감 또한 상대적으로 거친 느낌이었다. 주목해본 것이 더블에이 80g과 한솔제지 80g의 두께감 및 촉감 차이였다. 이 두 브랜드는 같은 평량이었지만, 많은 사람들이 더블에이 80g의 두께감이 더 톡톡하고 더 빳빳한 촉감을 준다는 평을 내려주었다. 하여 두께감(촉감)은 더블에이 > 한솔제지 > 한국제지 순이다.

 

3. 잉크번짐(필기용 / 인쇄용)

우선 필기용도로 비교하기 위해, 동일한 볼펜으로 필기한 뒤 바로 손으로 문질러보았다. 한국제지의 경우 잉크번짐이 심하였고, 더블에이와 한국제지는 그 차이가 선명하지는 않아, 의견에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대다수의 사람들이 한솔제지의 상품을 더 높게(잉크가 안번진다) 평가해주었다. 하여 필기용도로 잉크 번짐이 심하지 않은 것 브랜드는 한솔제지 > 더블에이 > 한국제지 이다.

 

   

[왼쪽부터 한국제지, 더블에이, 한솔제지]

 

다음으로 인쇄용도로 비교하기 위해, 인쇄 후 손으로 문질러보았다. 인쇄용 잉크는 모두 번짐이 없었고, 인쇄가 선명하게 보이는 것은 더블에이와 한솔제지가 우월했다. 인쇄가 매끈하게 되는 것은 더블에이, 내용이 선명하게 보이는 것이 한솔제지였다. 하여 순위를 매긴다면 인쇄용 잉크번짐으로는 모두 같은 순위이다. 중요 문서를 어디에 프린트하고 싶냐는 답변으로는 더블에이 > 한솔제지 > 한국제지 순이었다.

 

4. 색상의 선명도

색상(흰)의 차이는 시안으로 보았을 때, 더블에이와 한솔제지가 비슷한 색감이었지만 한솔제지의 색감을 더 희고 선명하게 보았다. 종이 2개를 놓고 비교하자면 더블에이는 약간의 미색을 띄었다. 한국제지의 색감은 얇고 거친 탓인지 제일 탁한 느낌을 주었다. 색상의 선명도는  한솔제지 > 더블에이 > 한국제지 순이다.

 

 

[주황색: 한국제지, 파랑색: 한솔제지, 빨간색: 더블에이]

 

5. 전체적인 코멘트

한국제지 밀크 A4 75g

더블에이 A4 80g

한솔제지 A4 80g

가장 얇고 저렴하여, 부담없이 필기용도로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또 중요 보관 문서용이 아닌 자주 프린트를 하는 곳에 추천하고 싶다.

제일 두껍고 톡톡하여 세가지 중 가장 고급스러운 느낌을 주었다. 필기를 해보았을 때, 가장 부드러운 필기감이 있지만 미끄러지는 느낌이 있어 필기용도로 사용하는 것보다 중요 문서의 프린트나 보관용이 적당하다고 판단된다. 인쇄를 직접 해보았을 때에도 매끄러운 느낌을 받아 보관하기에 좋을 것 같다.

잉크번짐이 가장 적고 까끌거리는 느낌은 없으나 글씨가 밀려내려가지 않아 필기용도로 사용되도 괜찮을 것같다. 인쇄시에는 가장 하얀 색상 덕에 내용물이 선명하게 보인다.

 

용도에 따라 또 가격적인 메리트에 따라 복사용지를 선택한다면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는 브랜드를 고를 수 있을 것같다. 이상 주관이 100% 들어간 복사용지 비교였다.

 

 

 

사무기기CM 이예은 lyy1994@danawa.com
(c)가격비교를 넘어 가치비교로, 다나와(www.danawa.com)
세상에 모든 특가정보를 한눈에! [입소문쇼핑]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저작권 안내
크리에이트 커먼즈 저작자 표시 필수 상업성 이용 불가 컨텐츠 변경 불가
저작권 안내
저작권 표시 필수
상업성 이용 불가
컨텐츠 변경 불가
* 본 내용은 위의 조건을 충족할 시, 별도의 허가 없이 사용이 가능합니다.
최신 구매가이드 전체 둘러보기
1/1
감성인가 자유인가? 유선 vs 무선 이어폰 [라이벌 열전] (1) 다나와
25년형 올인원 세탁건조기 이렇게 달라졌습니다! (1) 다나와
인텔 울트라 프로세서, 영상 콘텐츠 제작시 체감성능은 어느 정도? (1) 위클리포스트
[무엇이든 물어보살] 브랜드별 메인보드 특징 A~Z (2) 위클리포스트
땀으로 바닥 닦는 시대 끝! 형님 누님, 이제 물걸레질은 기계한테 맡겨요 (13) 다나와
소중한 그래픽카드를 지키는 방법, 적절한 지지대가 답이다~! (21) 다나와
러닝화 고민은 여기서 종결! 2025 러닝화 브랜드별 라인업 총정리 (26) 다나와
벌크, 비정품 CPU의 유혹, 합리적 소비도 정품을 선택해야 하는 이유 (5) 케이벤치
[겜ㅊㅊ] 좀비 세상에서 살아남는 스토리 ‘갓겜’ 5선 (5) 게임메카
2025년 작업용 모니터 뭐가 살만한가 다나와를 둘러보자 (9) 동영상 있음 Hakbong Kwon
LG에어컨 900개 모델 정리해서 엑기스만 담았습니다. 에어컨 추천 2025 최신판! (2) 동영상 있음 노써치
가격까지 저렴해진 로봇청소기, 이젠 그 누구도 막을 수 없다! [이젠 바꿨으면 좋겠네] (17) 다나와
게임부터 AI까지 모두 가능한 전천후 게이밍PC '다나와 5월의 게임용 표준PC' (9) 다나와
최신 게임하면 딱 떠오르는 게이밍PC '다나와 5월의 게임용 표준PC' (4) 다나와
가정의 달에 어울리는 가성비 게이밍PC '다나와 5월의 게임용 표준PC' (6) 다나와
최신 트렌드와 실속 겸비한 구성 주목... '다나와 5월, 이달의 추천 데스크톱PC' (6) 다나와
게이밍 환경을 위한 메인스트림 라라랜드 PC 구성, 어느정도 돌아갈까? R5 9600X+RX 9070 (6) 케이벤치
티포스가 통하면 시장이 움직인다 '팀그룹' 한국 메모리 시장서 존재감 각인 (2) 케이벤치
[겜ㅊㅊ] 스팀 전쟁게임 축제 속 다크호스 신작 5선 (5) 게임메카
상반기 최고의 화제작 '인조이'를 위한 최적의 그래픽카드는? (4) 미디어픽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