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인의 필수 영양제로 자리 잡은 오메가3
동물성 오메가3는 해양 오염으로 중금속에 노출될 위험이 있어 먹이 사슬 중 가장 낮은 곳에 있는 해조류에서 추출한 식물성 오메가3를 먹어야 한다는 말이 있다. 그리고 어쩐지 식물성이 더 안전하고 좋을 것만 같은 막연한 생각도 든다. 그렇다면 정말로 무조건 식물성 오메가3가 좋은 것인지 알아보도록 하자.
오메가3라는 명칭은 분자적인 구조에서 기인한 것이고, 공식 명칭은 EPA및 DHA 함유 유지이다.
EPA |
DHA |
||||||
혈중 중성지방의 합성 방해 |
뇌, 신경 조직, 망막의 중요 구성 성분 |
||||||
각각 구성 성분의 효능을 바탕으로 식약처에서 인증받은 오메가3의 기능성은 다음과 같다.
→혈중 중성지질 개선∙혈행 개선∙기억력 개선∙건조한 눈을 개선하여 눈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음
동물성 오메가3에는 EPA와 DHA가 고루 들어 있지만, 식물성 오메가3의 경우 DHA가 주로 들어 있다. 체내에서 필요에 따라 다른 성분으로 전환(EPA→DHA 또는 DHA→EPA)되기도 하지만 그 비율은 매우 적다. 따라서 기억력 개선이나 눈 건강에 더 중점을 둔다면 식물성 오메가3가 더 나은 선택일 수 있지만, 전반적인 오메가 3의 효능(특히, 혈관 건강)을 원하는 경우 동물성 오메가3를 더 추천한다. 다만, 식물성은 동물성에 비해 오메가3 특유의 비린 냄새가 적으니 구매에 참고하자.
동물성 |
식물성 |
|||||||
장점 |
EPA+DHA 고르게 함유 |
식물성 성분 |
||||||
단점 |
해양 오염 물질(중금속 등)에 대한 우려 |
비교적 고가이고, 함량이 낮음 | ||||||
추천대상 | 혈관 건강을 위해 오메가3는 드시는 분 | 식물성 성분을 원하는 분 생선 냄새에 민감한 분 |
||||||
현재 식약처에서는 납(mg/kg) : 3.0 이하, 카드뮴(mg/kg) : 1.0 이하, 수은(mg/kg) : 0.5 이하로 오메가3의 중금속을 엄격하게 관리하고 있다.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제품들은 해당 시험을 통과한 것으로 안전하다고 할 수 있다. 그래도 중금속 문제가 걱정된다면, 먹이사슬 아래에 위치한 소형 어류에서 추출한 동물성 오메가3 제품을 고르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다.
동물성과 식물성 중 어느 것이 더 좋다고 단정지어 말할 수는 없지만, 개인의 선호도와 기대하는 효과 등을 고려하여 선택하자.
(c)가격비교를 넘어 가치비교로, 다나와(www.danaw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