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철 난방비에 대한 부담을 줄이기 위하여 가정용 보조 난방 가전의 사용이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다양한 가정용 보조 난방 가전 중 전기히터는 열을 직접적으로 쬐는 형식의 난방 가전으로, 짧은 시간 내에 난방 효과를 느낄 수 있고 비교적 제품 가격과 소비전력이 낮아 많은 소비자가 사용하는 가장 대중적인 보조 난방 가전입니다.
그러나 전기히터는 열이 발생하는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며, 가열온도가 높아 화상과 화재의 위험성이 크기 때문에 전기히터를 안전하게 사용하는 방법 및 보관하는 방법을 확실하게 숙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전기히터 안전하게 사용하는 방법]
1. 화재 위험이 있는 물건 등 주변 정리를 하고 사용.
전기히터의 경우 적외선 복사열전달을 이용하여 난방을 함에 따라 구조상 열이 발생하는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며, 열선의 가열온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근접해 있을 시 화재와 화상의 위험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전기히터를 사용하기 전 주위 전방 1m 내에 옷이나, 화재 위험이 있는 물건이 있는지 확인하고, 가연성/인화성 물질을 가까이 두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또한, 전기히터 작동 시 너무 가까이에 있지 않도록 하여 화상의 위험을 방지하여야 합니다.
2. 큰 소비전력으로 인한, 문어발 콘센트로 사용 금지.
전기히터는 소비전력이 큰 기기 중 하나입니다. 콘센트는 설정된 전류와 전압값에 따라 최대허용전력이 있어, 연결 기기가 최대허용전력 이상의 전력을 소비할 경우 전선에 과도한 부하가 생겨 화재의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전기히터와 같이 큰 소비전력을 갖는 기기를 연결할 때는 최대허용전력에 충분한 여유가 있는 콘센트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또한, 콘센트 연결 시 연결 부위에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있으면 화재가 날 수 있어 콘센트 연결 전에 이를 확인하고 연결해야 안전합니다.
3. 장시간 사용 금지.
전기히터의 경우 작동 시 열선의 온도가 약 300도 이상으로 가열되기 때문에 높은 온도로 장시간 사용할 시 과열로 인하여 열선이 합선과 단선이 발생하여 화재의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높은 온도로 장시간 사용을 자제하고, 1~2시간의 10분씩 전원을 차단하여 열선의 열을 식혀주는 것이 좋으며, 외출 시에는 반드시 전원 코드를 뽑아 공급되는 전류를 완전히 차단해 화재의 위험을 미리 방지하도록 한다.
4. 구입 전 확인 사항.
- KC 인증마크 : 기기의 안전에 대한 국가인증마크, 엄격한 인증 심사를 통하여 기준에 부합할 때만 부여됩니다.
- 전도 안전 스위치 : 기기가 넘어져 일어날 수 있는 화재를 방지하기 위해 전원을 차단하는 역할입니다.
- 과열방지장치 : 온도 감지 장치를 통하여 기기가 일정 온도 이상에 도달하면 기기의 전원을 차단해 열선 합선 및 기기 과열에 대한 방지의 역할입니다.
- 자동전원차단/타이머 :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자동으로 전원을 차단해 장시간 사용에 의한 기기의 과열에 대한 방지의 역할입니다.
[전기히터 안전하게 보관하는 방법]
완전히 식힌 상태의 기기를 비닐 혹은 종이박스에 포장하여 되도록 습기가 적은 장소에 보관합니다.
- 주의할 점1. 먼지
먼지의 구성요소는 황산염, 질산염, 유기 탄소화합물로 모두 전해질입니다. 이때 전기히터는 열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열선에 전기가 흐르기 때문에 먼지가 열 발생장치에 쌓여 있을 때 화재의 위험이 더욱 커집니다. 따라서 장기간 보관할 시 먼지가 열 발생장치에 부착되지 않도록 기기를 포장해야 합니다.
- 주의할 점2. 습기
열 발생장치는 열선에 코일이 감겨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이때 습기와 금속인 코일이 접촉하면 쉽게 녹슬게 되기 때문에 이는 고장의 원인이 됩니다. 따라서 되도록이면 습기가 적은 장소에 보관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