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파가 잦은 겨울철, 보일러로만 실내 온도를 조절 하다 보면 난방비 폭탄을 맞을 때가 많습니다. 이러한 난방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서 전기히터, 온풍기, 컨벡터 등의 보조 난방기구를 구매하는 소비자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런 보조 난방기구의 소비전력은 큰 편으로 잘못 사용하였다가 더 많은 난방비가 소요될 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적은 소비전력의 난방기구를 사용한다면 기대하는 난방 효과를 얻지 못할 수 있습니다.
전기를 사용하는 난방기구의 경우, 전기에너지가 열에너지로 변화하는 원리로, 소비전력의 양이 곧 생성되는 열의 양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용하고자 하는 용도에 맞게 적절한 소비전력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난방기기별 사용 용도와 소비전력]
종류 |
용도 |
소비전력 |
전기히터 |
근접한 거리에서 빠르게 난방 하는 용도, 직접 쬐는용. |
실내 전체 난방이 아니므로, 소비전력 1000W정도면 적당한 난방 가능. |
온풍기 |
빠르게 실내 전체 공기를 난방 하는 용도, 넓은 공간용. |
평당 300W 소비전력 정도를 추천하며, 상대적으로 높은 소비전력. |
컨벡터 |
느리게 실내 전체 공기를 난방 하는 용도, 좁은 공간용. |
평당 300W 소비전력 정도를 추천하며, 상대적으로 높은 소비전력. |
▶전기히터
전기히터는 전기에너지를 열선과 같은 열 발생 장치를 통하여 열에너지로 전환하고 전환된 열을 적외선을 통하여 복사열 전달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원리입니다. 종류가 다양하고 가장 대중적인 보조 난방기구이며, 전체적인 실내 공기의 난방보다는 근접한 위치에서 일정 부위에 대한 빠른 난방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전기에너지에 대한 열 발생 장치 내부의 열선과 코일의 전도가 빨라 발열 속도가 빠르며 가열 온도가 높습니다. 또한, 열을 전달하는데 매개체 없이 적외선으로 직접 전달하기 때문에 열전달 속도가 매우 빨라, 바로 난방 효과를 느낄 수 있습니다. 부품의 구성은 열 발생 장치밖에 없어 구조가 단순하며 관리가 편하고 저렴하며, 열을 발생하는 과정에서 소음을 발생하는 요소가 없으므로 소음이 상대적으로 적습니다.
복사열 전달의 특성상 빛의 감쇠현상에 의하여 열선에서 멀리 떨어질수록 단위 면적당 적용되는 빛의 세기가 감소합니다. 즉 단위 면적당 적용되는 적외선의 양이 감소함을 의미합니다. 또한 빛이 진행되면서 난방 대상 외 다른 대상에게 흡수되면서 열 손실이 생기기 때문에 열선에 가까이 있어야 효과적으로 난방 효과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너무 가까이 접근해 있으면 고온 300도 이상의 열 발생 장치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화상과 화재의 위험이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또한 방출된 적외선을 흡수해야 열이 전달되는데, 사람의 경우 면적이 크기 때문에 적외선 흡수가 쉽지만, 실내 공기 분자는 작은 밀도에 매우 빠른 속도로 움직이고 있으므로 적외선을 흡수하는 것이 어려워 실내 전체적인 공기 난방에서는 불리합니다.
장점 |
단점 |
열전달 속도와 발열속도가 빠름. |
열선에 과도히 근접해 있을 경우 화재와 화상의 위험이 있음. |
소비전력이 비교적 작음. |
근접해 있어야 난방효과를 느낄 수 있음. |
구조가 단순해 관리가 편하고 가격이 저렴함. |
전체적인 실내 공기 난방은 어려움. |
상대적으로 소음이 거의 없음. |
열선 온도가 높아 과열의 위험성이 있음. |
▶온풍기
열을 발생시키는 원리는 전기히터와 유사하지만, 열을 전달하는 방식이 팬(FAN)에 의한 동력으로 강제대류를 사용하여 전달하는 점이 다릅니다. 온풍기 내부 속 열선에서 생성된 열을 팬의 구동을 통하여 강제대류를 만들어 열을 방출시킵니다. 소음이 있어 거실이나, 넓은 면적의 실내 난방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열선 온도가 비교적 낮은 편(150~200도)이어서 과열과 고장에 비교적 안전합니다. 팬 구동을 통한 강제대류로 열이 실내 전체를 순환하여 전체적으로 난방이 가능하며, 멀리 떨어져 있어도 난방 효과를 느낄 수 있습니다.
그러나 방출된 뜨겁고 건조한 공기로 인하여 실내 공기 내 수증기량이 감소할 뿐만 아니라, 실내 온도 상승으로 포화수증기압이 증가하게 되어 상대습도가 낮아집니다. 이에 실내 공기가 쉽게 건조해질 수 있습니다. 또한, 강제대류를 만들기 위해 팬을 사용하면서, 추가적인 전력이 사용될 뿐만 아니라 팬의 돌아가는 소음이 발생하게 됩니다.
발열속도가 전기히터보다 느린 편이며, 공기를 통한 강제대류로 열을 전달하기 때문에 열전달 속도 또한 전기히터보다 비교적 난방 속도가 느립니다. (대류난방의 원리로 된 제품중에서는 빠른편)
장점 |
단점 |
열선 온도가 낮아 비교적 안전함. |
팬 구동으로 인한 소음이 있음. |
전체적인 실내 공기 난방이 가능함. |
비교적 난방 속도가 느림. |
거리에 상관없이 난방효과를 느낄 수 있음. |
실내 습도가 낮아짐. |
열선이 노출되지 않아 안전함. |
비교적 많은 소비전력을 요구함. |
▶컨백터
온풍기와 같이 대류를 이용하여 난방하는 제품이나, 대류의 종류가 동력을 사용하지 않는 자연대류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알루미늄 열선을 통하여 제품 내부로 유입된 차가운 공기를 데워 방출시킴으로써 자연대류를 만들어 난방하는 원리입니다. 저소음으로 좁은 실내의 전체적인 난방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자연대류를 이용하기에 온풍기보다 상대적으로 덜 건조해집니다. 또한 대류에 동력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소음이 적고 디자인이 깔끔하며 공간 차지가 적어 좁은 공간에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열선에서 가열되는 온도가 낮은 편이며 화재의 위험이 적습니다.
그러나 자연대류를 이용하기 때문에 유체 전단력이 작아 난방속도가 빠르지 못하고, 난방 가능 공간 면적이 좁은 편이며, 열선에서 가열되는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아 후끈한 난방은 어렵습니다.
장점 |
단점 |
열선 가열 온도가 낮아 비교적 안전함. |
유체전단력이 작아 난방속도가 느림. |
전체적인 실내 공기 난방이 가능함. |
난방가능 공간의 면적이 좁은편. |
대류에 동력이 사용되지 않아 소음이 거의없음. |
실내 습도가 낮아짐. |
실내 공기가 온풍기보다 덜 건조해 짐. |
비교적 많은 소비전력을 요구. |
공간 차지가 작음. |
비교적 고가의 가격대. |
▶전기히터, 온풍기, 컨벡터 한눈에 비교해보기
종류 |
전기히터 |
온풍기 |
컨벡터 |
소비전력 |
1000W |
평당 300W |
평당 300W |
용도 |
직접 쬐는 용도 |
실내 전체적 공기 난방 |
실내 전체적 공기 난방 |
난방 적용 범위 |
매우 좁음(전방 50cm) |
넓음(1~35평형) |
좁음(1~10평형) |
소음 |
작음 |
큼 |
작음 |
작동시 실내 습도 |
조금 건조해짐 |
건조해지기 쉬움 |
비교적 덜 건조해짐 |
열전달 방식 |
복사 |
강제대류 |
자연대류 |
열전달 속도 |
가장 빠름 |
빠름 |
느림 |
난방 정도 |
후끈후끈 |
후끈후끈 |
따뜻 |
열선 예열시간 |
매우 짧음 |
짦음 |
상대적으로 김 |
화상위험 |
높음 |
보통 |
낮음 |
열선 가열온도 |
매우 높음 |
높음 |
보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