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전 케이벤치에서는 검은사막 FSR(FidelityFX Super Resolution)업데이트와 관련되어 옵션에 따른 퀄리티 차이, 및 간단한 벤치마크 정보를 제공해 드린 바 있다.
금번 기사에서는 AMD R5 5600X와 관련되어 검은사막 성능 활용에 있어 조금 더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옵션과 셋팅 방법 등을 한번 이야기 해볼까 한다.
온라인 게임 특성상 인게임 옵션 설정에 따른 성능 향상은 환경에 따라 그리고 PC 사양에 따라 그 차이가 다르게 나타나기는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번쯤 해볼만한 셋팅 그리고 그에 따른 벤치마크를 준비해 봤다.
모쪼록 R5 5600X 사용자들에게 있어 검은사막을 즐기는 유저 및 소비자라 한다면, 금번 기사를 통한 셋팅을 한 번 참고해 보길 바란다. 자 그럼 어떤 설정을 변경해 주면 될까?
■ SVM(CPU Virtualization)활성화, 설정은 어떻게?
기사의 서론은 생략하고 필자가 금번 기사에서 소개할 내용은 SVM의 활성화와 XMP 메모리의 활용인데, 그 중 SVM에 대한 셋팅을 먼저 이야기해볼까 한다.
SVM이란 CPU의 가상화 활성화 옵션으로 블루스택과 녹스와 같은 앱플레이어를 활용할 때 사용하는 옵션으로 잘 알려져 있는데, 정확한 원인은 확인하지 못했으나 검은사막에서는 R5 5600X 기준 해당 옵션을 활성화 하면 GPU 로드율 및 인게임 내에서의 프레임 성능 향상이 확인됐다.
이와 관련된 정확한 기술적인 이유는 앞서 언급했듯 필자도 확인하지 못했으나 해당 옵션을 On/Off한 설정에 따른 벤치마크 자료를 준비해 봤으니 해당 벤치마크를 참고해보길 바란다.
■ SVM On /OFF 따른 성능차이, 얼마나 있을까?
각각의 게임 옵션으로는 QHD 해상도에 리마스터 + 텍스처 품질 높음/ FHD 해상도 리마스터 + 텍스처 품질 높음 / FHD 해상도 매우 낮음 + 텍스처 품질 낮음으로 진행했으며, 최적화 탭에 있어서는 성능 최적화 On/ 저전력 옵션은 OFF를 적용했다.
벤치마크를 진행한 환경에 있어서는 마을 3개와 별무덤 추궁을 통해 최대한 동일한 환경에서 진행했으니 이 또한 참고하길 바란다.
벤치마크 내용을 정리해보면 QHD 해상도 리마스터부터 FHD 해상도 매우 낮음 옵션에 이르기 까지의 내용을 비교해서 살펴보면, 약간의 오차범위는 있을 수 있으나 전반적으로 평균 FPS가 높아진 것을 확인해볼 수 있었다.
특히 마을간의 최적화에 따른 차이도 조금 있긴 하겠으나 오드락시아의 경우는 그 차이가 최대 10%가량 벌어지기도 했으며, 별무덤의 추궁에 있어서도 약 10%에 가까운 추가 성능향상이 있었다.
이와 관련되어 필자가 기사를 진행하기 전 검은사막을 즐기는 몇몇 지인 중 R5 5600X+ RTX 3080 및 RTX 3060Ti 구성을 사용하는 분에게 있어서도 비슷한 비교를 부탁했었는데, 두 지인 모두 평균 5~10% 가량의 평균 프레임 및 GPU 로드율이 올랐다고 한 만큼 R5 5600X 사용자라면 한번쯤 체크해 볼만한 요소가 아닐까 생각된다.
참고로 해당 SVM 옵션 활성화 시 성능 향상이 되는 내용이 라이젠 3000 시리즈에서는 적용되지 않았는데, 아무래도 ZEN2 와 ZEN3의 CCD/CCX 코어 구조 및 아키텍처가 달라서 그런것으로 분석된다.
■ 최근 매우 저렴해진 DDR4 XMP메모리, 3,600MHz CL18 구성도 노려보자
아울러 AMD의 SVM 활성화뿐만 아니라 가성비를 챙긴 최소한의 금액으로 추가 성능 향상을 노려보는 소비자라면, 최근 매우 저렴해진 DDR4 XMP 메모리의 활용도 한번 권해볼까 한다.
아무래도 차세대 PC 플랫폼이 DDR5를 기반으로 할 예정인 만큼 DDR4 XMP 메모리의 가격이 매우 저렴해지고 있는 추센데, 그 중에서도 가성비가 좋은 3,600MHz 클럭에 메모리 타이밍 CL18을 가진 메모리가 현 시점 매우 가성비가 좋다.
일부 모델에 따라서는 16GB(8GB*2)구성에 10만원 내외에도 구매할 수 있으며, AMD의 경우 "일부 A320 메인보드에서 5600X 지원"은 물론 기본적으로 "메모리 오버클럭 기능"도 지원하고 있으니까 말이다.
그에 따른 XMP 메모리 벤치마크도 짧게 준비해 봤다.
벤치를 진행한 게임 옵션은 동일하며 PC 셋팅으로 SVM OFF DDR4 3,200MHz vs SVM On DDR4 3,600MHz CL18를 적용한 후 진행해봤다.
정말 순수 순정 셋팅과 앞서 언급한 SVM On과 XMP DDR4 3,600MHz CL18을 적용한 환경을 비교해 봤는데, 벤치마크 결과를 보면 알 수 있겠지만 평균 프레임에 있어서 대체적으로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환경에 따라서는 최대 20%에 가까운 성능 향상을 보여주었다.
당연한 이야기로 필자가 최소 프레임에 따른 자료를 따로 넣지는 않았으나, 메모리 오버클럭을 적용한 만큼 전반적인 최소 프레임에 있어서도 향상되어 게이밍 환경에 있어서도 더욱 부드러운 플레이가 가능했다.
■ 온라인 게임의 최적화 영향?, 직접 체크해 보는 것이 제일 좋은 방법
금번 기사의 전반적인 내용과 벤치마크를 정리해 보면 AMD R5 5600X를 기준으로 SVM On/OFF에 따른 성능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현 시점 가성비가 매우 좋아진 DDR4 3,600MHz CL18 XMP 메모리와의 구성까지 고려해 본다면 가격 대비 충분히 투자할 만한 추가 성능향상이 아닐까 생각된다.
물론 온라인 게임이라는 환경과 각 마을과 사냥터 지역에 따른 최적화를 고려해 보면 필자가 진행한 SVM On/OFF 벤치마크와는 달리, 성능 향상분에 있어서 큰 차이가 없는 경우도 분명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다만 필자를 비롯한 주변 R5 5600X 환경에 있어 검은사막을 즐기는 유저들 일부는 해당 SVM 설정을 통한 평균 프레임 및 GPU 로드율 상승 효과를 노려본 만큼, 본인이 R5 5600X를 사용중인 소비자라 한다면 한번쯤 해당 옵션을 활성화 한 후 직접 비교를 해보는 것이 제일 좋은 방법이지 않을까 싶다.
모쪼록 인기 게이밍 CPU로서 오랜시간 자리매김한 R5 5600X인 만큼 해당 CPU로 검은사막을 즐기는 유저가 있다고 한다면, 금번 소개한 SVM 및 XMP DDR4 메모리의 활용을 한번 활용해 보길 바란다.
Copyrightⓒ 넥스젠리서치(주) 케이벤치 미디어국. kbench.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