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오버클럭 필수라는 선입견 버려봐, 그 자체로 고성능 인텔 K CPU

2022.05.17. 15:46:06
조회 수
1,157
2
댓글 수
1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인텔 K CPU를 보면 어떤 생각이 들까?

PC에 대해 조금 안다는 사용자라면 Non-K에 비해 비싼 가격, 오버클럭 두 가지를 떠올릴 것이다. 이어서 오버클럭을 하기 위해 비싼 쿨러와 메인보드까지 필요하다는 생각이 이어지면, 가성비를 추구하는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K' 버전을 포기하기 쉽다.

간단히 말해 인텔 K CPU는 쓰기 어려운 제품이라는 선입견을 갖기 쉬운데 정말 그럴까?

 

인텔 K CPU에 대한 선입견 오버클럭, 이미 한계에 가까운 기본 클럭

사용자들이 인텔 K CPU에 어려움을 느끼는 이유를 궁리해보면, 오버클럭이 가능한 제품에서 오버클럭을 하지 않는다면 왠지 손해보는 느낌인데다, 그 과정에서 비싼 Z 시리즈 칩셋 보드와 CPU 쿨러 및 시스템 쿨러,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위한 고가의 파워서플라이 등등 각종 비용 증가 요인이 연상되기 때문이 아닌가 생각된다.

 

하지만 이미 K CPU는 그 자체로 각 라인업에 최상급 성능을 제공하는 만큼 오버클럭을 하지 않아도 Non-K CPU 보다 확실히 뛰어난 성능을 발휘한다. 위 차트는 인텔 12세대 코어 i7-12700KF와 Non-K 모델인 코어 i7-12700F의 성능을 비교한 것으로, 작업마다 차이는 있지만 K CPU가 확실히 뛰어난 성능을 내주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그에 반해 근래 CPU들은 거의 실리콘 한계치에 가까울 정도로 클럭을 높인 만큼 극적인 오버클럭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워, 오버클럭의 효용이 많이 줄어 들었다.

실제로 P-코어 올 코어 부스트 클럭 4.9GHz와 E-코어 올 코어 부스트 클럭 3.7GHz인 코어 i9-12900K의 P-코어와 E-코어 올 코어 부스트 클럭을 각각 5.1GHz와 4.0GHz로 오버클럭했던 지난 기사에서 게임 성능 향상폭은 약 1%에 불과했고, 작업 성능도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평균적으로 5% 수준에 그쳤다.

물론 작은 차이라도 더 높은 성능이 필요한 사용자라면 오버클럭을 시도하겠지만, 일반적인 PC 사용자라면 추가 비용이 드는데다 복잡하고 오래 걸리는 안정화 테스트까지 진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감수하고 도전할지, 오버클럭에 대한 진지한 고민이 필요하다.

 

인텔 K CPU, H610 칩셋 보드과 공랭 쿨러도 OK

K CPU는 그 자체로 해당 제품 라인업에서 가장 최상의 성능을 발휘한다.

12세대 모델 중 코어 i5-12600K(F)는 코어 i5 Non-K 모델에 없는 E-코어까지 갖췄고, 코어 i7-12700K(F)와 코어 i9-12900K(F), 코어 i9-12900KS는 각 라인업 제품 중 가장 빠른 속도로 동작한다.

같은 아키텍처와 구조의 CPU라면 당연히 동작 속도와 성능이 비례하는 법.

 

이러면 오버클럭을 하지 않아도 상대적으로 높은 TDP 때문에 발열이 걱정될 수 있지만 AVX2류의 고급 명령어가 쓰인 작업이 진행될 때면 모를까, 게임이나 랜더링, 동영상 변환 등의 일상적인 용도로는 발열에 대해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좋다.

위 사진은 테스트를 위해 코어 i7-12700KF에 수랭 쿨러를 사용한 결과지만, 게임이나 랜더링 작업에서는 공랭 쿨러로도 안정적인 온도 유지를 기대할 수 있는 결과다. 최고성능을 지향하는 코어 i9-12900K(F)와 코어 i9-12900KS는 좀 별개의 이야기지만, 현실적인 고성능 K CPU인 코어 i7-12700K(F)의 기본적인 발열은 심각하지 않다.

 

오버클럭을 하지 않고 K CPU를 쓴다면 가격이 비싼 Z690 칩셋 메인보드 대신 H610 칩셋 메인보드에서도 충분히 재성능을 활용할 수 있다. 칩셋별로 지원 기능이 다른 만큼, 오버클럭을 하지 않아도 확장 카드나 외장 디바이스 등 주변 기기 활용도가 높은 이유로 Z690 칩셋 보드가 필요할 수 있지만, 단순히 K CPU를 쓴다는 이유로 Z690 칩셋 메인보드를 고집할 필요가 없는 것.

단지, 가성비 높은 XMP 메모리를 사용하거나 간단하게 수동 메모리 오버클럭을 시도해 보겠다면 B660 칩셋 메인보드도 좋다. M.2 소켓이나 확장 슬롯용 PCIe Lane도 4.0 버전을 지원하고, 스펙상 20Gbps USB 포트도 지원해 전체적인 시스템 성능 향상에 유리하다.

같은 칩셋이 쓰였다해도 제조사 및 제품별 지원 기능은 차이가 있으므로, 메인보드가 지원하는 기능을 자세히 비교해봐야겠다.

 

인텔 K CPU, 오버클럭 없어도 라인업 최고성능 모델

인텔 코어 CPU 시리즈 이전에는 모든 CPU에 오버클럭이 가능했다. 하지만 당시에도 만족스런 오버클럭 결과를 달성하기에는 지금처럼 번거롭고 오랜 시간이 걸리는 작업이 필요했고, K 모델만 오버클럭이 가능해진 지금도 마찬가지다.

PC 관련 커뮤니티에서는 오버클럭에 도전하는 열정적인 사용자들이 여론을 주도하는 경향이 있어 오버클럭이 대중화된 것으로 착각하기 쉽고, 그래서 K CPU를 쓰려면 오버클럭이 필수라는 선입견에 빠지기 쉽지만, 과연 실제로 전체 PC 사용자 중 실제 오버클럭을 시도하는 사용자들이 그정도로 높을까?

 

앞서 살펴본 것처럼 근래 CPU는 실리콘의 한계치에 가깝게 동작 클럭을 높이는 만큼 오버클럭 여유가 크지 않은 편이다. 물론 한계 이상의 성능이 필요하다면 오버클럭에 도전해도 좋지만, 반대로 말하면 실 사용측면에서 오버클럭의 효용성도 많이 감소한 상태다.

결국, K CPU에 오버클럭이 필수라는 선입견을 버린다면 비오버클러커들에게 K CPU는 단순히 해당 라인업에서 동작 속도가 가장 빠른 Non-K CPU나 마찬가지다. 기본 쿨러가 번들되지 않기에 리테일 쿨러를 위한 지출이 필요하지만, 굳이 비싼 Z 시리즈 칩셋이나 수랭 쿨러, 고급 파워서플라이 등 추가적인 비용 증가 요소에 신경 쓰지 않고도 고성능을 경험할 수 있다.



Copyrightⓒ 넥스젠리서치(주) 보드나라 미디어국. www.bodnara.co.kr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관련 카테고리

1/1
최신 구매가이드 전체 둘러보기
1/1
감성인가 자유인가? 유선 vs 무선 이어폰 [라이벌 열전] (4) 다나와
25년형 올인원 세탁건조기 이렇게 달라졌습니다! (4) 다나와
인텔 울트라 프로세서, 영상 콘텐츠 제작시 체감성능은 어느 정도? (2) 위클리포스트
[무엇이든 물어보살] 브랜드별 메인보드 특징 A~Z (3) 위클리포스트
땀으로 바닥 닦는 시대 끝! 형님 누님, 이제 물걸레질은 기계한테 맡겨요 (14) 다나와
소중한 그래픽카드를 지키는 방법, 적절한 지지대가 답이다~! (21) 다나와
러닝화 고민은 여기서 종결! 2025 러닝화 브랜드별 라인업 총정리 (26) 다나와
벌크, 비정품 CPU의 유혹, 합리적 소비도 정품을 선택해야 하는 이유 (5) 케이벤치
[겜ㅊㅊ] 좀비 세상에서 살아남는 스토리 ‘갓겜’ 5선 (5) 게임메카
2025년 작업용 모니터 뭐가 살만한가 다나와를 둘러보자 (9) 동영상 있음 Hakbong Kwon
LG에어컨 900개 모델 정리해서 엑기스만 담았습니다. 에어컨 추천 2025 최신판! (2) 동영상 있음 노써치
가격까지 저렴해진 로봇청소기, 이젠 그 누구도 막을 수 없다! [이젠 바꿨으면 좋겠네] (17) 다나와
게임부터 AI까지 모두 가능한 전천후 게이밍PC '다나와 5월의 게임용 표준PC' (9) 다나와
최신 게임하면 딱 떠오르는 게이밍PC '다나와 5월의 게임용 표준PC' (4) 다나와
가정의 달에 어울리는 가성비 게이밍PC '다나와 5월의 게임용 표준PC' (6) 다나와
최신 트렌드와 실속 겸비한 구성 주목... '다나와 5월, 이달의 추천 데스크톱PC' (6) 다나와
게이밍 환경을 위한 메인스트림 라라랜드 PC 구성, 어느정도 돌아갈까? R5 9600X+RX 9070 (6) 케이벤치
티포스가 통하면 시장이 움직인다 '팀그룹' 한국 메모리 시장서 존재감 각인 (2) 케이벤치
[겜ㅊㅊ] 스팀 전쟁게임 축제 속 다크호스 신작 5선 (5) 게임메카
상반기 최고의 화제작 '인조이'를 위한 최적의 그래픽카드는? (4) 미디어픽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