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하반기 신형 CPU·GPU 나온다, 1인 온라인 방송 어떻게 준비할까?

2022.08.22. 09:01:28
조회 수
1,306
3
댓글 수
4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 트위치를 비롯해 다양한 온라인 방송 플랫폼이 있다
▲ 트위치를 비롯해 다양한 온라인 방송 플랫폼이 있다

개그콘서트, 개그야, 웃찾사 등 한 때 온 가족이 TV를 보며 “고뤠?”, “그까이거 뭐 대~~충” 등 유행어를 사용하던 시절이 있었다.

현재는 어떨가? 유튜브, 아프리카TV, 트위치 등 ‘1인 미디어’와 분야별 ‘인플루언서’ 등이 그 역할을 대체하고 있다. 특히, 코로나 19로 인해 1인 미디어와 인플루언서의 영향력은 더욱 커졌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청소년은 물론 성인들도 취미로 온라인 방송을 즐기고, 나아가 유튜버, 스트리머와 같은 크리에이터를 꿈꾸는 이들이 있다. 특히, 1인 온라인 방송은 PC와 방송 세팅에 대한 지식이 있다면 누구가 쉽게 진입이 가능해 크리에이터마다 자신의 영역에서 다양한 콘텐츠를 가지고 도전한다.

온라인 방송 시장이 커짐에 따라 플랫폼도 다양하게 늘어났다. 게임 방송을 주로 한다면 ‘트위치’를, ‘보이는 라디오’, ‘라이브 방송’과 같은 일상 방송은 ‘아프리카TV’를 이용한다. 그리고 라이브 오디오 플랫폼으로 자리를 굳힌 ‘스푼 라디오’도 신흥 강자로 자리잡고 있으며, 유튜브 채널 구독자들과 연계된 라이브 방송 시스템인 유튜브 ‘실시간’ 등도 있다.

이렇게 다양한 온라인 방송은 누군가에게는 ‘꿈과 취미’로, 또 다른 누군가에는 ‘인플루언서’와 ‘크리에이터’로 자리잡게 해주었다. 그렇다면 온라인 방송을 진행함에 있어 필수로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PC다. 올해 하반기에는 특히, CPU, MB, GPU 신제품 출시가 멀지 않아 많은 이들이 PC를 지금 구매할지 나중에 구매할지 고민일 것이다.

현 시점에서 온라인 방송을 처음 준비하거나, 이미 방송중인 PC를 업그레이드하고 싶다면 어떻게 하는게 좋을까? 성능만 보고 지금 PC를 구매할지, 잠시 기다렸다가 하반기에 출시되는 최신 제품을 구매할지…, 무엇이 좋을까?

온라인 방송 플랫폼 PC는 있어야지! 차세대 CPU 기다릴만하다

하반기에 등장하는 신제품 CPU 중 인텔보다 AMD가 먼저 공식적인 행보를 보였다. 8월 17일 AMD는 공식 트위터와 홈페이지를 통해 라이젠 7000 시리즈이자 차세대 ZEN4 아키텍처를 8월 29일에 공개한다고 밝혔다.

아직 구체적인 발표 내용은 확인되지 않았으나 큰 주제로는 ZEN4 아키텍처와 함께 CPU 성능 공개 및 DDR5와 PCIe 5의 지원 등이 발표될 예정이다. 더불어 메인보드 소켓은 AM5 소켓으로 변경된다.

그리고 ZEN4는 ZEN3 CPU 보다 높은 5.5GHz 부스트 클럭을 지원할 예정이다. 뿐만 아니라 클럭당 성능인 IPC 또한 10% 내외의 성능 향상이 예고되어 이론상 최대 20~30% 이상의 성능 향상을 기대해 볼 수 있다.

더불어 ‘3D V-Cache’ 모델을 별도로 준비해 일부 게이머들에게 있어서는 IPC외로 추가적인 게이밍 성능 향상을 기대해 볼 수 있는 신형 CPU도 출시될 예정이다.

▲ 13세대 인텔 렙터레이크는 빅+리틀 코어가 적용되며, 향상된 클럭과 함께 최대 24코어 구성이 적용된다
▲ 13세대 인텔 렙터레이크는 빅+리틀 코어가 적용되며, 향상된 클럭과 함께 최대 24코어 구성이 적용된다

그에 대응하는 13세대 인텔 코어 프로세서인 코드명 랩터레이크는 12세대 인텔 코어 프로세서인 코드명 엘더레이크에 적용된 빅+리틀 코어 구조를 계승한다. P 코어는 최대 8개로 동일하지만 E코어의 경우 16개로 구성된다. 그래서 랩터레이크의 최상위 라인업 CPU는 i9 13900K는 최대 24개 코어와 32개 스레드를 적용해 멀티스레드 성능에 대폭적인 성능 향상이 예고됐다.

뿐만 아니라 최근 유출된 벤치마크 PC 정보와 스코어 점수를 유추해 봤을 때 AMD와 같이 5.5GHz 내외의 부스트 클럭과 함께, DDR5 5,600MHz, PCIe 5.0 지원이 확정됐다. 일부 유출된 자료에서는 향상된 오버클럭 등도 언급돼 관심을 모으고 있다.

때문에 지금 당장 방송용 PC를 맞추는 것이 아니라면 AMD와 인텔 모두 전반적인 CPU 성능 향상이 예정되어 있는 만큼 올해 하반기 CPU 구매를 추천한다.

다만 AMD와 인텔 두 회사 중에서는 메인보드 CPU 지원 소켓 정책에 따라 향후 CPU 지원 정책이 달라질 예정이다. 이는 앞서 다뤘던 “하반기 차세대 CPU·GPU 큰거 온 다, 메인보드 구매는 어떻게?”기사를 참고하면 좋다.

CPU를 장착하는 메인보드, 인텔은 호환 · AMD는 변경 예정

▲ ZEN4는 메인보드 소켓이 변경될 예정이다. (사진 출처 = AnandTech forums)
▲ ZEN4는 메인보드 소켓이 변경될 예정이다. (사진 출처 = AnandTech forums)

각 CPU의 메인보드 호환은 어떨까? AMD는 현재 AM4 소켓을 사용하지만 차세대 ZEN4 아키텍처 라이젠 7000 시리즈는 AM5소켓으로 변경된다. 이와 관련하여 8월 18일 아난드테크 포럼(AnandTech forums)에서 AMD R7 7700X의 실물 사진이 확인됐다.

AMD에서 예고했던 내용과 같이 기존 PGA 타입이 아닌 LGA 타입으로 변경됐다. 때문에 기존 AM4 메인보드는 ZEN4 CPU와 호환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ZEN4 CPU를 사용하려면 AM5 메인보드를 새로 사야한다.

다만 소켓이 AM5 소켓으로 처음 변경된 만큼 향후 AM5 소켓은 ‘ZEN4 3D V-Cache’ 및 ‘ZEN4 리프레시’의 지원 가능성은 높다.

반면 인텔은 LGA 1700 소켓 지원은 600·700 칩셋까지 지원될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그래서 12세대 엘더레이크 대응 600 시리즈 칩셋에서는 바이오스 업데이트를 통해 13세대를 지원한다. 하지만 13세대 메인보드인 700 시리즈에서는 14세대 메테오레이크를 ‘미지원’ 할 가능성이 높다.

차세대 GPU 성능 향상 100%? 현 시점 그래픽카드 구매도 나쁘지 않은 선택

▲ 차세대 GPU는 높은 성능 향상이 예상되지만 메인스트림 그래픽카드는 내년에 출시될 예정이다
▲ 차세대 GPU는 높은 성능 향상이 예상되지만 메인스트림 그래픽카드는 내년에 출시될 예정이다

온라인 방송 PC 구성상 그래픽카드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게임을 한다면 게임 옵션과 프레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그래픽카드 세대에 따라서는 방송 송출에 따른 인코딩 품질도 달라진다.

고사양 게임 방송을 한다면 고성능 GPU를 요구한다. 하지만 ‘먹방’과 ‘보라’(보이는 라디오)같은 콘텐츠를 방송할 때는 메인스트림급 GPU로도 충분하다. 물론 곧 신제품이 출시되지만 최근 그래픽카드의 가격도 상당히 합리적인 수준으로 내려온 점을 고려해 보면 방송하고자 하는 목적에 맞추어 구매하는 것도 나쁘지 않은 선택이다.

한편 차세대 그래픽카드의 성능 향상은 기존 NVIDIA RTX 30 시리즈와 AMD RDNA 2대비 80~100%에 가까운 성능향상이 예상되고 있다. 그렇지만 일반적인 소비자는 RTX 3070 내외의 성능으로도 대부분의 콘텐츠를 쾌적하게 즐길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현 시점 가격이 안정화된 RTX 3060~ 70급의 그래픽카드를 구매한 후 성능이 부족하면 상위급 그래픽카드를 구매하는 방법도 좋다. 시간적 여유가 넉넉하다면 NVIDIA RTX 40 시리즈나 AMD RDNA 3 시리즈를 구매하는 것도 좋은 선택이다.

Nvenc 활용한다면? RTX 20 시리즈 GTX 1650 시리즈 추천

▲ RTX 20 시리즈의 Nvenc는 X.264 Fast 동급 또는 더 좋은 품질을 기대해 볼 수 있다
▲ RTX 20 시리즈의 Nvenc는 X.264 Fast 동급 또는 더 좋은 품질을 기대해 볼 수 있다

Nvenc는 NVIDIA GPU 자원을 활용한 인코딩(코덱) 방식으로 CPU를 이용한 X.264 대비 CPU 부하가 적다. 그렇기에 방송 송출용 그래픽카드 선택에 있어 Nvenc를 활용할 예정이라면 RTX 20 시리즈 또는 튜링 아키텍처가 적용된 TU117기반의 GTX 1650와 GTX 1650Super 이상의 구매를 추천한다.

이유는 NVIDIA의 Nvenc에 따른 성능 차이(품질) 때문이다. GTX 10 시리즈전 까지는 Nvenc는 CPU를 이용한 인코딩 방식 X.264 대비 살짝 아쉬운 인코딩 품질, 즉 방송 품질을 보였다. 하지만 NVIDIA의 RTX 20 시리즈에서는 B-Frame 기능이 적용되어 H.265 압축 효율이 개선됐다. 그래서 CPU 인코딩 방식 대비 준수하거나 더 좋은 인코딩 영상 품질을 기대해 볼 수 있다.

더불어 CPU 방식의 X.264로 온라인 방송을 진행할 경우 CPU의 부하가 심해 게임 프레임이 하락하거나 게임 응답 속도에 영향을 준다. 반면 NVIDIA의 Nvenc를 활용할 경우 PC의 성능 하락을 최소화할 수 있다.

참고로 RTX 30 시리즈는 기존 RTX 20 시리즈에서 전력 효율과 영상 품질이 소폭 더 향상됐으나 큰 차이가 있는 수준은 아니다.

AMD와 NVIDIA 최신 GPU, 자체 마이크 노이즈 캔슬링 지원 활용 가능

▲ 마이크에 흡음되는 소음을 제거해주는 ‘노이즈 캔슬링’ 기능을 GPU 드라이버에서 제공한다
▲ 마이크에 흡음되는 소음을 제거해주는 ‘노이즈 캔슬링’ 기능을 GPU 드라이버에서 제공한다

최신 GPU에는 NVIDIA Nvenc 말고도 ‘RTX Voice’, 그리고 AMD는 ‘AMD Noise Suppression’와 같은 여러 편의성 기술을 지원하고 있다.

두 기술 모두 AI 알고리즘 기반을 적용해 ‘마이크에 목소리 이외의 소음을 억제’하는 노이즈 캔슬링을 지원한다. 콘덴서 마이크와 같이 주변 소리를 모두 흡음하는 경우 키보드 타건 소리와 주변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함께 흡입된다. 이럴 경우 RTX Voice와 AMD Noise Suppression을 활용하면 좋다.

참고로 NVIDIA의 RTX Voice는 현재 NVIDIA Broadcast 앱에 포함되어 있으며, 노이즈 캔슬링 외로도 가상 배경 설정, 자동 프레임, 영상 노이즈 제거 기술 등을 지원하고 있다.

NVIDIA Broadcast 앱 지원 하드웨어는 NVIDIA RTX 2060, 쿼드로 RTX 3000, TITAN RTX 이상이어야 활용 가능하다. 그리고 AMD Noise Suppression는 RX 6000 시리즈 그래픽카드이상 또는 내장 그래픽을 탑재한 라이젠 6000 시리즈 프로세서에서 지원한다.

온라인 방송 PC 준비, 성능과 기능 나에게 맞는 요소 체크 필요

▲ 최근 출시된 에버미디어 LiveGamerEXTREAM3는 4K 60FPS및 FHD/QHD 120FPS를 지원한다(사진출처 = 에버미디어)
▲ 최근 출시된 에버미디어 LiveGamerEXTREAM3는 4K 60FPS및 FHD/QHD 120FPS를 지원한다(사진출처 = 에버미디어)

전반적인 PC의 사양과 성능이 향상됨에 따라 최근 출시된 캡처카드는 고해상도 4K뿐만 아니라 FHD/QHD 120FPS의 송출도 지원하고 있다. 물론 온라인 방송상 프레임이 늘어날수록 데이터양이 커져 당장의 라이브 방송 활용은 힘들다. 그래도 본인이 플레이한 영상을 고프레임으로 송출과 녹화할 수 있는 하드웨어 플랫폼이 준비되고 있다는 것은 향후 온라인 방송 플랫폼 변화에 있어서 긍정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요소다.

앞서 언급했 듯 올해 하반기에는 차세대 CPU와 GPU는 높은 성능 향상이 예상되고 있다. 그 중 CPU는 신제품 발표가 약 2주가량 남은 만큼 잠시 기다렸다가 AMD와 인텔의 성능을 확인한 후 구매하는 것을 추천한다.

그리고 GPU는 성능적인 향상뿐만 아니라 ‘Nvenc’나 ‘마이크 노이즈 캔슬링’ 등의 최신 기술이 추가로 지원될 수 있다. 다만 지금의 그래픽카드 시장 가격은 어느 정도 자리를 잡았기에 방송 목적에 맞춰 성능과 기능을 충족하는 모델을 구매하고 그 이후 업그레이드하는 것을 추천한다. 참고로 차세대 메인스트림 그래픽카드는 2023년 출시로 예상되고 있다.

Nvenc는 RTX 20 시리즈와 GTX 1650/1650 Super 시리즈가 구형 GTX 10 시리즈 보다 더 좋은 품질을 보인다는 점 또한 잊어서는 안된다.

1인 미디어와 인플루언서 시장, 향후 더 커질 예정

▲ 인플루언서 시장은 계속해서 커질 전망이다(출처 = 나스미디어의 2020년 11월 게이밍 인플루언서 마케팅 현황 및 사례)
▲ 인플루언서 시장은 계속해서 커질 전망이다(출처 = 나스미디어의 2020년 11월 게이밍 인플루언서 마케팅 현황 및 사례)

한편 국내 나스미디어가 조사한 ‘2020년 11월 게이밍 인플루언서 마케팅 현황 및 사례’에 따르면 국내 2022년 인플루언서 마케팅 시장 규모가 최대 2조 원을 돌파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미 미국에서는 2021년 인플루언서 마케팅 비용을 30억달러(한화 3조 9,390억원)이상을 돌파했다는 뉴스가 보도됐다. 미국 시장조사 업체인 ‘인사이더인텔리전스’의 보고서에서는 2022년 ‘소셜미디어 플랫폼 별 인플루언서’ 마케팅 비용이 인스타 그램은 약 2조 9200억 원, 틱톡은 1조 2400억 원 등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러한 시장 변화 추세는 향후 1인 미디어와 온라인 방송 플랫폼은 물론이거니와 각 분야별 인플루언서의 역할도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때문에 온라인 방송, 인플루언서, 크리에이터 등은 앞으로도 하나의 직업 군으로 안착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래서 누구는 PC 업그레이드를 통해 쾌적한 방송 화면을 위해 노력할 것이고, 더욱 빠른 영상 편집 시스템을 통해 유튜브 콘텐츠를 만드는 이도 있을 것이다.

이렇듯 PC를 업그레이드하고 향후 신제품을 구매하고자 한다면, 나에게 필요한 제품들과 기능적 요소를 잘 체크한 후 구매하는 것을 추천한다.


길문혁 기자/ansgur0317@manzlab.com


ⓒ 맨즈랩(http://www.manzlab.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맨즈랩 주요 기사]
· Ready for AMD ZEN4 ‘라파엘’, 제품 선택 기준은 어떻게?
· [투데이 브리핑] 美 연준 ‘울트라 스텝’ 인상 가능성 제기
· 새로운 막이 열린다··· 반다이 남코, ‘철권 8’ 1차 예고편 공개
· 새 어로스 노트북 곧 풀체인지될 것··· 기가바이트 코리아 홍규영 지사장 인터뷰
· [투데이 브리핑] 오징어게임, 에미상 감독상·남우주연상 수상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최신 구매가이드 전체 둘러보기
1/1
장비병 다나와! [PC부품편] 동영상 있음 다나와
304? 430? 스테인리스 제대로 알고 사자! (2) 다나와
애플, M5 칩 탑재한 ‘아이패드 프로 M5’ 출시 임박! 예상 스펙은? (3) 다나와
5만 원부터 100만 원까지, 대학생 추석 용돈 테크템 15종 총정리 (9) 다나와
햅쌀은 지금뿐! 추석 즈음에 꼭 알아야 할 햅쌀 상식 (5) 다나와
게이머를 위한 완성형 PC '다나와 10월의 게임용 표준PC' (1) 다나와
추석 연휴, 집콕 게임의 정답은? '다나와 10월의 게임용 표준PC' (1) 다나와
학업도 게임도 끊김 없이 '다나와 10월의 게임용 표준PC' (1) 다나와
게임부터 AI 까지 모두 가능한 최적의 '가성비 PC' 구성은? 미디어픽
'갤럭시 GALAX 지포스 RTX 5060 WHITE OC D7 8GB'로 알아보는 NVIDIA DLSS 미디어픽
통돌이=구식? 지금은 편의·세탁력 다 잡은 신형 통돌이 시대! [이젠 바꿨으면 좋겠네] (10) 다나와
게이밍부터 AI·친환경까지... '다나와 10월 표준 노트북' 다나와
사무/가정용부터 고성능 전문가용까지!... 한눈에 보는 용도별 추천 데스크톱PC (2) 다나와
황금 연휴, 어떤 기름을 사용해야 더 맛있을까? (8) 다나와
내 차에 맞는 엔진오일 한 방에 정리! 엔진오일 계급도 (5) 다나와
기업과 국민이 함께 만든 보훈의 미래…갤럭시코리아의 동행 (50) 미디어픽
효자 효녀로 (만들어 줄) 안마기 계급도! (50) 동영상 있음 다나와
국민 파워에서 글로벌 브랜드까지, 마이크로닉스 PSU 3대 라인업 분석[라인업을보자] (52) 다나와
저승탈출 넘버원! 해외여행에서 목숨을 구원해 줄 '인생템' 9가지 (51) 다나와
추석 연휴, 집에서 시간 순삭하는 3가지 방법 | 게임·DIY·OTT 몰아보기 (61) 다나와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