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가는 길에 LG전자가 없으리오. 삼성전자가 아직 흡입 전용 로봇청소기에 집중하고 있을 때, LG전자는 흡입과 물걸레를 동시에 지원하는 올인원 로봇청소기를 일찌감치 선보였다. A/S가 간편한 국내 브랜드를 선호하는데, 물걸레 기능을 겸비한 로봇청소기를 찾는다? 그럼 두말할 것도 없이 LG전자다. 하지만 LG전자 로봇청소기라고 해서 무조건 물걸레 기능을 지원하는 것은 아니다.
LG전자 로봇청소기는 삼성전자 로봇청소기 보다 라인업이 조금 더 복잡하다. 삼성전자 로봇청소기는 어느 제품을 구매해도 부가 기능과 성능의 차이는 있을지언정 청소와 관련된 주요 기능은 대체로 비슷하다.
반면, LG전자 로봇청소기는 흡입 전용, 물걸레 전용, 흡입+물걸레 겸용 등 주요 기능부터 크게 달라 자세히 알아보지 않고 덜컥 구매했다간 환불을 해야 하는 불상사가 생길 수도 있다. 게다가 LG전자는 고급형인 오브제컬렉션을 별도로 출시하고 있어 같은 모델이라 하더라도 제품별 상세 스펙을 꼼꼼히 확인해봐야 한다.
[1] 코드제로를 대표하는 플래그십 라인LG전자 코드제로 R9
2022년형 LG전자 코드제로 R9

2022년형 코드제로 R9는 LG전자 로봇청소기를 대표하는 고성능 흡입 전용 로봇청소기다. 먼지 흡입만 하는 로봇청소기임에도 상당히 가격대가 높은 편이나, 그만큼 성능도 뛰어난 편이다. 2개의 카메라 센서 및 주변 장애물을 인식하는 3D 레이저 센서를 이용해 실내 공간을 분석, 청소 영역을 설정한다.
LG전자 코드제로 R9는 위 아래 및 양옆을 살피는 카메라 센서를 통해 빨래 건조대나 발 매트, 전선처럼 가볍거나 낮아 밀릴 수 있는 물건, 사람 다리 등을 인식한다. 사람으로 인식할 경우, 바로 회피하지 않고 '청소 중입니다. 이동해 주세요' 음성 발화 후 3초 이내에 사람이 비켜나가면 청소를 재게 하고, 비키지 않으면 회피 후 기존대로 청소하는 식이다.
구매포인트 2 / 자동 먼지 비움
▲ 올인원 타워의 강력한 먼지 흡입 모터가 본체 먼지통 속 먼지를 자동으로 비워준다.
'올인원 타워'라고 이름을 붙인 베이스 스테이션은 충전과 함께 자동 먼지 비움 기능을 제공한다. 청소가 끝나면 로봇청소기 본체가 스스로 올인원 타워로 가서 먼지통 속 먼지를 자동으로 비우고, 충전까지 시작한다. 전용 앱을 사용하면 먼지통 비움 주기도 선택할 수 있다.
베이스 스테이션에 있는 먼지 흡입 모터는 본체 먼지통 속 먼지를 흡입해, 타워 내부에 있는 먼티 봉투 내부에 보관한다. 특이점은 UVC LED 기능이다. 일부 고가의 로봇청소기에서 종종 볼 수 있는 기능으로, 먼지 봉투 내부에 UVC LED를 비춰 먼지 봉투 내부에 쌓인 먼지 표면에 세균이 늘어나는 것을 억제한다.
구매포인트 3 / 진공 청소기처럼 강력하게

▲ 진공 청소기와 비슷한 사각 노즐로 구석에 있는 먼지까지 흡입한다.
먼지 흡입구는 진공청소기와 유사한 사각 노즐을 제품 앞부분에 장착시킨 형태로 제작했다. 흡입구를 제품 바닥에 뚫어놓은 제품 대비, 한 번에 많은 양의 먼지를 흡입할 수 있고 원형의 로봇청소기가 접근하기 힘든 벽면이나 모서리와 같은 각진 구역의 먼지도 빈틈없이 청소할 수 있다.
흡입력도 최대 진공 수치 기준 11000Pa나 된다. 진공 이보다 고가의 외산 로봇청소기가 대게 5000Pa 내외라는 것을 보면 굉장히 강력한 수치다. 흡입된 먼지는 미세먼지 필터에 가로막혀 다시 외부로 방출되지 않는다.

코드제로 R9은 홈캠 기능도 탑재했다. 내부에 장착된 카메라를 통해 집 밖에서도 원격으로 집 안을 한눈에 볼 수 있으며, 로봇청소기 자체를 작동시켜 청소하는 것도 가능하다.
독특한 기능으로는 홈가드를 꼽을 수 있다. 홈가드 기능을 활성화한 상태에서, 지정한 위치에 움직임이 있으면 제품 전면의 LED 조명이 깜빡이고 셔터음을 발생시키며 5장의 사진을 촬영한다. 이후 스마트폰으로 알림도 전송되어 집 밖에서도 실내에 수상한 사람이나 움직임이 있는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코드제로 M9을 보유한 이라면 스마트 페어링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전용 앱을 통해 기기를 연결하면 코드제로 R9의 먼지 흡입 청소가 끝난 후, 자동으로 코드제로 M9이 물걸레 청소를 시작한다.
또한, 코드제로 M9은 LG전자가 2022년 1월부터 선보인 UP가전 라인에 속하는 제품이다. UP가전에 속한 제품은 LG전자의 지속적인 지원을 통해 차후 소프트웨어가 자동으로 업데이트되며, 별도의 부품을 장착해 하드웨어 업그레이드를 할 수 있다.
LG전자 오브제컬렉션 코드제로 R9 RO965


등록일 : 2022.09 LG전자 흡입 전용 로봇청소기 중 가장 고성능의 제품. 공간 인식률과 흡입 성능이 뛰어난 제품으로, 청소 외에도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해 사용의 편의를 높였다. 오브제 컬렉션 특유의 고급스러운 색감도 매력 포인트다. 1,184,410원.
LG전자 코드제로 R9 R965IB


등록일 : 2022.12 오브제컬렉션 코드제로 R9 RO965와 기본적인 성능을 비슷하나 인공지능 음성인식 서비스와 스마트 터보 기능이 탑재되지 않았다. 공시가 기준 약 10만 원 정도 저렴하지만 오픈마켓에서는 할인율에 따라 차이가 별로 없을 수 있어 실시간 최저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 1,165,900원.
2021년형 LG전자 코드제로 R9
2021년에 출시된 LG전자 코드제로 R9는 올인원 타워 없이 로봇청소기 본체와 충전기만 제공한다. 2022년형 보다 몇 십만 원 정도 저렴해 가격 부담을 조금 덜 수 있지만, 베이스 스테이션의 존재 의의라고 할 수 있는 자동 먼지 비움 기능을 사용할 수 없어 사용자가 직접 먼지통을 수시로 비워야 한다.

중요한 점은 베이스 스테이션은 별도 구매가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또한, 2022년형 코드제로 R9의 베이스 스테이션과도 호환되지 않기 때문에 자동 먼지 비움 기능이 필요한 소비자는 출시 연도와 베이스 스테이션 유무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베이스 스테이션 외 주요 성능은 비슷하다.
LG전자 오브제컬렉션 코드제로 R9 RO971


등록일 : 2021.06 2022년형 코드제로 R9 제품에 베이스 스테이션을 제공하지 않는 버전. 로봇청소기 본체의 먼지를 직접 비워야 하는 대신 더 저렴하다. 가격과 타협해야 하지만 뛰어난 맵핑 , 청소 성능은 포기할 수 없는 사람에게 추천! 787,550원.
LG전자 코드제로 R9 R961


등록일 : 2021.07 오브제컬렉션 코드제로 R9 RO971에서 음성인식 서비스가 제거된 제품. 오브제컬렉션의 디자인이나 음성 비서 기능이 굳이 끌리지 않은 사람에게 추천. UP 가전에 속하지 않는 점도 주목할 부분. 실시간 최저가에 따라서 가격이 오브제컬렉션 코드제로 R9 RO971보다 더 비쌀 수 있다. 769,700원.
[2] 가격 부담 줄인 보급형 라인업LG전자 코드제로 R5
구매포인트 1 / 흡입+물걸레 겸용, 흡입 전용 모델로 나뉘어
▲ 흡입+물걸레 겸용 중 일부 모델은 베이스 스테이션을 지원한다.
코드제로 R5는 보급형 로봇청소기 라인이다. 흡입 전용과 흡입+물걸레 겸용 두 가지 모델로 출시되었는데 일부 제품은 자동 먼지 비움 기능이 있는 베이스 스테이션을 함께 제공하기도 한다. 흡입 전용이든, 물걸레 겸용이든, 청소 방식이나 베이스 스테이션 제공 여부와 상관없이 모두 '코드제로 R5'라고 부르기 때문에 이름만 보고 제품을 구매하지 않도록 주의하자.
구매포인트 2 / LDS 센서 장착, 흡입구는 제품 바닥
▲ 코드제로 R5 로봇청소기는 상단에 LDS 센서를 장착해 맵핑 성능을 높였다.
센서는 카메라 센서가 아닌, 맵핑 성능이 우수한 LDS 센서를 탑재했다. LDS 센서는 로봇청소기 상단에 장착된 원형 센서가 360˚ 회전하며 사방에 레이저를 쏘고 그 레이저가 장애물에 반사돼 되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해 거리를 분석한다. 다만, 외부에 돌출되어 있는 만큼 내구성이 약해 충격에 자주 노출되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먼지 흡입구는 본체 하단에 삽입되어 있으며 사이드 브러시를 추가로 장착해 로봇청소기 본체가 접근하기 힘든 벽면과 모서리 부근의 먼지까지 깔끔하게 쓸어 담도록 설계했다. 흡입 세기는 바닥 소재와, 먼지 크기, 종류에 따라 총 4단계로 조절 가능하다.
구매포인트 3 / 다양한 편의 기능 갖춰
▲ 전용 앱을 통해 청소 설정부터 모니터링까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보급형 라인업이지만 흡입 세기 조절, 물걸레 물 공급 단계 설정과 같은 기본적인 편의 기능은 물론 다양한 부가 기능을 지원된다. 전용 앱과 연동하면 원격 조작, 청소 모니터링 등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플래그십 제품과 달리 본체에 인공지능 음성인식 기능이 없지만, 전용 앱을 통해 구글 홈, 알렉사, 네이버 클로바와 연동해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카메라가 필요한 홈뷰(실시간 모니터링), 홈가드 기능은 없으니 참고할 것.
LG전자 코드제로 R5 R585HKA


등록일 : 2022.10 LG전자 로봇청소기 중 유일무이한 물걸레 겸용 로봇청소기. 먼지 흡입부터 물걸레 청소까지 한 번에 해내며, 먼지 봉투 내부에 UVC LED로 비춰 먼지 표면에 세균이 늘어나는 것을 억제한다. 다만 플래그십 제품이 아닌 만큼 카메라의 부재로 홈뷰, 홈가드 기능이 없다. 올인원 타워도 먼지만 비워줄 뿐이다. 760,000원.
LG전자 코드제로 R5 R580HK


등록일 : 2022.10 펌프로 물통의 물을 자동으로 물걸레에 공급해 주는 등 로봇청소기 본체는 앞선 제품과 동일하다. 단, 베이스 스테이션이 없어 본체 내부에 있는 먼지는 스스로 치워야 한다. 그만큼 저렴한 가격이 장점. 536,920원.
LG전자 코드제로 R5 R560BL


등록일 : 2022.12 위의 두 제품이 물걸레 겸용 로봇청소기인 것과 달리 이 제품은 흡입만 하는 기본적인 로봇청소기다. 필수 기능만 딱 들어간 보급형 로봇청소기라 집 구조가 단순하고 물걸레 청소가 자주 필요하지 않은 1~2인 가구에게 추천! 408,450원.
[3] 고성능 물걸레 전용 청소기LG전자 코드제로 M9
구매포인트 1 / 파워풀 듀얼 스핀, 자동 물 공급 시스템
▲ 주행 휠이 없어 걸레가 바닥에 잘 밀착된다.
코드제로 M9는 흡입 기능이 없는 물걸레 전용 로봇청소기다. 빠르게 회전하는 2개의 물걸레를 약 2kg의 하중으로 꾹꾹 누르면서 바닥의 얼룩을 닦아낸다.
청소하는 동안 걸레가 마르지 않도록 자동 물 공급 시스템을 적용했으며 물 공급량은 5단계로 조절할 수 있다. 물통도 300mL의 대용량이다. LG전자에 따르면 최대 100분까지 넓은 공간을 닦아도 끄떡없다고.
구매포인트 2 / 듀얼 아이, ToF 센서 장착
▲ 6개의 ToF 센서 및 상단과 하단에 카메라 센서를 장착했다.
센서는 2개의 카메라 센서와 6개의 ToF 센서를 탑재했다. ToF 센서는 LDS 센서 보다 장애물 인식률이 높은 5세대 맵핑 센서로 센서에서 방출된 빛이 되돌아오는 시간을 계산해 집안 구조를 파악한다. 인공지능 딥러닝 기술로 가장 효율적인 청소 동선을 설계하며 주행 중에도 사람의 시야처럼 입체적으로 장애물을 인식하는 것이 장점.
구매포인트 3 / 다양한 편의 기능, 스마트 페어링까지
▲ 스마트 페어링 기능을 사용하면 먼지 청소 이후, 알아서 코드제로 M9이 작동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전용 앱에서는 원격 조작, 청소 모드 변경, 청소 구역 지정, 홈 모니터링, 동작 감지 알람 등 다양한 편의 서비스를 지원한다. 주목할 것은 스마트 페어링. 진공청소기인 코드제로 A9S 혹은 흡입 전용 로봇청소기인 코드제로 R9과 연동시켜, 먼지 청소가 끝나면 알아서 물걸레 청소가 시작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LG전자 오브제컬렉션 코드제로 M9 MO971


LG전자 코드제로 M9 M971


등록일 : 2022.01 오브제컬렉션 코드제로 M9 MO971와 전반적인 성능이 동일하다. 차이점은 리모컨이 제공되지 않은 것. 본래 더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었으나 할인율에 따라 가격이 더 비쌀 수 있으니 실시간으로 가격을 꼭 비교해 보자! 523,65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