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검색으로 가성비 SSD 비교해보기
가격 급등한(좋은말로 안정화;) 삼성 SSD 여파로
요즘 저렴하면서 괜찮은 제품 비교하는게 어렵다면?
VS검색을 통해 확인해세요!
1. 게임은 기본, 메인 SSD(윈도우 설치)용으로 많이 찾는 조건
조건 ▶ 1TB / NVMe(PCIe 3.0 이상) / DRAM 기본 탑재
중요한 가격대는 SSD 가격 상승전 1TB 인기 가격대를 고려,
대략 8~12만원대로 잡아보았습니다.
-------------------------------------------------------------
※ DRAM 이란?
시스템(CPU)과 저장장치의 속도 차이로 발생하는 병목 현상을
중간에서 완화시키는 역할.
→특히 윈도우처럼 반복적으로 읽는 파일이 많은 경우
DRAM을 통해 보다 빠른 속도로 읽기/쓰기 가능.
---------------------------------------------------------------
2. 조건에 맞는 제품 3개 선택
3. 주요 공통점 - 메모리타입, RAM 타입
-------------------------------------------------------------
중요한 요소인 메모리 타입은 현재 가장 많이 보급되었고
QLC보다 상대적으로 수명과 인지도가 높은 TLC로 전부 동일.
DRAM 용량은 보통 SSD 용량의 1/1000 수준으로 1GB 동일.
단 제조사에 따라 정확한 용량에 대해 공개가 안된 제품도 있으며
간혹 너프되는 경우도 있으니 참고해주세요.
-------------------------------------------------------------
4. 무엇이 다를까?
-------------------------------------------------------------
인터페이스는 메인보드의 PCIe 버전에 따라 선택하시면 됩니다.
PCIe 4.0 SSD를 구매해도 보드가 3.0 밖에 지원 안한다면
3.0 수준의 속도로 동작하겠죠?
SSD의 CPU와 같은 컨트롤러는 읽고 쓰는 기능을 담당하기에 중요합니다.
보통 삼성, SK하이닉스 컨트롤러가 내구성 상위급으로 평가되며
실리콘모션, 파이슨 등은 중/보급형 SSD에 많이 사용됩니다.
-------------------------------------------------------------
-------------------------------------------------------------
순차읽기/쓰기는 대용량 파일 다룰때나 체감이 들지
게임용이라면 약 2천 MB/s 만 넘어가도 사용에 불편함은 없습니다.
그러나 랜덤읽기/쓰기(IOPS)가 높으면 특정 데이터를 찾아 호출하는 빈도가 높은
윈도우 시스템용에 효과적일 수 있으니 이 점 참고하면 좋습니다.
아! 그리고 PS5 있으신가요?
그럼 혹시 모르니 PS5 호환 모델도 고려해보시길..
-------------------------------------------------------------
-------------------------------------------------------------
☞MTBF: 제품이 고장나기까지의 평균적인 시간
☞TBW: 제조사에서 보증하는 데이터 쓰기 양
특히 TBW는 명시된 쓰기 용량을 초과 사용시 AS가 불가능한데
600TB 기준, 하루도 안거르고 매일 329GB씩 데이터 저장을 한다면
5년 뒤에나 정해진 TBW에 도달하는거니.. 이 점 참고하시면 될 듯 하네요.
(TBW 초과해도 고장만 없다면 지속 사용 가능!)
-------------------------------------------------------------
-------------------------------------------------------------
삼성은 가성비는 좋으나 일반 소비자용으로 출시한 모델이 아니기에
제조사 공식A/S는 불가능합니다.
그러나 판매처별 정해진 개별 A/S는 받을 수 있으니 참고하시면 될 듯 하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