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2025년 사이버 보안 위협…“양날의 검이 된 생성형 AI”

2025.01.06. 11:22:23
조회 수
353
7
댓글 수
3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IT동아 김예지 기자] 기술의 발전은 우리 삶을 편하게 해주지만, 동시에 새로운 문제를 가져온다. 특히 생성형 인공지능(AI)은 등장 이후 급속도로 발전하며 전 산업에 걸쳐 적용됐으나, 이를 악용한 사례도 우후죽순 늘어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2025년 사이버 위협 전망’에서 올해를 해커의 AI 활용이 본격화되는 해로 꼽았다. 이 리포트는 안랩, 지니언스, 이글루코퍼레이션, SK쉴더스,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등 국내외 정보보안 전문가와 함께 작성됐다. 지난 사이버 위협 사례를 돌아보고, 올해 예측되는 위협에 대한 선제적 예방을 강조한다.


과기정통부가 2025년 사이버 위협 전망을 발표했다 / 출처=셔터스톡
과기정통부가 2025년 사이버 위협 전망을 발표했다 / 출처=셔터스톡


사이버 사기 증가…소프트웨어 공격 심화

과기정통부는 2024년 주요 사이버 위협 피해 사례로 ▲사이버 사기(스팸, 스미싱, 금융 사기, QR코드 사기 등) ▲소프트웨어 공급망 공격 ▲금품요구 악성 프로그램(랜섬웨어) 공격기법 고도화 등을 제시했다. SK쉴더스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제조업과 공공 분야 보안 사고가 각각 18%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각각 15%를 기록한 금융, 교육 분야와 IT, 의료, 도소 유통 분야가 뒤를 이었다.

지난해 전 국민을 대상으로, 티몬·위메프 사태 환불 미끼 문자 등 사회적 이슈를 이용한 금융 결제 사기가 대폭 증가했다. 청첩장, 부고 등의 일상 문자 형식을 악용한 스팸 및 스미싱 문자도 기승을 부렸다. 이에 정부는 지난해 11월 스팸 방지 종합대책을 발표한 바 있다.


2024년 주요 보안 이슈 타임라인 / 출처=SK쉴더스
2024년 주요 보안 이슈 타임라인 / 출처=SK쉴더스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됨에 따라 소프트웨어 공급망 공격도 심화됐다. 악성코드는 오픈소스 플랫폼, 패키지 매니저 등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통해 취약점에 파고들었으며, 다수의 사용자를 노리는 공격이 발생했다. 또한 협력사, 서드파티를 통한 공격이 불거지며, 공급망 전체 보안이 핵심으로 떠올랐다.

한편, 지난해 7월 크라우드스트라이크(CrowdStrike)는 보안 업데이트 중 발생한 오류로 세계 윈도우 시스템에서 블루스크린(BSOD)을 초래했다. 외부 공격은 아닌 것으로 드러났으나, 기업 소프트웨어 관리의 중요성과 단일 벤더의 위험성을 일깨운 사례다.

랜섬웨어도 여전히 골칫거리다. 지난해 상반기에만 평균 20억원의 피해액을 냈을 정도다. 랜섬웨어 기법은 진화되고 피해 규모도 날로 커지고 있다. 예컨대, 보안 솔루션 탐지 회피를 위해 정상 시스템 및 도구로 위장하는 방식이다. 공격 표적은 내부 시스템에 그치지 않고, 하이퍼바이저(물리적 하드웨어를 논리적으로 가상화하는 소프트웨어) 환경으로 확대되고 있다.


올해 생성형 AI 기반 사이버 위협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 출처=과기정통부
올해 생성형 AI 기반 사이버 위협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 출처=과기정통부


2025년 AI 기술 활용한 공격 본격화

과기정통부는 2025년 주요 사이버 위협으로 ▲생성형 AI 활용 본격 ▲디지털 융복합 체계 사이버 위협 증가 ▲국제 환경 변화에 따른 사이버 위협 증가 가능성 ▲디도스 공격 증가 예상 등을 전망했다.

주목할만한 부분은 AI다. 생성형 AI는 양날의 검으로 떠올랐다. 올해는 생성형 AI를 비롯한 다양한 AI 기술이 산업 전반에 확산되는 가운데, 이를 활용한 사이버 공격이 한층 더 고도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보안 전문가들은 “현시점에서 AI를 활용한 직접적인 공격은 어렵지만, 피싱 메일 작성, 악성 스크립트 제작, 취약점 탐색 등 해킹의 보조 수단으로 활발히 쓰인다”고 말했다.


딥페이크를 악용한 공격의 진입장벽이 낮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 출처=셔터스톡
딥페이크를 악용한 공격의 진입장벽이 낮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 출처=셔터스톡


지난해 크게 이슈로 떠오른 딥페이크 및 딥보이스 기술을 악용한 범죄가 대표적이다. 딥페이크 기술을 활용해 만든 성 착취물을 유포하고, 피해자에게 금전적 협박을 하는 디지털 성범죄가 확산됐다. 딥페이크는 해커뿐만 아니라 전문적인 지식이 없는 일반인들조차 쉽게 AI 도구에 접근 및 활용할 수 있어 공격의 진입장벽이 낮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본인 인증, 로그인 등에서 활용되는 안면 인식 기술이 고도화된 딥페이크로 우회가 가능하다는 점은 심각한 문제를 초래한다.

특히 안랩은 올해 AI 기반 사회공학 기법 활용이 증가할 것이라 내다봤다. 사회공학 기법이란 시스템 취약점보다 사람 또는 집단의 심리, 언어, 문화를 공략하는 공격 기법을 뜻한다. 안랩은 “AI를 이용해 타겟을 파악해 신뢰하는 인물로 사칭해 딥페이크 영상을 만들고, 내부 인력으로부터 민감 데이터를 유출하거나, 비즈니스 이메일을 침해하는 공격이 증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렇듯 생성형 AI를 활용해 사이버 공격의 진입장벽이 낮아지고 있다. 오픈AI의 챗GPT를 필두로 편의성을 제공하는 거대언어모델(LLM)이 늘어나는 반면, 악성 LLM 사례도 늘고 있다. 목적 자체가 불법적인 사기(FruadGPT), 악성코드 생성(WormGPT) 등 사이버 범죄에 특화된 악성 AI 모형이 다크웹(기존 웹 브라우저와 검색 엔진으로 액세스할 수 없는 웹)에서 유통되고 있다.

보안 전문가들은 “생성형 AI를 이미 도입했거나, 도입을 앞둔 기업은 기술 도입 단계에서부터 데이터 보안을 내재화해야 한다. 생성형 AI가 사용되는 전 단계를 포괄하는 상시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해 지속 점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예컨대, AI 기반 보안 솔루션, 제로트러스트 보안 등의 채택이다. 정부는 AI 사이버 공격에 대한 선제 대응이 필수다. AI 오남용을 방지하기 위한 종합 법적 대응책을 마련하고, 딥페이크 등 신기술 악용 사례에 대한 엄격한 규제를 마련해야 한다.

IT동아 김예지 기자 (yj@itdonga.com)

]]>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최신 기획뉴스 전체 둘러보기
1/1
코리아 패싱? 논란의 그 게임 <엘더스크롤4 : 오블리비언 리마스터> 사양 & 그래픽 옵션 분석 다나와
[순위분석] 사상 최초로 10위까지 밀려난 서든어택 (2) 게임메카
(가장 쉽게 알려드림) SKT 유출사태, 또 새로운 정황. 꼭 필요한 정보&해결책 싹 정리했습니다! 동영상 있음 주연 ZUYONI
200으로 CPU와 GPU를 배분하시오 9800X3D+9070 XT vs 7800X3D+5070 Ti (2) 기글하드웨어
치즈에 진심인 당신이라면 '스위스 치즈 패스포트' 체크 (1) 트래비
소박한 일본 소도시 골프여행에 맞춤 '고치현' 골프코스 2 (1) 트래비
SKT 해킹 사태에 관한 (아마) 혼자만의 걱정 동영상 있음 UnderKG
"나도 살아야지" 짝짓기 상대를 '독'으로 마비시키는 문어가 있다? (2) 과학향기
[AI야 소녀를 그려줘] 모비노기, 얘네를 제물로 바칩니다 (1) 게임메카
2025 Segotep GM 80PLUS골드 풀모듈러 ATX3.1 시리즈 살펴보기 (1) 쿨엔조이
2025 AONE 시그니처 80PLUS브론즈 풀모듈러 시리즈 살펴보기 (1) 쿨엔조이
[이슈+] 고사양 VGA 성능 200% 뽑아낼 공식 '인텔 울트라 K-SKU 플랫폼' 총정리 (1) 위클리포스트
올 해 취준을 앞둔 디자이너, 영상 제작자를 위한 PC로 어떤 것을 선택하는 것이 좋을까? (1) 브레인박스
[동아 게임 백과사전] “뭐 이런 것까지 나와?” 콜라보의 제왕으로 불리는 게임들 (1) 게임동아
2,400만 명 정보 털린 SKT "유심만 바꿔주면 끝이다?" 동영상 있음 오토기어
이충후 셰프에게 반얀트리 서울 페스타의 새로움을 묻다 트래비
[자동차와 法] 전기차 화재 줄일 기술 살펴보니 IT동아
518년 조선 지식의 보고, 종로 배움의 길 (3) 트래비
베트남 남호이안의 '신상' 리조트 파헤치기 (3) 트래비
섬여행 전문가가 말하는 대한민국 섬 BEST 20 (4) 트래비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