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혹은 공공 기관에서 PC를 구매하는 기준은 무엇일까? 우선은 사용 용도와 가격을 가장 먼저 고려하게 된다. 담당자들은 한정된 가격에서 PC를 구매해야 하니 용도에 따른 가장 합리적인 사양을 따지게 된다. 예를 들어 가벼운 웹 서핑이나 문서 작업 등을 주로 하는 일반 사무용PC라면 보급형 프로세서와 내장 그래픽 혹은 저가 그래픽카드가 탑재된 사양으로도 충분하기 때문에 저렴한 제품을 위주로 찾게 된다.
반면 그래픽 작업을 주로하는 전문 직종 관계자 혹은 영상 편집이 위주인 그룹이라면 최소한 AMD 라이젠 5 혹은 인텔 코어 i5 이상의 프로세서와 AMD 라데온 RX7600 혹은 지포스 RTX4060 이상의 그래픽카드, 16GB 이상의 RAM이 탑재된 중급형 이상의 PC를 찾게 될 것이다. 빠른 처리 속도를 최우선으로 하기 때문이다.
![]() |
||
이러한 요건을 종합적으로 고려했을 때 기업이나 공공기관에 어울리는 제품 중 하나로 지난 해 11월 출시된 'AMD 라이젠7 PRO 7745'를 꼽을 수 있을 것이다.
일반 유저들에게는 다소 생소할 수도 있는 'AMD 라이젠7 PRO 7745'는 높은 성능은 물론 업무에 최적화된 AMD만의 최신 기술이 다수 포함돼 그야말로 비즈니스 환경을 위해 태어난 제품이라 할 수 있다.
Zen4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AMD 라이젠7 PRO 7745'는 8개의 코어를 탑재했으며, 실제 작동 시 16개의 쓰레드로 작동해 멀티 코어를 기반으로 하는 프로그램에서 높은 성능을 발휘한다. 또한 다수의 프로그램을 동시에 구동하는 멀티 태스킹 환경에 있어서도 뛰어난 모습을 보여준다.
'AMD 라이젠7 PRO 7745'의 기본 클럭은 3.8GHz이지만, 부하 시 최대 5.3GHz까지 클럭을 높여 작동한다. 여기에 32MB 용량의 L3 캐시를 탑재해 기본 연산 능력 또한 상당히 뛰어나다.
![]() |
||
이러한 특징에도 불구하고 TDP가 65W로 상당히 낮은 편에 속한다. 여기에 최근의 대세에 맞게 DDR5 메모리를 사용할 수 있고, 최대 128GB 용량과 5200MHz의 클럭을 지원한다.
무엇보다 'AMD 라이젠7 PRO 7745'는 AVX-512 명령어를 탑재해 영상 편집 작업은 물론 딥러닝과 같은 전문적인 작업도 무리 없이 할 수 있어 워크스테이션급 시스템을 구성하기에 최적의 제품으로 평가받는다.
AVX-512 명령어는 벡터 연산을 가속화함으로써 하이엔드 PC가 필요한 여러 분야의 작업에 적용할 수 있다. 예컨데 딥러닝을 위한 시뮬레이션과 금융 분석을 위한 복잡한 연산, 3D 모델링 및 설계 등 다양한 환경에서 AVX-512 명령어가 사용된다.
OpenSSL Foundation을 위한 AVX512F를 비롯해 AVX512DO, AVX512_IFMA, AVX512CD, AVX512BW, AVX512_VBMI, AVX512_VNNI 등 여러 가지 기능을 추가했다.
라이젠 7000 시리즈가 이를 지원하는 만큼 산업 전반에 걸쳐 사용이 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 기능 및 성능적인 부분에서는 서버 및 워크스테이션용 프로세서를 구매하는게 더 좋을 수 있지만, 소위 가성비를 고려해 하이엔드 PC를 구성하고자 한다면 라이젠 7000 시리즈가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로 라이젠 7000 시리즈의 경우 기존 라이젠 5000 시리즈에 비해 nT FP32 추론의 속도가 최대 1.3배, nT Int8 추론 속도가 최대 2.5배 더 빨라졌다.
![]() |
||
PCIe 5.0 인터페이스를 적용했다는 점도 특징이다. PCIe 5.0 인터페이스는 PCIe 4.0의 2배에 달하는 32Gb/s의 속도를 지원하고, 기존 라이젠의 PCIe 4.0은 24레인인 반면 라이젠 7000 시리즈의 PCIe 5.0은 28레인으로 구성돼 동일한 인터페이스를 갖춘 디바이스 사용 시 성능 향상의 폭은 매우 클 것으로 기대된다.
뛰어난 내장 그래픽을 갖춘 점도 경쟁력을 높여주는 요인이다. 내장 그래픽으로 RDNA2 아키텍처 기반의 라데온 그래픽을 사용했는데, 이는 어지간한 보급형 그래픽카드와 견주어도 뒤지지 않을 만큼 만족스러운 성능을 자랑한다.
경쟁 제품 앞서는 높은 성능
'AMD 라이젠7 PRO 7745'의 성능은 어느 정도인지 알아보기 위해 몇 가지 벤치마크 프로그램을 돌렸다. 비교 대상으로는 현재 조달 시장에서 높은 인지도를 자랑하는 '인텔 13세대 코어 i5-13500' 프로세서를 선정했다. 참고로 '인텔 13세대 코어 i5-13500' 프로세서는 6개의 P 코어와 8개의 E 코어를 탑재하는 등 총 14개의 코어를 품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시스템 사양>
CPU : INTEL i5-13500, RYZEN 7 PRO 7745
M/B : ASUS PRIME B760M-A, ASUS PRIME A620M-A
RAM : Samsung DDR5 5600 16GB x 2ea
SSD : SK Hynix P31 500GB
PSU : Micronics Classic II 600W
OS : Windows 11 Pro
먼저 씨네벤치를 구동한 후 싱글 코어 및 멀티 코어 성능을 알아봤다. 싱글 코어 점수는 'AMD 라이젠7 PRO 7745'가 1862점, '인텔 13세대 코어 i5-13500'이 1814점으로 거의 비슷한 모습을 보여줬다.
하지만 멀티 코어 점수는 'AMD 라이젠7 PRO 7745'가 18884점, '인텔 13세대 코어 i5-13500'이 14476점으로 큰 차이를 보여줬다. 비록 코어와 쓰레드의 수는 '인텔 13세대 코어 i5-13500'이 더 많지만, 실질적인 성능은 'AMD 라이젠7 PRO 7745'가 더 높다는 걸 알 수 있다.
![]() |
||
'AMD 라이젠7 PRO 7745'는 다수의 코어와 높은 클럭은 물론 AVX-512 명령어 지원 등의 특징을 갖췄기에 렌더링 프로그램을 구동하는데 있어서도 높은 성능을 자랑한다.
특히 렌더링 프로그램인 V-Ray에서 경쟁 모델이라 할 수 있는 '인텔 13세대 코어 i5-13500'에 비해 더 빠르게 작동해 영상 편집 작업 시 유리할 것으로 보인다.
테스트 결과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V-Ray 벤치마크를 구동한 결과 'AMD 라이젠7 PRO 7745'는 19664점을 기록해 16807점을 기록한 '인텔 13세대 코어 i5-13500'에 비해 약 17% 높은 성능을 보여줬다.
![]() |
||
7-ZIP 벤치마크 역시 'AMD 라이젠7 PRO 7745'가 118.362점으로 99.156점의 '인텔 13세대 코어 i5-13500'을 약 19% 가량 앞서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
||
끝으로 Passmark를 구동한 후 CPU의 성능을 알아본 결과 'AMD 라이젠7 PRO 7745'가 34584점으로 '인텔 13세대 코어 i5-13500'을 소폭 앞서는 모습을 볼 수 있다.
![]() |
||
기업 및 공공 기관에 최적화된 'AMD 라이젠7 PRO 7745'
테스트를 통해 알 수 있듯 'AMD 라이젠7 PRO 7745'은 다수의 코어와 쓰레드를 바탕으로 다양한 프로그램에서 좋은 모습을 보여줬다. 무엇보다 경쟁 제품으로 꼽히는 '인텔 13세대 코어 i5-13500'에 비해 대부분의 테스트에서 10~20% 가량 앞섰다는 점은 주목할 만한 부분이다.
비록 '인텔 13세대 코어 i5-13500'이 코어와 쓰레드의 개수는 더 많지만, 'AMD 라이젠7 PRO 7745'에는 AVX-512 명령어와 같은 기술이 포함됐고, 고용량의 캐시 메모리가 탑재됐기에 실질적인 성능 면에서는 더 뛰어난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특히 '인텔 13세대 코어 i5-13500'은 효율성을 담당하는 E 코어의 수가 P 코어에 비해 많다 보니, 16개의 쓰레드 모두 동일한 성능으로 작동하는 'AMD 라이젠7 PRO 7745'에 비해 테스트에서 뒤지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처럼 비즈니스 환경에 적합한 프로세서를 찾는 기업 혹은 공공기관이라면 다수의 코어와 높은 캐시 메모리, 최신 기술이 포함된 'AMD 라이젠7 PRO 7745'으로 눈을 돌려보는 것은 좋은 선택이 될 것으로 보인다.
ⓒ 뉴스탭(http://www.newstap.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