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 게임임에도 최대 성능이 제한된 게임들이 존재한다. 로스트 아크만해도 기본적으로 최대 프레임이 제한되고, 스트리트 파이터나 철권류의 격투 게임 역시 최대 프레임이 제한된다.
로스트 아크처럼 게임 제어판에서 V-Sync를 풀어주면 최대 프레임 제한이 풀리는 경우는 비교적 양호하다. 하지만 따로 설정 파일을 건드리거나, 해킹에 가까운 수법을 사용해야 프레임 제한이 풀리는 경우도 있다.
후자의 경우 온라인 기능이 포함된 경우 핵 사용으로 차단될 위험이 있어 사용에 신중해야 하고, 어떤 게임은 프레임 제한을 풀었더니 동영상을 몇 배속 재생하는 것처럼 컨트롤이 힘들어지는 경우도 있다.
아무튼, 이런 프레임 제한은 보통 콘솔 게임이 PC로 이식되거나 크로스 플랫폼을 지원할 때 공정한 경쟁 환경 제공을 위해 명목으로 적용되는 경우를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는데, 특히 고품질 설정으로 높은 프레임을 지향하기 위해 하이엔드 시스템을 갖춘 게이머라면 프레임 제한에 대한 반감이 커질 수 밖에 없다.
원조 소울류의 매운맛, 엘든링의 프레임 제한 AFMF로 해제
약 2년전 출시된 엘든링 역시 이처럼 프레임 제한이 걸린 타이틀 중 하나다. 그래픽 카드 제어판에서 V-Sync를 풀어주는 정도로는 제한이 해제되지 않아 모드를 사용해 프레임 제한을 풀어야 했다. 이렇게 모드를 이용해 프레임 제한을 해재한 상태로 온라인 기능이 활성화된 채로 게임을 하면 자칫 계정이 정지당할 위험이 있어 이 또한 논란이 되었다.
결국 대부분의 게이머들이 번거로움과 이용 제한이라는 위험을 감수하느니 60프레임 제한을 유지한 상태로 게임을 즐기지만 아쉬움은 남기 마련이다. 특히 6월 21일, 엘든 링의 새로운 이야기를 다룬 DLC 황금 나무의 그림자 출시가 예정된데다, CPU와 그래픽 카드 또한 새대 교체되면서 업그레이드 했다면 높아진 HW의 성능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는 현실은 아쉬울 수 밖에 없다.
하지만 라데온 그래픽 카드 사용자들이라면 AFMF의 등장과 함께 프레임 제한 문제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롭다. 보드나라에서도 이미 몇 차례 소개한 AFMF(AMD Fluid Motion Frames)는 그래픽 드라이버 단에서 동작하는 프레임 생성 기술이다.
오늘날의 TV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프레임 보간 기술의 일종이다. 동영상과 게임이라는 적용 대상에 차이는 있지만, 모드와 달리 게임 파일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온라인 기능을 이용하면서도 계정이 차단될 걱정없이 쓸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게임 자체로 60프레임 제한이 걸린 만큼 AFMF를 활성화해도 프레임 사이에 하나의 보간 프레임을 넣는 방식이기에 최대 프레임이 120프레임로 제한되는 한계가 있지만, 고주사율 모니터나 고성능 그래픽 카드 사용자라면 그만큼의 값어치를 느낄 수 있게된다.
사용법도 간단해서, AMD 그래픽 카드 드라이버의 제어판(AMD 소프트웨어)의 게임 전역 설정 또는 게임별 설정에서 AFMF 옵션만 활성화해주면 된다. AFMF는 현재 라데온 RX 6000 시리즈 이상 그래픽 카드에서 이용할 수 있다.
참고로, AFMF 기능을 켜면 프레임 보간 과정에서 늘어나는 레이턴시를 보완하기 위한 안티랙 기술(라데온 지연 방지)이 자동 활성화된다.
AFMF로 높아진 엘든 링 성능, 어디까지?
AFMF는 라데온 그래픽 카드에서만 가능한 만큼 이번 기사에서는 라데온 RX 6000 시리즈 2종(RX 6600/ RX 6800)과 라데온 RX 7000 시리즈 3종(RX 7600/ RX 7700 XT/ RX 7900 GRE)을 통해 그 효용을 확인했다. 먼저 그래픽 품질은 레이 트레이싱을 제외한 최고 품질 프리셋을 적용한 상태로 Full HD/ QHD/ UHD 세 가지 해상도에서 테스트했다.
Full HD에서는 테스트 그래픽 카드 중 가장 낮은 성능인 라데온 RX 6600까지 평균 60프레임의 성능을, AFMF 적용시 딱 두 배 수준의 성능을 경험할 수 있다. 이미 RX 6600을 사용 중인 Full HD 게이머라면 굳이 업그레이드할 필요가 없고, 그보다 오래된 그래픽 카드를 사용하고 있다면 RX 7600이 어울린다.
이는 QHD에서도 마찬가지다. 라데온 RX 6600는 네이티브 상태서 평균 60프레임급의 성능을 내주지만 AFMF를 사용할 때는 120에 미치지 못하는 약 110프레임 수준의 성능을 확인할 수 있다. 이정도에서도 만족한다면 라데온 RX 6600도 나쁘지 않게 사용할 수 있겠지만, 업그레이드 한다면 RX 7600 급을 권한다.
Full HD 및 QHD에서는 메인스트림급 그래픽 카드인 RX 6600과 RX 7600으로도 엘든 링의 프레임 제한치인 60에 근접한 성능을, AFMF로 그 두 배에 달하는 성능을 경험할 수 있지만, UHD에서는 상황이 달라진다.
게임의 자체 한계에 근접한 성능은 라데온 RX 7900 GRE 또는 RX 6800급 그래픽 카드에서 경험할 수 있다. 고품질 고해상도 고주사율로 게임을 즐기려는 PC 게이머라면 4K에서 엘든 링을 즐기기 위해서는 최소 이정도 급의 그래픽 카드가 필요하다.
메인스트림급 그래픽 카드인 RX 6600/ RX 7600도 AFMF를 활용하면 60프레임 수준의 성능을 경험할 수 있는 것도 눈에 띄는 부분이다. 그래픽 카드 업글은 어렵고, 4K 60Hz 모니터를 사용 중이라면 메인스트림급 모델도 나쁘지 않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프레임 제한된 엘든 링, 라데온 그래픽 카드와 AFMF로 최적의 경험을
격투 게임이나 RTS, FPS와 같은 경쟁 게임에 적용된 프레임 제한은 그나마 동등한 경쟁 환경을 위한 조치라 이해할 여지가 있지만, 엘든 링 같이 특별한 경쟁 요소도 없는 싱글 플레이 위주의 게임에 적용된 프레임 제한은 이해하기 어렵다.
AFMF는 고해상도/ 고주사율 모니터의 접근성이 좋아진 오늘날, 시대에 맞지 않게 프레임 제한이 걸린 게임을 즐기려는 게이머들에게 적절한 기능이다. 드라이버 차원에서 구현되는 기능이라 게임 파일에 영향을 주지도 않고, 특별히 적용 게임을 가리지도 않는다. 현 시점에서는 DX11과 DX12 기반의 모든 게임을 지원한다.
엘든 링의 DLC 황금 나무의 그림자 출시가 약 20일 앞으로 다가온 시점에, 게임 출시 당시에는 구현되지 않았던 AFMF 유무에 따른 성능을 측정해 봤다. 기본 성능으로는 평균 30 프레임 수준의 성능으로 동작하던 RX 6600도 평균 60 프레임 수준의 성능까지 높여줬고, RX 7900 GRE와 RX 6800은 110 프레임 이상의 성능을 경험할 수 있다.
약 2년 만에 출시되는 엘든 링의 대규모 DLC인 황금 나무의 그림자 출시를 앞둔 라데온 그래픽 카드 사용자라면 이번 기사가 그래픽 카드 선택에 도움이 되었길 바란다.
Copyrightⓒ 넥스젠리서치(주) 보드나라 미디어국. www.bodnar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