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공냉 듀얼 쿨러로 코어 i5 13600K, 14600K의 열기를 잡아보자.

2023.11.16. 10:41:03
조회 수
8,162
5
댓글 수
3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차가운 겨울이 오고 있는 시점이지만 프로세서 시장은 후끈하다.  이 후끈함이 많이 판매가 되는 상황이면 좋긴 하지만 반대로 13세대에서 14세대로 넘어가면서 프로세서의 리비전, 정확하게는 리-프레시가 진행되면서 프로세서의 공정은 동일했지만 최대 낼 수 있는 프로세서의 클럭 숫자가 100MHz 상향되었다.  프로세서-메인보드에서 멀티 플라이어 하나만 올리면 되는 일 같지만 공정에서 어느 정도 개선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고 있지만 그래도 세대간의 격차를 벌리기 위해서 선택한 것으로 보인다.  이런 상황에서 불행중 다행인 것은 그래도 동일한 라인업을 기준으로 가격을 동결해, 실제 구입하는 가격은 크게 차이가 없다라는 점이다. 


우선 인텔에서 발표한 자료를 보고 14세대 코어 프로세서가 어떻게 달라졌는지 보도록 하자.



▲ 인텔의 14세대 코어 프로세서 발표 자료 중, 프로세서들의 스펙 차트

인텔이 소비전력 부분에서 크게 다루진 않았는데 12세대, 13세대 그리고 14세대에 들어서면서 "Base Power (W) 라는 수치와 Max Turbo Power" 라는 수치를 표기했다.  사실상 이 표기로 인해 프로세서 진형이 한계로 가지고 있던 125W TDP 부분이 무너졌다.    우선 Max Turbo Power 라는 것이 무엇인지 부터 확인해 보도록 하자.

최근 대부분 인텔 메인보드의 바이오스를 보게되면 프로세서, 전원 관련 부분에 해당 옵션들이 있다.  (메인보드 제조사들 마다 부르는 혹은 표기하는 이름이 다를 수 있다.) 


▲ 에즈락 B760M PG SONIC (에즈윈) 메인보드의 바이오스 항목 중 OC Tweaker 메뉴 에서 

현재 인텔 데스크탑 프로세서 기준을 보게 되면 PL1, PL2 (Power Limint) 단계를 가지고 있으며 모바일 프로세서의 경우는 PL1 ~ PL4 까지로 조금더 세분화된다.   우선 에즈락에서 미리 세팅되어 있는 값을 보게 되면 Long Duration Power Limit 는 PL1 이라고 보면 되는데 베이스 파워 전력은 125W 와 최대 235W 사이로 두고 있으며 PL2 의 경우는 최대 253W 를 기준으로 최대값은 자동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의 최대 코어 전력은 511.75W 로 설정이 되었다.    여기에서 에즈락은 이 전체의 한계를 풀어 항상 최대 전력값을 넣어줄 수 있는 CPU Power Limitation 이라는 항목을 통해 풀거나 잠그거나 할 수 있다. 


▲ 이런 식으로 최대 한계치 프로세서의 소비전력을 풀 수 있다.  이 메인보드에서 최대로 버틸 수 있는 한계는 511W 이지만 앞서 봤던 프로세서의 설정 범위에서 맞게 세팅을 해준다. 


▲ 에즈락 메인보드에는 앞선 옵션 외에도 BFB 옵션을 통해 최대 소비전력 제한을 풀 수있는데 B760 칩셋 메인보드는 235W 가 최대값으로 선택할 수 있다. 

오늘은 옵션이 좋은 상위 에즈락 메인보드인 B750 칩셋 기반 B760M PG SONIC 메인보드를 가지고 인텔 코어 i5 13600K, 14600K 프로세서의 전력 제한을 풀어 듀얼 공냉 쿨러에서 얼 만큼의 온도를 내는지 측정해봤다.  테스트를 최대한 실제 사용환경에 맞추어서 진행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5~6개 정도 쿨러가 장착된 케이스에 넣어 측정되는 온도값을 확인해봤다. 



▲ 에즈락 B760M PG 소닉 와이파이 - 에즈윈


▲ Thermalright Peerless Assassin 120 서린 상세 스펙 : CPU 쿨러 / 듀얼타워형 / 공랭 / 팬 쿨러 / A/S기간: 6년 / [호환/크기] 인텔 소켓: LGA1700, LGA1200, LGA115x , LGA2066 , LGA2011-V3 , LGA2011 / AMD 소켓: AM4 / 가로: 128mm / 세로: 160mm / 높이: 157mm / 무게: 1020g / [쿨링팬] 팬 크기: 120mm / 팬 개수: 2개 / 25T / 4핀 / 베어링: S-FDB / 1550 RPM / 최대 풍량: 66.17 CFM / 풍압(정압): 1.53mmH₂O / 최대 팬소음: 25.6dBA / PWM 지원 / non-LED


▲ TeamGroup T-CREATE DDR5-7200 CL34 EXPERT 블랙 패키지 서린 (32GB(16Gx2)) 상세 스펙 : 데스크탑용 / DDR5 / 7200MHz (PC5-57600) / 램타이밍: CL34-42-42-84 / 1.40V / 램개수: 2개 / XMP / 온다이ECC / 히트싱크: 방열판 / 방열판 색상: 화이트


▲ 다크플래시의 DLX4000 메시 케이스에 실제 테스트 시스템을 넣어서 온도가 측정되었다.

테스트는 프로세서의 코어 클럭을 올-코어 최대치로 올릴 수 있도록 세팅한 후, 아이들시 측정값과 프로세서 올 코어 작동을 1시간 했을 때 측정되었던 온도를 체크하였다.  테스트 결과값을 아래와 같다. 



우선 각기 2개의 프로세서는 모두 아이들, 풀로드 시에 약 2도 라는 온도 차이를 보이면서 눈에 띄이는 큰 결과값을 보이진 않았다.  다만 각기 프로세서를 모두 소비전력을 풀게 되면 최대 160~165W 정도의 소비전력을 소비하게 되는데 이 또 온도들은 90도 그리고 88도로 측정이 되었다. 

이와 반대로 프로세서의 소비전력을 풀지 않은 상태, 엄밀하게 이야기 하자면 메인보드의 설정된 바이오스 값을 그대로 사용할 경우 온도와 소비전력은 각기 프로세서는 74도와 72도로 상당히 안정적인 결과를 보여주었으며 소비전력도 역시 125W 정도로 설정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기 때문에 사실 그대로 바이오스 설정 상태로 사용하게 된다면 크게 문제가 없이 특히나 듀얼 쿨러 정도를 장착하게 된다면 상당히 안정적인 작동 상태를 보인다고 결론을 내릴 수 있을 듯 하다.    마지막으로 위 설정된 상태로 간단한 테스트 프로그램인 시네벤치를 돌려보면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뜨거운 열기를 걱정하려면 몇가지 선제 조건이 있다. 


첫번째, 전원부 페이즈의 구성이 14 페이즈 이상 Z790 칩셋 기반의 메인보드가 필요로 하다.  이 이야기는 굳이 전원부가 많은 숫자로 구성되어 있는 Z790 칩셋 기반의 메인보드가 아니라면 굳이 걱정할 필요가 없다는 말과도 일맥상통한다.  즉 B760 혹은 H610 칩셋 메인보드를 구입하여 코어 i5 14600K 프로세서를 사용하고자 한다면 메인보드 자체가 그 이상의 소비전력 자체를 인가해 줄 수 없기 때문에 위 테스트 결과 처럼 넉넉한 쿨링 성능을 가진 제품을 장착하면 크게 걱정할 부분이 아니다. 


두번째, 전력 제한 해제의 의미는 스테미너,  전력 제한이 있는 경우도 최대 클럭 속도는 동일하지만 그 클럭을 유지하는 시간이 짧다는 것에 있다.  이 부분의 클럭을 메인보드에서 알아서 조절을 하는데 이때는 프로세서의 멀티 플라이어를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그래서 실제 코어 i5 14600K 는 아이들 상태에서  상당히 낮은 소비전력 그리고 최소한의 클럭으로 프로세서를 작동시킨다.   어찌 보면 거진 노트북  프로세서에 해당되는 소비전력과 클럭으로 말이다. 



▲ 위 사진은 공식 유통사를 거친 정품 인텔 코어 i7 13700K 와 코어 i7 14700KF 프로세서의 리테일 박스 모습 


이 부분은 인텔 뿐만 아니라 비단 AMD 프로세서도 마찬가지다.  전력 제한이라는 것은 프로세서에서 감지하는 열로 인해 낮은 클럭으로 프로세서 작동시키는 일종에 게이트 역할을 한다.   쉽게 이해하자면 전력 제한 = 높은 온도 = 프로세서의 낮은 클럭의 작동 을 의미한다.   14세대 인텔 코어 프로세서에서는 DJmax 즉, 프로세서의 최대 온도를 100도로 제한 하고 있다.  이로 인해 대부분의 메인보드들은 이 DJmax 값을 100도로 미리 설정하고 있다.   그래서 사실상 1시간 이상씩 프로세서의 성능을 100% 뽑아내지 않는 이상 이 온도를 도달할 확률이 낮다.   게다가 최근 높은 수준의 AAA 급 게임들은 프로세서의 높은 사용량 보다는 그래픽카드 성능에 조금 더 의존하는데 이는 게임 장르하고도 사실 일맥상통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프로세서의 높은 성능이 100% 게이밍 성능에 영향을 미친다는 이야기는 어떻게 보면 맞고 어떻게 보면 틀리다고 볼 수 있다. 


아무튼 오늘 기사는 국내에서도 가장 많이 판매가 된 서멀라이트의 듀얼 쿨러와 인텔 코어 i5 13600K, i5 14600K 의 온도를 확인해 봤다.  이번 기사에서 사용한 거 처럼 인텔의 20만원 내외의 중급 B760 칩셋 메인보드와 같이 사용할 때 무리감없이 그리고 온도에 대한 걱정 없이 충분히 사용할 수 있다고 결론을 내릴 수 있을 듯 하다.

최신 리뷰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관련 브랜드로그

1/1
최신 기획뉴스 전체 둘러보기
1/1
페이데이보다 높은 자유도로 하이스트 정상 노린다 (1) 게임메카
샤오미 SU7 사고 직후 폭발로 20대 여성 3명 불에 타 숨져 동영상 있음 오토기어
애플의 새 혁신 아이패드 긴급 공수 동영상 있음 UnderKG
[2025 서울모빌리티쇼] 봄 나들이, 아이와 함께 딱 좋은 체험형 콘텐츠 주목 (1) 오토헤럴드
8년 만에 결국 도산한 카누와 전기차에 진심이었던 BMW 동영상 있음 오토기어
[자동차와 法] 모빌리티 시대, 우리가 미처 몰랐던 도로교통 관련 규정 (1) IT동아
[2025 서울모빌리티쇼] BYD코리아, 전동화 기술 리더십 과시 및 소통 강화 오토헤럴드
[2025 서울모빌리티쇼] BMW 코리아, i4 M50·iX M70 국내 최초 공개 오토헤럴드
[2025 서울모빌리티쇼] 자동차 이상으로 빛날 부품기업들의 도전 현장 오토헤럴드
이탈리아 '시칠리아'에서 경험해야 할 것들 (2) 트래비
아직 당신이 모르는 스페인 소도시 (2) 트래비
[가이드] “자동 채집, 가방 무게”... 소소하게 써먹는 마비노기 모바일 잡기술들! (1) 게임동아
[2025 서울모빌리티쇼] 대한민국 자율주행 기술의 현재와 미래 한자리에 (3) 오토헤럴드
Z세대의 코카-콜라 음료 즐기는 법 (4) 마시즘
70급 그래픽카드 지포스 RTX 5070/라데온 RX9070XT, 100만원 시대가 왔다 동영상 있음 보드나라
뚜따 안 하고 그냥 CPU위에 리퀴드 메탈 바르면 온도 몇 도 떨어질까? (1) 동영상 있음 민티저
아끼던 LG OLED TV 고장났습니다, 패널 교체 얼마? #oledtv 동영상 있음 DmonkTV
"황금알인줄 알았는데.." 근심만 쌓여 가는 자율 주행 시장 동영상 있음 오토기어
독창적인 기능과 디자인. 마이크로닉스 2025 신제품 발표회 (2) 기글하드웨어
진정한 게이밍PC란 이런 것!! 유저들과 함께 한 'MSI 익스피리언스 데이' (2) 미디어픽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