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방학이다. 와~ 좋다. 이러한 함성이 들릴 법도 하지만 제기랄~ 연이은 장마가 계속되고 있다. 문제는 푹푹 찌는 장마라는 것. 1주일 연짝으로 내리는 폭우에 기분까지 우울해질 무렵 비는 그쳤지만, 곧이어 찾아온 것은 타들어가는 무더위다.
이번 여름은 정말 모 아니면 도라는 말이 딱 어울릴 정도로 사람을 괴롭히는 날씨가 계속되고 있다. 그래도 우리는 게임을 즐긴다. 왜냐하면 게임은 겉으로 드러내지 않고 즐길 수 있으니까! 게이머가 외모로 말하던가? 실력으로 말하지!
그 점에서 그래픽카드만큼 필살기 아이템도 드물다.
AMD 라데온 vs 엔비디아 RTX
게이밍 그래픽카드 하면 대부분의 사람들이 '엔비디아'를 떠올린다. 시간이 흘러도 이 공식은 변하지 않는 것일까? 우리는 기억한다. 감염병 사태를 기점으로 시작된 그래픽카드 파동을. 그 무렵부터 상승한 '글카 몸값'은 우리에게 한 가지 교훈을 남겼으니 '비싸도 너무 비싸다'라는 메시지다.
그래, 지금도 비싸다. 그 점에서 가격도 저렴하면서 성능도 좋은 그래픽카드가 있을 거라 믿었다.
이 글은 위에서 언급한 문제에 대한 대안을 찾고자 시작했다.
# 라데온이 좋다던데?
조립 PC의 메카인 용산에 위치한 여러 PC 조립 대리점을 방문했다. "사장님~ 요즘 라데온 어떤가요?"라는 질문에 대해 대리점 사장님들은 성능 대비 가격적인 측면에서 만족도가 높다고 답했다. 특히 다양한 브랜드에서 제품을 공급하고 있어 제품 공급 부족으로 인한 불편이 없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렇다면 여름 방학을 맞아 추천할 모델은 어떤 것이 있을까?
* UHD 해상도
RX 7900XTX
RX 7900XT
RX 7900 GRE
*QHD 해상도
RX 7800XT
RX 7700XT
RX 6800
*FHD 해상도
RX 7600
RX 6600
RX 6500 XT
위의 9가지 제품은 시장에서 구매할 수 있는 모델로, 보급기부터 중급기 그리고 고급기까지 모두 포함한다.
특히 최고 및 최상이라는 단어에 손색없는 기종은 RX 7900 XTX이다. 하지만 100만 원을 가볍게 넘는 비싼 몸값이 단점이다. 반대로 RX 6500 XT는 20만 원대라는 놀라울 정도로 저렴함을 자랑한다.
참고로 시장에서 물량이 부족하다는 말이 들리는 RX 7900 GRE 에디션은 70만 원대 제품으로, 고가와 저가의 중급기로 꽤 쓸만한 하드웨어 사양을 갖추고 있으며, 적절한 가격대 포지션을 겨냥하면서 제법 높은 인기를 끌고 있다. 2024년 기준 50만 원에서 100만 원 사이의 가격대 포지션에 중급기가 위치한다. 이 구간에 위치하는 제품들은 가성비로 통한다.
# SPEC과 성능은 비례한다
핵심은 RDNA 아키텍처다. 버전은 3와 2로 나뉘는데, 향상된 컴퓨팅 유닛, 파이프라인, 고해상도 게이밍 지원 기술의 범위에 따라 차이가 난다. RDNA 3는 RDNA 2 대비 50% 더 향상된 와트당 성능을 자랑한다. 물론 그만큼 비용이 들지만, 성능 차이는 확실하다. 모델명으로 구분하자면 RX 6xxx 시리즈는 RDNA 2, RX 7xxx 시리즈는 RDNA 3 세대로 분류된다.
RDNA 3는 RDNA 2의 후속으로, 성능과 효율성 면에서 여러 개선을 이루었다. 특히 레이 트레이싱 성능과 AI 가속 기능에서 비약적인 개선을 보였다. 제조 공정이 더욱 미세화되고 트랜지스터 수가 증가하면서 성능 및 전력 효율성 부분에서 효과를 보았고, 메모리 인터페이스와 대역폭 확대로 하드웨어 기반 레이 트레이싱과 AI 가속 성능도 개선되었다.
◆ 테스트 환경
① CPU - R9 7800X3D - 8C16T / 4.2~5.0GHz / L2+L3 104MB / TDP 120W
② M/B - ASRock 스틸레전드 X670E WIFI 대원씨티에스
③ RAM - OLOy DDR5-6000 CL32 BLADE RGB MIRROR 패키지 올로이앤코 (32GB(16Gx2))
④ SSD - Micron Crucial P5 1TB 대원씨티에스
⑤ VGA - option
⑥ PSU : 맥스엘리트 맥스웰 듀크 1300W
⑦ OS - Windows 11 Pro 22H2
⑧ 써멀 - Thermal Grizzly KryoSheet 33x3
⑨ 쿨러 - 다크플래쉬 D21 ELLSWORTH
테스트는 제품별 권장 해상도에서 측정한 수치를 그래프로 나타냈다. FHD, QHD, UHD로 나누어 진행했으며, UHD 해상도는 단순히 그래픽카드 성능이 좋다고 해서 적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세 가지 게임을 기반으로 테스트를 진행했고, 하위 3가지 모델, 중간 포지션의 3가지 모델, 상위 포지션의 3가지 모델로 나누어 성능 등급을 확인했다.
* RDNA 2 (RX 6xxx 시리즈):
FHD 해상도: RX 6500 XT, RX 6600
QHD 해상도: RX 6800, RX 6700 XT
UHD 해상도: RX 6900 XT
* RDNA 3 (RX 7xxx 시리즈):
FHD 해상도: RX 7600
QHD 해상도: RX 7700 XT, RX 7800 XT
UHD 해상도: RX 7900 GRE, RX 7900 XT, RX 7900 XTX
RDNA 3는 RDNA 2 대비 전력 효율성과 성능 면에서 큰 개선을 이루었다. 이는 특히 고해상도 게임과 AI 가속 기능에서 두드러진다. 가격 측면에서도 다양한 옵션이 제공되므로, 사용자들은 자신의 예산과 필요에 맞는 그래픽카드를 선택할 수 있다.
# 경쟁사 제품과 비교 구도는?
결과가 나왔으니 다음 의문은 "경쟁사 제품과는 어떻게 비교되는가?"이다. 시장에서 팔리고 있는 RTX 4000 시리즈와 RTX 3000 시리즈를 기준으로 라데온의 RX 7000 시리즈와 비교해 보았다. 다음은 각 해상도별로 비교되는 포지션 제품이다.
* UHD 해상도
AMD 라데온: RX 7900XTX, RX 7900XT, RX 7900 GRE
엔비디아 지포스: RTX 4080 Super 16GB, RTX 4070 Ti Super 12GB
* QHD 해상도
AMD 라데온: RX 7800XT, RX 7700XT, RX 6800
엔비디아 지포스: RTX 4070 Super 12GB, RTX 4060 Ti 8GB
* FHD 해상도
AMD 라데온: RX 7600, RX 6600, RX 6500 XT
엔비디아 지포스: RTX 4060 8GB, RTX 3050 6GB, GTX 1650 4GB
인상적인 점은 비교되는 경쟁사 제품과의 가격 차이다.
UHD 해상도 기준: 엔비디아 제품이 약 150만원 대가 평균인 반면, 라데온은 130만원 대에 구매 가능하다.
QHD 해상도 기준: 엔비디아 RTX 4070 Super 12GB가 80만원 대 후반에서 110만원 대에 포진하고 있는 반면, 라데온 RX 7900 GRE는 70만원 대에 팔린다.
모든 가격대에서 라데온 그래픽카드는 가격 경쟁력이 뛰어났다.
** 편집자 주
고물가 시대에 실질적인 구매 부담을 낮춰주는 하드웨어로서, 라데온 그래픽카드는 확실한 경쟁력을 소비자에게 제시하고 있다. AMD 라데온 RX 7000 시리즈는 성능과 가격에서 큰 장점을 지니고 있어 게이머들에게 매력적인 선택지가 될 것이다. 본 글이 반드시 정답이라는 의미는 아니지만 적어도 이번 여름, 다양한 선택지 중에서 최적의 그래픽카드로 최고의 게임 경험을 즐겨야 한다는 목적이 있다면 해당 목적을 달성한다는 측면에서 명확한 참고자료가 될 것이라 자신한다.
By 김현동 에디터 Hyundong.kim@weeklypost.kr
〈저작권자ⓒ 위클리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