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이슈+] 대중에게 더 가까이, 시소닉 '가격인하' 역발상

2024.07.24. 14:18:47
조회 수
510
5
댓글 수
2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한 분야의 1위 브랜드에 오른다는 것은 많은 일을 쉽게 만든다. 업계의 표준이 되고, 많은 브랜드의 벤치마킹 대상이 되며, 무엇보다 소비자가 큰 고민 없이 믿고 살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강점이 된다.

파워 서플라이 전세계 점유율 1위. 지난 1975년 설립된 후 약 50년에 가까운 역사를 자랑하는 브랜드. 여기까지만 해도 시소닉 하면 대표적으로 믿고 사는 브랜드로 입지 자랑한다. 시장에는 수많은 파워 서플라이 브랜드가 있고 저마다의 입지를 확고히 하는 추세라지만 '시소닉' 이름이 안기는 강력한 신뢰는 애플이나 메르세데스 벤츠 부럽지 않은 위상과 진배없다.




시소닉의 성공 비결은 다음과 같은 요소에 기인한다.

1. 고품질 제품: 시소닉은 엄격한 품질 관리와 최신 기술을 적용한 파워 서플라이를 생산한다. 이로 인해 제품의 안정성과 내구성이 높아 소비자들이 신뢰할 수 있다.

2. 혁신적인 기술 도입: 시소닉은 고효율 전력 변환 기술과 저소음 설계 등 혁신적인 기술을 지속적으로 도입해왔다. 이러한 기술력은 시소닉 제품의 경쟁력을 높이는 요소가 된다.

3. 광범위한 제품 라인업: 시소닉은 보급형부터 고급형까지 다양한 제품 라인업을 갖추고 있어, 소비자들이 자신의 필요에 맞는 제품을 선택할 수 있다.

4. 우수한 고객 서비스: 시소닉은 고객 만족을 최우선으로 하여, 우수한 사후 지원과 긴 보증 기간을 제공한다. 이는 브랜드에 대한 신뢰를 더욱 강화한다.

5. 지속적인 연구개발 투자: 시소닉은 연구개발(R&D)에 꾸준히 투자하여, 최신 기술을 제품에 반영하고 있다. 이러한 지속적인 혁신은 시소닉이 업계 선두를 유지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이러한 요소들 덕분에 시소닉은 단순한 파워 서플라이 제조사를 넘어, 업계의 표준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었다. 시소닉의 제품은 전 세계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으며, 많은 소비자들이 신뢰하고 선택하는 브랜드로 자리 잡았다.

# 시소닉은 '왜' 대중에게 인정받나?


시소닉 제품이 대중으로부터 인정 받는 것은 몇 가지가 있지만, 최근 회사는 발열에 촉을 세우는 모습이다. 파워에서 발열 제어라? 갸우뚱 할 수 있는 부분이지만, 이는 타 파워 회사가 무심하게 만든 이유가 되기도 했다. 시소닉은 그 점에서 "파워 서플라이 성능은 결국 발열이 결정한다"라는 것에 주목한다.

PC의 수명은 곧 발열이라는 점에서 파워는 그동안 발열 관리라는 부분에서 무방비로 노출되었던 대표적인 품목이기도 하다. 하지만 '열' 이라는 측면에서 가장 직접적으로 노출되어 취약한 부품이기도 하다. 시소닉은 이러한 발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가지 혁신적인 기술을 도입했다. 꾸준히 변화를 거듭했지만 최근의 변화라는 측면에서 주목하자면 일단 팬이 꼽힌다.

통풍에 초점을 둔 하이브리드 팬은 단지 조용해야 한다는 측면에 집착하는 많은 파워 제품과는 결을 달리하는 부분이다. 시소닉 파워에 장착된 팬은 PC에 부하가 덜 걸리면 팬도 적당한 회전으로 효율을 높이고, 부하가 걸려 내부 온도가 상승할 때면 팬에 가속을 더해 최적의 밸런스를 찾는데 쉽게 말해서 영민하게 작동한다.

하지만 팬으로 끝내지 않았다. 한 가지를 더 추가해 냉각 효율을 높인다. 발열 제어에 도움을 주는 또다른 강력한 해결안을 케이블에서 찾는다. 일반적으로 쓰이는 18AWG 케이블 대비 16AWG 케이블을 사용한 덕분에 내부 온도가 최대 8도 낮은 효과를 가져왔다.
참고로 AWG는 미국 전선 규격(American wire gauge, AWG)으로 도선의 지름과 단면적에 대한 표준 규격 체계를 의미한다. 참고로 단면적은 전류량과 밀접한데, AWG 앞의 번호가 상승할 수록 전선이 가늘고 저항도 증가한다.

그 점에서 18AWG에서 사용하는 전선 한개의 지름은 1.02mm로 이때 단면적은 약 0.817mm2가 된다. 하지만 16AWG에서는 지름은 1.245mm 가되면, 단면적은 1.29mm2로 월등히 두꺼워진다.

반대로, 번호가 낮을수록 전선이 두꺼워져 저항이 감소하고, 더 많은 전류를 안전하게 전달할 수 있다. 최근 PC의 소모전력이 증가하는 것을 감안하면 더 두꺼운 전선을 사용하는 것은 시대상을 반영한 합리적인 전략이다.

# 하지만, 유일한 걸림돌 '가격' 문턱


이처럼 제품 본연의 값어치는 의심할 여지가 없으나 딱 하나의 장벽이 존재하고 그건 역시나 다수가 부담스러워 하는 가격이다. 시소닉은 높은 가격대로 인해 후발 주자들이 시장에 파고들 수 있는 여지를 제공했다. 동급 모델이 10만 원 이상 비싸다는 점은 분명 소비자들에게 구매를 망설이게 만드는 요소다.

이러한 상황에서 독점 수입원 맥스엘리트는 파격적인 가격 인하로 소비자들에게 접근하고 있다. 이번 가격 인하는 시소닉의 VERTEX GX 시리즈에 적용되었다. 출시된 지 2년이 되지 않은 모델이지만, 인하 폭은 상당하다.

850W 모델: 285,000원에서 208,000원으로 약 27% 인하
1000W 모델: 333,870원에서 254,000원으로 약 24% 인하


출시된 지 채 2년이 되지 않은 모델인데, 인하 폭은 850W 모델은 285,000원에서 208,000원으로,1000W 모델은 333,870원에서 254,000원으로 각각 27%, 24%, 약 8만원에 달한다. VERTEX GX 라인업은 미국에서도 높은 가격이 단점으로 지적돼 왔는데, 이번 인하로 인해 인기 라인업인 NEW FOCUS와 불과 만원 남짓한 차이로 줄어들었다.

에너지 효율성 (ETA): VERTEX GX는 플래티넘, NEW FOCUS는 골드
소음 수준 (LAMBDA): VERTEX GX가 더 우수한 소음 등급





VERTEX GX는 NEW FOCUS보다 분명히 상위 모델이다. 80Plus에서 부여한 등급은 Gold로 동일하지만, Cybenetics에서 인증한 효율은 차이가 난다. Cybenetics는 두 가지 인증 프로그램을 운영하는데 하나는 에너지 효율성을 평가하는 ETA, 다른 하나는 소음 수준을 평가하는 LAMBDA다. ETA에서 인증한 효율은 플래티넘과 골드로 차이가 난다. VERTEX GX가 NEW FOCUS보다 높은 전력 효율성을 보여준다는 의미다. LAMBDA 소음 등급 역시 VERTEX GX가 우위에 있다.

또한 VERTEX GX 시리즈에는 NEW FOCUS에 없는 1200W 모델이 있다. NEW FOCUS는 최상위 모델이 1000W다. 설령 동급 용량이라 하더라도 메인 캐패시터 용량이 VERTEX가 더 높다. 이는 데이터센터 및 반도체 설비와 같이 안정성이 매우 중요한 산업에서 VERTEX가 더 우위를 확보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 보증기한 최대 12년 '종신'보증


맥스엘리트가 VERTEX GX 시리즈에 유달리 후한 정책을 펴고 있음은 서비스 기간에서도 드러난다. 통상 시소닉 브랜드의 무상 AS 기간은 10년이다. 10년도 충분하지만, VERTEX 시리즈는 이보다 긴 12년이다. 이는 초기 구매자에게도 해당된다. 비싼 가격에 구매한 사용자에게는 이번 인하가 섭섭할 일이지만, 작은 배려가 될 수 있다.




VERTEX GX는 ATX 3.0, PCIe 5.0 표준을 지원한다. 이는 엔비디아 지포스 RTX 40 시리즈, AMD 라데온 RX 7900 시리즈 등 최신 그래픽카드, 마더보드와 완벽히 호환된다. 커뮤니티에서는 작은 팬에서 발생하는 소음에 대한 불만이 있었으나, 135mm 베어링 팬이 장착된 이후 소음에서도 자유로운 편이다. Cybenetics에서 소음 인증도 받았다.

그간 경쟁 브랜드는 ‘뛰어난 가성비’를 앞세워 시소닉과 차별화를 꾀했다.

그러나 이번 VERTEX GX 시리즈의 가격 인하는 시장 전체를 뒤흔들 만큼 공격적이다. 시소닉이 다른 브랜드에 비해 반드시 좋은 제품이라는 객관적 근거는 없으나, 파워 서플라이의 성능은 평준화되어 있어 소비자가 성능을 직관적으로 체감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물론, 전압 안정성과 피크 전압 대응 등 몇 가지 요건이 기준이 된다. 하지만 파워 서플라이는 그것이 다가 아닌 카테고리에 위치한다.

결과적으로 좋은 성능이라는 것은 소비자의 인식 싸움이다. 그리고 그 인식에서 시소닉은 압도적인 1등 자리를 내려놓지 않고 있다. 이런 시장에서 합리적 가격까지 얹었으니, 올해 하반기는 시소닉 VERTEX GX를 장착한 PC를 발견하는 일이 많이 늘어날 가능성이 높아졌다.

싸고 좋은 제품의 판매량이 증가하는 건 만고불편의 진리다.


By 김신강 에디터  Shinkang.kim@weeklypost.kr
〈저작권자ⓒ 위클리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위클리포스트 주요 기사]
· 레드빗, 라이젠 8000G 시리즈 PC 기획전 진행
· 용산 전자랜드 3층, 수르가즘의 본진 '타건샵 세모키'에 가다
· 아이피타임, 새로운 3세대 iUX 지원 펌웨어 배포
· [신간] 실전 AI 프로젝트 가이드, 쓸모 있는 AI 서비스 만들기 출간
· 주말 한정, 조텍 탁탁몰 RTX 4070 Ti SUPER 화이트 깜짝 특가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관련 브랜드로그

1/1
최신 기획뉴스 전체 둘러보기
1/1
[자동차와 法] 모빌리티 시대, 우리가 미처 몰랐던 도로교통 관련 규정 IT동아
[2025 서울모빌리티쇼] BYD코리아, 전동화 기술 리더십 과시 및 소통 강화 오토헤럴드
[2025 서울모빌리티쇼] BMW 코리아, i4 M50·iX M70 국내 최초 공개 오토헤럴드
[2025 서울모빌리티쇼] 자동차 이상으로 빛날 부품기업들의 도전 현장 오토헤럴드
이탈리아 '시칠리아'에서 경험해야 할 것들 (1) 트래비
아직 당신이 모르는 스페인 소도시 (1) 트래비
[가이드] “자동 채집, 가방 무게”... 소소하게 써먹는 마비노기 모바일 잡기술들! (1) 게임동아
[2025 서울모빌리티쇼] 대한민국 자율주행 기술의 현재와 미래 한자리에 (3) 오토헤럴드
Z세대의 코카-콜라 음료 즐기는 법 (3) 마시즘
70급 그래픽카드 지포스 RTX 5070/라데온 RX9070XT, 100만원 시대가 왔다 동영상 있음 보드나라
뚜따 안 하고 그냥 CPU위에 리퀴드 메탈 바르면 온도 몇 도 떨어질까? 동영상 있음 민티저
아끼던 LG OLED TV 고장났습니다, 패널 교체 얼마? #oledtv 동영상 있음 DmonkTV
"황금알인줄 알았는데.." 근심만 쌓여 가는 자율 주행 시장 동영상 있음 오토기어
독창적인 기능과 디자인. 마이크로닉스 2025 신제품 발표회 (2) 기글하드웨어
진정한 게이밍PC란 이런 것!! 유저들과 함께 한 'MSI 익스피리언스 데이' (1) 미디어픽
걷기 좋은 속초, 상도문돌담마을 (2) 트래비
최신 IT 제품에 이벤트까지...볼거리, 즐길거리 다양했던 '2025 인텔 & 다나와 아카데미 페스티벌' (1) 미디어픽
키보드의 현재와 미래를 엿보다 '서울 기계식 키보드 박람회 2025' (3) 미디어픽
고성능 노트북 CPU 세대교체? 라이젠 9 9955HX3D 성능 유출 및 출시 무산된 하이퍼스레딩 없는 인텔 프로세서의 존재 등 주요 소식 정리 (8) 다나와
혁신에 혁신을 더하다 '마이크로닉스 2025년 신제품 발표회' (2) 미디어픽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