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라, 실제 플레이는 어떤 PC제원을 필요로 할까?
1월 11일 공개서비스를 시작한 테라에 인기가 매섭다. 오픈서비스 첫날 온라인게임 순위 3위를 기록했고, 공개서비스 첫 주말인 15 16일에는 엔씨소프트 아이온을 넘어서 1위에 등극하는 대기록까지 세웠다.
아이온을 제치고 1위를 기록한 만큼 테라에 대한 유저들의 관심이 계속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테라를 즐기려는 유저들의 고민 또한 늘어나고 있다. 그 고민은 테라의 PC제원이 기존 온라인 게임과 비교해 높기 때문이다. 이에 게이머들은 테라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어떤 PC사양을 구입해야 할지 고민이 많아지고 있다.
지난번 테라 기사를 통해 게임에 맞는 중상과 최상 옵션의 PC사양을 뽑았 제시한 적이 있다. 게임이 오픈 되기 전 진행한 기사는 비공개 테스트 체험과 개발사가 얘기한 내용을 종합해 적은 내용이라 부족한 점이 있었다. 그래서 이번 기사는 테라가 오픈 테스트에 돌입한 만큼 실제 PC를 조립해 게임을 구동했을 때 어떤 성능을 보여주는지 직접 확인해 봤다.
테라, 권장 사양과 테스트 PC 구성은?
전에도 언급했지만 테라의 PC 권장사양은 역대 온라인 게임 중 최고를 자랑한다. 코어2듀오 급 CPU에 램 2GB, 그래픽카드는 지포스 8800GT나 Radeon HD3870을 필요로 한다. 여기에 설치에 필요한 하드용량도 25GB에 달한다.
테라 테스트를 위해 구성한 PC제원은 이렇다. 샌디브릿지 i5-2500과 P67 메인보드, 메모리는 4GB, 그래픽카드는 엔비디아 지포스 GTS450 GTX460 1GB 제품과 Radeon HD5770, 6850 1GB를 달아 직접 테스트 해봤다.
|
지포스 GTS450 / 880MHz / GDDR5(DDR5) / 3900MHz / 1GB / 128-bit / PCI-Express 2.0 x16 / 최대 106W / 정격파워 400W 이상
|
|
지포스 GTX460 / 725MHz / GDDR5(DDR5) / 3600MHz / 1GB / 256-bit / PCI-Express 2.0 x16 / 최대 160W / 정격파워 450W 이상
|
|
라데온 HD 5770 / 850MHz / GDDR5(DDR5) / 4800MHz / 1GB / 128-bit / PCI-Express 2.0 x16 / 유휴 18W / 최대 108W
|
|
라데온 HD 6850 / 775MHz / GDDR5(DDR5) / 4000MHz / 1GB / 256-bit / PCI-Express 2.0 x16 / 유휴 19W / 최대 127W
|
테라, 옵션에 따른 그래픽 차이와 성능 차이는?
테라의 그래픽은 화려하면서도 광대하고, 아름다움을 추구한다. 특히, 따뜻한 색감과 디테일한 그래픽은 이 게임의 강점이다. 옵션 설정에 따른 그래픽 차이는 일괄 그래픽 설정을 통해 알아봤다.
일괄 그래픽 설정은 최대 6까지 설정이 가능하다. 자세한 설정에는 해상도와 화면 이펙트 표현, 폭력적 표현 수위, 텍스쳐 품질, 캐릭터 품질, 배경 품질, 이펙트 품질, 기타 품질 등으로 나뉘어 세부적인 설정이 가능하다. 그중 기타 품질에는 저사양용 라이팅 설정과 다수 유저 최적화 설정이 가능해 낮은 사양에서도 가능하게끔 만들었다.

▲ 옵션별 그래픽 차이(스크린샷을 누르면 크게 볼수 있다)
옵션 설정에 따른 그래픽 차이는 크게 알 수 있다. 최고 옵션은 모든 옵션이 적용되어 디테일하고 세부적인 그래픽 표현을 보여준다. 중간옵션으로 낮추게 되면 캐릭터 피부의 질감 표현력과 세부적인 묘사가 줄어들고 맵 바닥의 명암 표현력도 낮아진 모습이다. 최저 옵션은 말을 안해도 스크린샷에서 한눈에 알 수가 있다.
실제 게임 테스트 성능을 어떠할까. 1920x1200 픽셀 해상도에 최고 옵션(일괄-6)으로 설정을 통해 4개에 그래픽카드를 이용해 테스트를 진행했다. 테스트결과 GTS 450이 평균 31프레임을, GTX460 48프레임, HD5770 제품인 34프레임, HD6850 제품이 45프레임을 기록했다.
테라 게임이 프리타겟팅 방식이기 때문에 몬스터를 때리고 계속 움직이며 사냥을 해야하기 때문에 화면 전환에 따른 그래픽 처리 능력이 빨라야한다. 4개의 그래픽 카드 게임을 즐기는데 무리는 없었지만 메인스트림급 그래픽 카드에서 최고 옵션은 약간 무리가 있기 때문에 450과 5770은 해상도를 조금 낮추거나 그래픽 설정을 조금 한단계 아래로 설정을 하는 것이 좋다.
하이엔드급 그래픽카드인 GTX460과 HD6850은 빠른 화면 전환에도 문제 없고, 마을이나 성과 같이 유저들이 많이 모이는 장소에서도 평균 30프레임 이상을 뽑아주며 최고옵션에도 문제가 없다.
성능과 소비전력을 생각한다면 'Radeon' 조합 추천
그래프에서 봤듯이 성능만을 본다면 엔비디아 GTX460 제품이 높게 나와 게임을 하는데 권하고 싶다. 하지만 MMORPG 장르를 오래 즐기는 유저들이라면 Radeon HD6850 그래픽 카드를 추천해 주고 싶다.
당연한 결과라 기사 테스트에서 뺐지만 Radeon 그래픽카드의 소비전력은 지포스 그래픽카드와 비교해 매우 적게 전력을 소비한다. MMORPG의 경우 레이드나 던전에 들어가서 게임을 진행하게 되면 오랜시간동안 게임을 해야해 하기 때문에 전기요금도 생각을 해야한다.
그렇기 때문에 소비전력이 낮은 Radeon HD6850 제품을 선택하면 전기 요금 부담도 줄이고, 최고 옵션에서 테라를 구동할 성능도 갖추고 있기에 추천을 해본다. 여기에 AMD의 아이피니티 기술을 테라에 적용한다면 더욱 실감나는 게임을 즐길 수 있다는 점도 또 하나의 매력이다.
구분 |
테라 추천 PC(최고옵션용) |
중앙처리장치 |
|
메인보드 |
|
메모리 |
|
그래픽카드 |
|
하드디스크 |
|
광학드라이브 |
|
케이스 |
|
전원공급장치 |
|
가격 |
80만원후반대 PC |
"댓글 이벤트" 테라(Tera)를 직접 즐겨보고 게임에 대해 장/단점을 얘기해 주세요.댓글을 단 유저중 한명을 뽑아 Radeon HD6850 1GB 제품을 보내드리겠습니다.
|
미디어잇 박철현 기자 pch@it.co.kr
상품전문 뉴스 채널 <미디어잇(www.i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