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구점에 갔다가 아이가 좋아하는 만화 캐릭터가 그려져 있는 퍼즐을 하나 샀다. 좋아하는 캐릭터인 까닭에 아이는 퍼즐에 남다른 관심을 보인다. 퍼즐이 다 맞춰져 있는 본래의 상태를 보여준 후 퍼즐조각을 다 흩어놓고 하나씩 맞춰보기로 했다. 평소 유난히 움직임이 많은 아이가 꽤 오랜 시간 자리에 앉아 퍼즐을 맞추고 있다.
퍼즐을 맞추는 아이를 보며 ‘퍼즐이 집중력을 높이는 데 좋구나’라고 생각했다. 알고 보니 퍼즐은 아이에게 생각보다 효과적인 놀이였다.
퍼즐은 단지 조각을 맞춰 끼우는 놀이가 아니다. 집중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 것은 기본이고 퍼즐 조각의 크기, 모양 등을 관찰하고 끼워 맞추는 과정에서 수학과 과학의 개념을 자연스럽게 습득하게 된다. 퍼즐을 완성하기 위해 그림을 관찰하고 맞는 조각을 찾으면서 문제해결력도 높일 수 있다.
소근육 발달에 도움이 되는 것은 두 말 하면 잔소리. 게다가 언어능력까지 높일 수 있으니 이제 퍼즐을 ‘놀이’가 아닌 ‘공부’로 봐야 하지 않을까 싶을 정도다.
산만한 아이도 집중하게 만들어
텔레비전을 보면서도 끊임없이 주위를 두리번 거리며 새로운 놀이감을 찾고 여기 저기 돌아다니는 아이가 퍼즐을 만나면서 한 자리에 오랜 시간 앉아 있게 됐다. 퍼즐이 아이의 집중력을 높여준다는 것을 보여주는 모습이다.
실제 산만하고 주의력이 부족한 아이들을 치료하는 데 퍼즐이 활용된다고 한다. 과거 얌전하고 집중력이 높은 아이를 꿈꾸며 바둑을 배우게 했던 것과 비슷한 효과일까.
퍼즐을 완성하기 위해 한 자리에 앉아 오로지 퍼즐에만 몰두하면서 집중력과 끈기를 기를 수 있다. 퍼즐을 완성한 후에 아이가 느끼는 성취감도 크다. 어른들 역시 퍼즐을 완성하면 뿌듯함으르 느끼지 않는가. 아이가 퍼즐을 완성했을 때 칭찬을 많이 해 주면 아이는 퍼즐에 더 흥미를 느껴 집중력과 성취감은 한층 높아질 것이다.
퍼즐의 개수는 중요치 않다. 적은 개수의 퍼즐조각이라도 아이는 그것을 맞추기 위해 어른들이 상상하는 것 이상으로 몰두한다. 부모의 욕심으로 조각이 많은 퍼즐을 고를 것이 아니라 아이의 연령에 맞춰 조각의 수가 적당한 퍼즐을 선택하는 것도 잊지 말자.
다양한 언어·어휘표현 가능해져
아이와 퍼즐을 맞추면서 조용히 하는 부모는 없을 것이다. “여기에 맞는 조각을 찾아볼까?”, “우리 OO가 잘 맞췄구나”, “이번에는 엄마가 맞췄네”, “어머나~ 빈자리에 쏙 들어갔구나” 등 끊임없이 아이에게 말을 붙이고 대화를 하며 퍼즐을 완성해 나간다. 이처럼 부모의 다양한 언어·어휘 표현은 아이의 언어 능력을 높여주는 데 효과적이다.
한글 및 영어 단어를 퍼즐로 맞추며 익힐 수 있도록, 처음부터 언어 능력 향상을 목적으로 한 퍼즐도 있다.
수학·과학개념 익히는 조기 교육
‘퍼즐로 수학과 과학의 개념을 익힌다고?’ 다소 의아할 수 있지만 생각해보면 바로 고개가 끄덕여진다.
퍼즐을 완성하기 위해서는 조각의 크기와 모양 및 필요한 조각의 개수 등을 살피게 된다. 이를 통해 크기, 서열, 모양, 수 등의 수학개념을 자연스럽게 터득하게 된다. 퍼즐을 맞추기 전에 아이와 함께 조각의 개수를 세어본다면 기본적인 개념을 이해하는 데 더 효과적이다.
이뿐 아니다. 퍼즐 전체의 그림과 조각의 그림 및 모양을 관찰하고 예측, 탐색하면서 퍼즐을 완성하는 덕분에 과학의 기본개념까지 접하게 된다. 스스로 퍼즐 조각을 맞추면서 문제해결능력도 높아진다. 단, 부모의 개입을 최소화하고 아이가 스스로 퍼즐을 맞출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중요하다.
소근육 발달되고 눈·손 협응력 높여
퍼즐은 눈으로 보고 손으로 맞추는 놀이다. 당연히 눈과 손의 협응력이 높아질 수 밖에 없다. 퍼즐을 집고 맞추고 놓는 과정은 소근육 발달에도 도움이 된다. 바닥에 있는 납작한 퍼즐을 집어 든다는 것은 아이들 입장에서는 쉽지 않은 일이다. 따라서 퍼즐을 잡고 다루는 모든 과정이 아이들에게는 손과 손가락을 조작하는 하나의 운동인 셈.
소근육 발달은 두뇌 발달과도 긴밀한 관계가 있다고 해 부모들이 많은 관심을 갖고 있는 분야가 아닌가. 똑똑한 아이를 원한다면 오늘이라도 당장 퍼즐을 사와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c) 리드맘( http://www.leadmom.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관련기사
엄마표 홈스쿨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한 방법 없을까?
생활 속 엄마표 홈스쿨, ‘달걀 탱탱볼 과학놀이’
[기고] 엄마표 홈스쿨, “블록을 이용해 볼까?”
홈스쿨링은 즐거워! 스토리 블록놀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