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론, 3D 프린터, 헨드핼드 등 차세대 먹거리로 언급되는 첨단기술을 말할 때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바로 사물인터넷이다. 영어 internet of things의 머릿글자를 따서 흔히 iOT라고도 하는 사물인터넷은 무엇인가?
이제는 고전이 된 영화 마이너리티 리포트를 보면, 주인공인 탐 크루즈는 허공에 스크린과 키보드를 띄우고 다양한 기기와 시간과 장소를 가지지 않고 정보를 주고받는다. 운전하는 모습이 백미인데, 탐 크루즈탄 무인 자동차는 자동차 하나하나가 연결되어 통신하며 거의 막힘없는 교통 통행상태를 뽐낸다. 보통 통신은 반드시 사람과 사람 사이에서만 필요하다는 개념을 완전히 바꾼 것이다. 심지어 거의 혼수상태인 영매들과도 통신한다.
기존에 사람과 사람 사이에서만 필요하던 통신이라는 개념이, 음성에서 정보로 바뀌고, 그 정보가 기기에서 사람, 사람에서 사람뿐만 아니라, 사물(things)라는 개념으로 확장된 개념이 바로 사물인터넷이다. 예전에는 굳이 인터넷이나 통신에 연결될 필요가 없었던, 냉장고나 세탁기 같은 가전제품이나, 다양한 의료기기 등이 인터넷에 연결되어 정보를 쌓고 이를 분석하며, 다양한 기기들이 연결되는 것. 이것이 바로 사물인터넷, iOT(Internet of Things)다.
워낙 발전 속도가 빠른 IT분야에서 클라우드, 빅데이터 등과 함께 트랜드의 최전선에 나타난 기술이자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태양 아래 새로운 것이 없다는 격언처럼 사물인터넷 역시 비교적 오랜 뿌리를 가지고 있는 개념이다.
즉 사물인터넷의 기초단계인 사물통신(M2M)에서 시작해서, 유비쿼터스(Ubiquito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