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무선 고음질을 선호한다면 블루투스 헤드폰을! - 블루투스 음향장비 특집 1

다나와
2016.08.19. 10:36:43
조회 수
22,113
9
댓글 수
13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곧 출시될 아이폰7이 이어폰 포트를 완전히 제거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파문이 일고 있다. 블루투스 이어폰과 헤드폰의 주목도가 날로 높아져 가는 것은 사실이지만 여전히 유선 이어폰과 헤드폰을 사용하는 유저들이 많은 상황에서 극단적인 선택이라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삼성전자는 이어폰 포트를 삭제하는 무리수를 두고 있지는 않지만, 자체적으로 블루투스 헤드폰과 이어폰을 꾸준히 출시하며 라인업을 늘려가고 있다. 최근에는 귀에 쏙 들어가는 사이즈의 기어 아이콘X를 출시해 주목을 받기도 했다.

 

스마트폰이 현대인의 주된 음악 플레이어로 자리 잡으면서 주변기기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데 덕분에 함께 인기를 끄는 것은 블루투스 음향기기다. 무선 환경에서도 쾌적한 음악 감상을 원하는 이들에게 적합한 블루투스 헤드폰, 일상에서 가볍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블루투스 이어폰, 전화 통화가 많은 이들에게 적합한 블루투스 이어셋까지 다양한 제품이 꾸준히 출시되고 있는 상황이다.

 

 스마트폰으로 음악을 즐기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블루투스 버전이 올라가면서 초기의 불안정했던 연결성과 불만족스러웠던 음질들이 개선돼 최근에는 유선으로 연결된 음향기기 못지않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블루투스 음향기기. 앞으로 세 편의 기사를 통해 블루투스 헤드폰, 이어폰, 이어셋의 선택 기준을 살펴본 후 형태와 종류별로 분류해 주요 인기 제품을 소개해 보고자 한다.

 


 블루투스 음향기기의 스펙 이해하기 


블루투스 음향기기를 구매하기 위해 스펙을 살펴보면 A2DP, APT-X, LDAC 등의 용어가 표시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겉으로 보기에는 복잡해보이지만 생각보다 단순하며, 여기에 대해 조금만 이해를 하고 있어도 블루투스 음향기기를 구매하는데 큰 도움이 되기 때문에 각종 용어에 대해 간단하게 짚고 넘어가고자 한다.

 

 프로토콜과 코덱은 블루투스 음향기기의 핵심 포인트

 

 

▶ 프로토콜
블루투스가 기기와 기기를 연결하는 무선 통로라면 프로토콜은 두 기기가 대화할 수 있는 통신규약, 다시 말해 기기간의 언어다. 블루투스 헤드폰, 이어폰, 이어셋에서는 크게 4가지 프로토콜이 사용되며 기능을 간단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A2DP
A2DP는 스테레오 오디오를 재생하기 위해 꼭 필요한 프로파일이다. 제품 스펙에 ‘A2DP’ 표시가 되어 있다고 해서 특별하게 생각할 것은 없다. 블루투스 음향기기라면 기본적으로 지원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 AVRCP
AVRCP는 음악을 제어할 수 있는 프로파일이다. A2DP가 단순히 음악을 재생하는 역할이라면  AVRCP는 음악을 재생하거나 정지 또는 이전곡과 다음곡으로 넘어가는 등의 제어를 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라 보면된다.

 

▶ HSP
HSP는 전화 통화 시에 사용되는 프로파일이다. 전화 통화가 주 목적이기 때문에 모노이며 음질 또한 낮다. 간혹 블루투스 헤드셋을 연결해 음악이 가능하다고 광고하는 제품이 있는데, 프로파일 자체가 음악감상용이 아니기 때문에 실망스러운 음질을 경험할 수밖에 없다.    

 

▶ HFP
HFP는 전화 통화를 조작할 수 있는 프로파일이다. AVRCP와 마찬가지로 조작을 담당하며 전화 통화의 받기, 끊기, 재다이얼 등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 코덱
앞서 살펴본 것처럼 프로토콜은 두 기기가 통신할 수 있는 언어라 할 수 있다. 무선으로 본래의 디지털 음원을 그대로 전송해서 재생하면 좋겠지만 블루투스로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의 크기가 제한적이다보니 필수적으로 압축을 거처야만 한다. 코덱은 바로 이때 사용되는 소프트웨어로 사운드의 압축과 해제를 담당한다.

 

음악을 제대로 재생하기 위해서는 재생하는 기기와 출력하는 기기가 동일한 코덱을 지원해야 한다. 예를 들어 애플 아이폰은 APT-X를 지원하지 않는데 APT-X와 SBC만 지원하는 블루투스 이어폰 또는 헤드폰을 구매할 경우 대부분의 기기가 기본으로 지원하는 SBC 수준의 음질을 경험할 수밖에 없다. 

 

소니에서 개발한 LDAC도 마찬가지다. 현존 최고의 음질을 자랑하는 코덱이지만 소니가 라이센스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소니의 스마트폰과 음향기기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다. 때문에 무작정 음질이 좋다는 말에 현혹되어 구매할 것이 아니라 반드시 자신이 사용하는 기기를 지원하는 코덱을 확인한 후 구매하는 지혜가 필요하다.


▶ SBC
대부분의 기기가 기본으로 지원하는 코덱이다. 음악 감상이 아닌 전화 통화의 용도로 개발됐으며 MP3보다 음질이 떨어지기 때문에 소리가 끊어지지 않고 들린다는 점에 만족해야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물론 제조사에서 음향을 어떻게 설계하고 어떤 하드웨어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조금씩 다른 음질을 보여준다.

 

▶ APT-X
CD급 음질을 들려주는 블루투스 음향기기의 대표적인 코텍이다. 대부분에 제품이 SBC만 지원했기 때문에 유선보다 확실히 뒤쳐지는 음질을 보였지만 APT-X 코텍의 등장으로 MP3 이상, CD에 준하는 음질을 즐길 수 있게됐다. 최근에 출시되는 대부분의 블루투스 이어폰, 헤드폰에 이를 지원하며 블루투스 이어폰의 음질 향상에 큰 기여를 한 코덱이기도 하다.

 

▶ AAC
APT-X 코덱의 라이센스가 삼성전자에 있다보니 이를 사용하지 못하는 애플 제품에서 사용하는 코덱이다. 애초에 음악 감상을 위해 만들어졌기 때문에 APT-X와 대등한 수준의 음질을 들려준다. 앞서 살펴본 두 가지 코덱과 마찬가지로 압축을 하면서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 LDAC
소니에서 개발한 코덱으로 기존 블루투스보다 3배 넓은 전송폭을 제공해 ACC, APT-X보다 더 뛰어난 HRA(최대 96kHz/24bit) 사운드를 경험할 수 있게 해준다. 다만 소니에서 출시한 제품들 간에 사용 가능하기 때문에 헤드폰, 이어폰 뿐 아니라 스마트폰과 MP3도 소니의 제품을 사용해야 한다.

 

 


 

 블루투스 헤드폰의 종류


헤드폰은 하우징의 종류에 따라 소리가 밖으로 새어나가지 않는 밀폐형과 오픈형으로 나뉜다. 밀폐형은 차음성이 뛰어나 소리가 밖으로 새지 않지만 내부적으로 울림이 발생할 수 있으며, 반대로 오픈형은 차음성이 떨어져 소리가 밖으로 새기는 하지만 공기의 흐름이 좋아 깊고 풍부한 소리를 내는 특징을 갖추고 있다.

 

 

 고음질을 원한다면 블루투스 헤드폰이 답이다

 

대부분의 블루투스 헤드폰은 밀폐형인데 헤드폰 내부의 진동판 크기에 따라 사람의 귀보다 크면 오버이어, 그보다 작으면 온이어로 구분된다. 진동판의 크기가 크다고 해서 무조건 음질이 좋은 것은 아니며 제조사의 기술력에 좌우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오버이어의 경우 제품의 크기가 크고 무겁기 때문에 실내에서 주로 사용되며, 온이어의 경우 상대적으로 작고 가볍기 때문에 접어서 휴대할 수 있다.

 


■ 브랜드별 고음질 블루투스 헤드폰 소개

블루투스 이어폰이 아닌 블루투스 헤드폰을 사용하는 이유는 하나다. 무선의 자유로움 느끼면서도 최대한 좋은 음질을 경험하고 싶다는 것. 물론 블루투스 이어폰이라고 해서 음질이 떨어지는 것은 아니며, 블루투스 헤드폰이라고 해서 음질이 더 뛰어난 것은 아니다. 하지만 구조적으로 드라이브가 더 큰 헤드폰이 조건이 더 좋을 수밖에 없다. 고음질을 선호하는 사용자들에게 추천하는 인기 브랜드와 주요제품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살펴보도록 하자. 

 

▶ Creative
-AURVANA PLATINUM

50mm 네오디뮴 드라이버를 탑재한 AURVANA PLATINUM은 AURVANA 라인업의 플래그십 모델이다. 저음부터 고음까지 전 음역대를 생생하게 제공하며 SBC, APT-X, ACC 뿐 아니라 Faststream을 통해 낮은 지연율을 제공한다. 주변소음을 줄어주는 Tri-Mode ANC 기능도 갖추고 있으며 ClearSpeech, HD Voice-ready 등을 통해 쾌적한 통화를 제공한다. NFC를 지원해 연결이 간편하고 한 번 충전시 최대 15시간 동안 재생할 수 있다.

 

 

 

-AURVANA GOLD
AURVANA GOLD는 40mm 네오디뮴 드라이버를 탑재한 블루투스 헤드폰으로 AURVANA PLATINUM의 하위 모델이다. SBC, APT-X, ACC 뿐 아니라 Faststream을 통해 낮은 지연율을 제공하며 이중 내장 마이크를 통해 85%의 소음을 줄여주는 ANC기능도 갖추고 있다. NFC를 지원하는 것은 물론 ClearSpeech, HD Voice-ready 등을 통해 쾌적한 통화를 제공한다. 한 번 충전시 최대 15시간 동안 재생 가능하다.

 

 


▶ 소니
-MDR-1ABT

보르도핑크, 차콜블랙, 시나바레드, 라임옐로우, 비리디언블루 총 다섯가지 컬러로 출시된 MDR-1ABT는 40mm HD 드라이버 유닛을 적용해 저음부터 고음역대까지 모두 즐길 수 있는 블루투스 헤드폰이다. 풀 디지털 앰프 기술인 S-master와 압축 음원의 음질을 향상시켜주는 DSEE가 적용됐으며 자체 개발한 LDAC 코덱 역시 지원해 블루투스 헤드폰임에도 불구하고 원음에 가까운 HRA급 사운드를 즐길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h.ear on Wireless NC MDR-100ABN
HRA에 대응하는 무선 노이즈캔슬링 스테레오 헤드셋으로 듀얼 노이즈 센서 기술이 적용돼 주변 소음을 효과적으로 감쇠해 최상의 몰입감을 제공한다. 티타늄 코팅 진동판을 채용한 40mm HD 다이내믹 드라이버를 탑재해 저음부터 중고음에 이르는 균형잡힌 사운드를 들려주고 있으며, MDR-1ABT와 마찬가지로 LDAC 코덱을 지원하고 압축 음원의 음질을 향상시켜주는 DSEE가 적용돼 HRA급 사운드를 즐길 수 있다. 완충 시 20시간 사용이 가능하며, 1시간 충전으로 4시간 동안 사용할 수 있다.

 

 


▶ 아반트리
-오디션 프로
오디션 프로는 40mm 드라이버를 탑재한 블루투스 헤드폰으로 아반트리 오디션 모델의 상위모델이다. SBC와 AAC 코덱을 지원하며 APT-X의 업그레이드 버전이자 저지연 코텍인 APT-XLL을 지원해 영상과 완벽한 음성 동기화를 제공한다. 기존 모델과 달리 접어서 보관할 수 있으며, 중저음이 아닌 전대역의 선명한 음질을 경험할 수 있다.

 

 

-오디션
블루투스 4.0에 NFC를 탑재한 블루투스 헤드폰으로 SBC, AAC, APT-X를 모두 지원해 뛰어난 음질을 즐길 수 있는 제품이다. 내장 마이크를 탑재해 음악 감상은 물론 전화와 음악감상, 게임 상에서의 음성채팅도 가능하며 완충 시 최대 40시간 사용, 배터리가 소모된 후에는 유선 케이블을 연결해 음악을 감상할 수도 있다. 

 

 


하만카돈
-SOHO Wireless
이름만으로도 신뢰를 주는 하만카돈의 블루투스 헤드폰이다. 폭넓은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네이디뮴 트랜스듀서와 30mm 대구경 다이내믹 드라이버를 탑재해 파워풀한 중저음에서 맑고 깨끗한 고음에 이르기까지 균형잡인 사운드 밸런스를 제공한다. 오른쪽 이어 컵의 측면에 터치센서를 내장해 터치와 드래그로 조작 가능하며 완충 후 9시간 연속 재생할 수 있다. APT-X 코덱을 지원하며 NFC를 통한 연결도 가능하다.

 

 

 

▶ PHIATON
-BT330NC   

BT330NC에 새롭게 적용된 40mm 드라이버는 고음역의 선명도와 개선된 수준의 음질을 재생한다. 최적화된 바이브레이션 시스템과 풍부하고 웅장한 베이스를 제공해준다. 외부 소음을 95%까지 제거하는 액티브 노이즈 캔슬링이 적용돼 아웃도어 환경과 대중 교통이용시 쾌적한 음악 감상이 가능하다. APT-X 코덱을 제공해 뛰어난 음질을 제공하며 완충시 30시간 음악 재생, 29시간 통화가 가능하다.

 

 

 

지금까지 블루투스 음향기기에 대해 기본적으로 알아야 할 부분과 주요 제품에 대해 정리해 보았다. 어느 정도는 감을 잡았으리라 생각하며 다음 기사를 통해 블루투스 이어폰 주요 특징들과 인기 제품들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다.

 

기획, 편집 / 다나와 홍석표(hongdev@danawa.com)
글, 사진 / 테크니컬라이터 유성우
기사 제보 및 문의 (news@danawa.com)
(c)가격비교를 넘어 가치쇼핑으로, 다나와(www.danawa.com)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저작권 안내
크리에이트 커먼즈 저작자 표시 필수 상업성 이용 불가 컨텐츠 변경 불가
저작권 안내
저작권 표시 필수
상업성 이용 불가
컨텐츠 변경 불가
* 본 내용은 위의 조건을 충족할 시, 별도의 허가 없이 사용이 가능합니다.

관련 브랜드로그

1/1
최신 기획뉴스 전체 둘러보기
1/1
[숨신소] 느긋함의 미학, 도트 힐링 낚시 '캐스트 앤 칠' 게임메카
최대 34% 할인 단행한 BYD "국내 할인 판매 가능성은?" 동영상 있음 오토기어
27년 묵은 이스터에그부터 2억 화소 폰까지, 다 나왔습니다... IT 루머 총정리 (3) 다나와
로드나인, ‘비정상의 정상화’ 이은 3대 약속 (2) 게임메카
유통사 바뀌니 하이엔드도 출시하는 국내 수랭 쿨러 1등 NZXT 크라켄 엘리트 420 RGB [대원CTS] 동영상 있음 보드나라
현대 자율 주행 10년 뒤쳐져 있다!! 사실일까? 동영상 있음 오토기어
전기차 배터리, 가다서다 그리고 급제동ㆍ급가속하면 수명 38% 연장? 오토헤럴드
[뜨거운 희망, 양승덕 국밥 기행] 국밥에 담긴 진심, 횡성 ‘운동장해장국’ (2) 오토헤럴드
위태로운 전조 증상 닛산, 협력업체에 "웃돈 줄게, 결제 연기" 요청 오토헤럴드
[포토] 대전 오면 빵! 드립니다, 검은사막 하이델 연회 (2) 게임메카
제2의 엘든링이 될 것인가? 새로운 오픈월드 게임 더 블러드 오브 던워커 동영상 있음 집마 홀릭TV
유럽차를 위협하는 다크호스들, 국가별 자동차 특징(한·중·미·일 편) || 자동차 교양학 동영상 있음 Motorgraph
좀비부터 소울라이크까지, 국산 PC·콘솔 기대작 6종 (2) 게임메카
[넥스트 모빌리티] 재활용 혁신... 전기차 이상의 친환경차로 인식해야 오토헤럴드
[르포] "우리 것이 좋은 것이여" 공예 도시 청주에서 만난 제네시스의 '멋' (1) 오토헤럴드
[르포] 서울시티투어, 전기 오픈탑 2층버스로 즐긴다... 관광 명물 도약 (1) 오토헤럴드
현대차, 신들의 랠리 2025 WRC 그리스 랠리 '오트 타낙' 1위...더블 포디움 오토헤럴드
머스크 "미친 짓" 경고에도 美 친환경 인센티브 폐지 속도...전기차 급제동 (1) 오토헤럴드
[넥스트 모빌리티] 오직 인간의 힘에서 전기, 이제 수소로 달리는 자전거 오토헤럴드
[기자수첩] 엔씨 변화의 결실, 아이온 2에서 수확할까? (1) 게임메카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