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 내에서 유통되는 휘발유와 디젤의 가격이 폭등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돼 주목된다.
미국 워싱턴포스트는 22일(현지시각) 평양의 주유소들이 외교관과 국제기구에 한해서만 가솔린, 디젤 등의 연료를 판매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 언론은 평양 시내의 일부 주유소들이 폐쇄됐으며, 주유소들은 연료를 구하기 위한 주민들을 외면한 채 외교관과 국제단체들만을 대상으로 영업을 이어나가고 있다고도 덧붙였다.

미국 통신사 UPI는 평양 시내 주유소들의 유가는 휘발유가 4갤런(약 15리터)당 13달러(한화 약 1만5000원)이었으나, 최근 22달러(한화 약 2만5000원)로 폭등했다고 전했다.
이를 국내 기준으로 환산할 경우 평양의 인상된 휘발유 가격은 리터당 1600원 선이다. 이는 리터당 1577원 선을 형성한 서울의 평균 휘발유 가격(4월 24일 한국 석유공사 공시기준)보다도 높은 수준이어서 주목된다.
이에 따라 중국 정부가 본격적인 대북제재에 나선 것이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된다. 북한은 중국정부를 통해 매년 유·무상의 형태로 100만톤 규모의 원유를 공급받고 있다. 이는 북한의 원유 수입량의 70~80%에 달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때문에 북한이 핵실험을 강행할 경우 중국 정부는 원유공급 등의 제재를 가할 것이란 주장에 힘이 실리고 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최근 열린 미·중간의 정상회담에서 중국에 대북 제재동참 을 촉구한 바 있다.
한편, 한 전문가는 “북한은 당국이 직접 유류 가격과 유통을 통제하는 구조”라며 “중국 정부의 제재가 아닌 북한 당국 차원의 주민 통제일 수 있다”는 의견을 제기했다.
클래스가 다른; 자동차 뉴스 채널 데일리카 http://www.dailycar.co.kr
본 기사를 이용하실 때는 출처를 밝히셔야 하며 기사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 관련기사 ]
▶ 스마트폰만 있으면 주차고민 끝..원격전자동주차 2년내 양산
▶ 아우디·폭스바겐, 中 시장 전략 강화..친환경차에 ‘올인’
▶ [TV 데일리카] 벤츠가 선보인 GLC 쿠페..세련미 더해진 SUV
▶ 로터스, 가장 하드코어한 ′엑시지 컵 380′..그 모습 살펴보니
▶ 볼보가 中서 생산할 전기차..국내에도 투입될까?
▶ 랜드로버 디스커버리, 사전계약 500대 돌파..인기 이유는?
▶ 기아차, 인도에 1조원대 투자 계획..글로벌 시장 경쟁력 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