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마와 불볕더위로 시시각각 변하는 변덕스런 여름이다. 에어컨과 선풍기를 몸에 지니고 다닐 수는 없는 노릇이니 무더위에 대항할 대비책이 필요하다. 첫 번째 필수품은 단연 시원한 여름철 의류다. 여름철에 사랑받는 의류는 전통적인 천연원단과 기능성 원단으로 나뉘는데, 불과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스포츠와 아웃도어 의류에만 국한되던 기능성 원단이 요즘은 평상복에도 적용되고 있다.
기능성 원단은 흡습, 속건이 기본이다. 땀 흡수가 빠르고, 금방 마르며, 바람이 잘 통한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대표적인 냉감의류는 바로 ‘쿨맥스’다. 기존 폴리에스테르 소재의 단점을 보완해 개발된 쿨맥스는 스포츠웨어 뿐 아니라 일상복으로도 사랑 받고 있다. 최근에는 땀냄새를 없애줄 뿐 아니라 자외선 차단 효과도 입증 된 원단까지, 원단이 점점 발전하고 있다.
여름철에 딱 좋은 천연 원단은 뭐가 있을까?
▲보웰 100% 모시 여름 이불
우리 조상들은 어떤 원단이 시원한지 알고 있었다. 계절마다 한복의 소재를 달리해서 옷을 지어 입었고 피부에 닿는 촉감과 땀이 잘 마르는지 통기성까지 고려해 의복 소재를 랐다. 전통적인 천연 원단은 자연에서 얻어진 소재를 활용하기 때문에 예민하고 연약한 피부를 가진 아이나 어른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 장점이다.
여름철 대표적인 소재인 모시, 삼베, 리넨은 서로 형제격으로, 천연소재인 ‘마’에서 탄생된다. 마의 줄기에서 섬유로 뽑아 만든 것인데, 대마는 삼베, 저마는 모시, 아마로 짠 직물은 리넨으로 나뉜다. 이 중에서는 리넨이 가장 부드럽고, 삼베가 가장 뻣뻣하다.
▲까슬까슬하지만 시원하다. 삼베
삼베는 대마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거칠고 뻣뻣해 주로 수의나 이불로 사용된다. 항균, 항독성, 방충성 등 섬유가 가진 특성 때문에 우리 조상들의 지혜롭게 수의로 지어 사용했다. 견고성과 내구성이 뛰어나 직물용 외에도 로프, 그물, 타이어 등을 만드는데도 사용된다.
▲모시하면 떠오르는 것은 역시 BYC의 모시메리
삼베보다 실제 의복으로 많이 지어 입는 것은 모시다. 저마로 만들어진 모시는 삼베보다 부드럽고 여름 한복이나 침구, 내의 등 다방면으로 쓰인다고 생각하면 쉽다. 모시는 순백색이고 비단 같은 광택이 나며 내구성이 강한 게 특징이다. 의류나 침구 외에도 레이스, 커튼, 손수건 등에 사용된다.
▶ 대표적인 여름 소재 ‘리넨’
여름 원단 중에서 가장 대중적인 것이 리넨이다. '아마'라는 식물의 줄기로 만들어졌으며 의복용 섬유로 가장 오래 됐다. 이집트 미라를 감싼 포가 바로 이 아마라고 한다. 이처럼 오래도록 사랑받는 데는 이유가 있을 터. 리넨은 면보다 강도가 2배가 높고 열전도성이 좋아 피부에 닿으면 시원해 여름 옷이나 이불에 많이 사용된다.
다른 마 직물보다 부드럽고 구김이 덜 가는 특징이 있어 여름 침구뿐 아니라 여성 원피스 같은 의류에도 자주 쓰이는 소재다. 리넨 침구는 면과 혼방한 하프 리넨을 추천한다. 섬유의 유연성을 강화해 한결 부드럽고 침구 소재 중 열 전도성이 높으며 흡습성도 좋아서 땀이 많아도 쾌적한 여름철 잠자리를 만들 수 있다.
▲라코스테 리넨 셔츠, 질스튜어트 리넨 원피스
리넨은 한번 구김이 생기면 잘 펴지지 않고 세탁하면 할수록 부드러워지는 것이 특징이 있다. 뛰어난 통기성은 세탁할때도 빛을 발하는데 건조하면 금세 마르고 곰팡이와 세균번식에도 안전하다. 리넨 소재를 세탁할 때는 중성세제로 물빨래 하는 것이 좋다. 천연 소재의 특성상 첫 세탁 시 3~5% 정도 수축될 수 있다. 같은 색상의 리넨끼리 단독 세탁하는 것도 팁이다. 섬유유연제를 쓰면 잔사가 발생하므로 사용하지 않는다. 가급적 자연 건조시키고 약간 덜 말랐을 때 다림질하면 구김을 줄일 수 있다.
▶ 냉장고 섬유 ‘인견’
인견의 뜻은 '인조 비단'이다. 냉장고 섬유라고도 불리는 인견은 나무 펄프와 무명 부스러기를 가공해 만든 자연섬유다. 나무가 지닌 차가운 성질이 피부에 닿았을 때 시원한 청량감을 선사하며 여름의 꿉꿉한 습도와 열기를 낮춰준다. 몸에 잘 달라붙지 않기 때문에 가볍고 가격도 저렴해서 여름 침구 소재 중 대중적으로 사랑 받는다.
▲태로코퍼레이션 인견 원피스
인견은 물에 닿으면 강도가 약해지고 수축하는 성질이 있으므로 가볍게 울 세탁코스로 세탁하되 약한 강도로 탈수하고 수축을 방지하게 위해 제품 모양을 잡아서 탁탁 털어 그늘에 말린다.
▶ 피부 연약한 사람도 OK ‘시어서커’
▲쁘리엘르 시어서커 여름 이불
면을 가공해 표면이 오돌토돌한 원단들이 몇 종류 있다. 만약 약물이나 열을 이용해서 이런 요철을 만들었다면 면 리플, 면을 짤 때 장력의 차이를 줘서 만들면 시어서커 소재가 된다. 시어서커는 이름이 세련되어서 합성섬유, 화학섬유처럼 생각하기 쉽지만, 오히려 가장 면에 가까운 원단이다. 때문에 감촉이 부드러워 피부가 연약한 사람에게 추천하는 소재며 요철감과 물결 패턴 덕분에 소재가 피부에 닿는 면적이 최소화돼 이불이 몸에 달라붙지 않는다.
면 100%를 가공한 원단들은 흡수성과 통풍성이 좋다. 면 리플과 시어서커너는 세탁기에 빨아도 형태가 쉽게 변형되지 않아 관리가 수월한 편이다. 하지만 삶거나 다림질하면 표면이 오그라들어 주름이 사라지므로 주의한다.
최신 기능성 원단은 뭐가 있지?
성인이 보통 하루 동안 흘리는 땀의 양은 약 1리터 내외. 요즘 같은 여름에는 가만히 있어도 두 배 이상의 땀이 난다. 이런 날씨에 운동까지 병행한다면 땀은 말할 것도 없고 흥건히 젖은 옷과 퀘퀘한 냄새가 집중력마저 떨어뜨린다. 여름철 기능성 소재는 바로 '이 땀을 어떻게 하면 빠르게 없애냐'에 초점을 맞춘다.
땀을 없애주는 해결사로 탄생한 기능성 소재의 원조는 ‘쿨맥스’다. 쿨맥스를 비롯 여러 냉감소재의 기본이 되는 폴리에스테르는 가볍고 빨면 금방 마르는 특징을 갖고 있지만, 땀을 많이 흘리면 땀 배출이 쉽게 안돼 옷이 몸에 감겨 불쾌감을 주고 정전기가 많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그래서 기존의 폴리에스테르가 가진 장점을 강화하고 단점을 개선해서 나온 제품이 바로 지금의 쿨맥스 같은 냉감소재 기능성 의류다.
▶ 입는 순간 더위탈출 '쿨맥스'
기능성 소재로 이미 대중적으로 사랑 받는 소재는 바로 쿨맥스다. 쿨맥스는 입는 것만으로 땀이 금방 마르고 시원한 느낌을 주는 기능성 소재다. 미국 듀폰사가 개발한 쿨맥스는 기존 폴리에스테르 섬유에서 개발한 독특한 조직 구조로 섬유 단면이 4개의 홈으로 나뉘어져 있다.
<출처: 쿨맥스 코리아 페이스북 페이지>
일명 ‘4채널 섬유’로 보통 한 가닥으로 이루어진 섬유가 4개로 나뉘어졌으니 일반 섬유의 비해 수분이나 땀을 흡수하고 배출하는 기능을 높인 것. 여기에 20% 이상 넓어진 면적이 피부에서 배출된 땀을 빨아들여 밖으로 신속하게 증발시키니 아무리 땀을 많이 흘려도 쾌적한 착용감을 자랑한다. 곰팡이나 악취 발생에 대한 저항력도 우수하며, 섬유 자체의 수축률이 낮고, 세탁도 간편해 관리가 편하다. 쿨맥스는 땀을 많이 흘리는 여름철 야외 스포츠 의류로는 최적의 섬유라고 할 수 있다.
▲빈폴아웃도어 인디고 쿨맥스 반팔 셔츠
쿨맥스와 유사한 기능으로 어깨를 나란히 하는 기능성 소재는 도레이사의 필드센서, 코오롱의 쿨론, 효성의 에어로쿨, 나이키의 드라이핏, 아디다스의 클라이마쿨 등이 있다.
▶ 특수 소재 '아쿠아 엑스'
미판 아쿠아엑스(Aqua-X)는 글로벌 원사 업체 효성사의 기능성 원단으로 냉감 및 UV 차단 기능을 갖췄다. 독특한 단면에 함유되어 있는 특수미네랄이 피부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시원함을 선사하는 원리다. UV차단 및 흡한 속건 기능까지도 갖추고 있어 여름철 야외 활동이나 스포츠웨어에 활용된다.
▲라푸마 아쿠아X 5부 팬츠
▶ 클로버잎 모양 '에어로쿨'
에어로쿨은 원사 단면이 클로버잎 모양으로 일반 섬유보다 피부에 닿는 면적이 넓어 땀 흡수가 빠르다. 섬유표면에 형성된 미세한 통로를 이용해 원형 단면의 섬유들보다 피부에 닿는 면적이 넓어 땀 흡수와 배출이 빠르다. 흡습속건으로 항상 쾌적하고 상쾌한 착용감을 주기 때문에 각종 스포츠용품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해지스(HAZZYS) 그레이 Aero-CooL 폴리 플라워 패턴 카라 티셔츠 HZTS7B445G2
그밖에 냉감 소재 원단으로는, 원단 표면에 일정한 구멍이 있어서 통기성이 뛰어나고 땀을 빠르게 흡수해 시원한 촉감을 주는 '에어도트', 필라멘트 원사를 사용한 '하이게이지' 등 다양한 냉감 원단들이 출시되고 있다. 이 가운데 하이게이지는 피부와 접촉면을 넓게 해 열전도율이 높고 땀을 빠르게 흡수 건조시킨다. 자외선 차단 효과와 흡습속건 기능을 갖춘 첨단 섬유 '헬사플러스(Heltha+)' 등 쿨맥스와 유사한 냉감 효과를 갖춘 기능성 소재들이다.
원단을 가공한 의류의 경우, 어떤 원사를 사용했느냐에 따라 기능성 의류의 이름이 달라진다. 요즘 기능성 의류는 다양한 소재 개발로 선택의 폭이 넓어졌다. 때문에 냉감소재는 기본으로 자외선 차단, 항균, 항취 등 데오드란트 기능이 추가 된 제품 등 원하는 가격대와 제품 특징에 따라 구매하는 것이 팁이 될 수 있다.
한 가지 더! 이런 냉감 소재의 기능성 의류를 입을때는 면 속옷을 입는 건 금물이다. 단독으로 입거나 쿨맥스와 같이 땀을 빠르게 흡수하고 건조시키는 기능성 속옷을 입는 것이 좋다. 최근에 기능성 스포츠 웨어뿐 아니라 매일 입는 속옷, 양말 같은 이너웨어와 와이셔츠와 청바지까지 전천후로 냉감소재가 사용된다.
기능성 소재 관리는 어떻게 할까?
기능성 의류는 어떻게 관리하냐에 따라 수명이 결정된다. 기능 유지가 핵심이기 때문에 심한 마찰, 고열, 강한 화학 세제 등을 사용하지 않는 것을 전제한다. 대신 기능성 의류는 천연 소재보다는 세탁이 쉬운 편이다.
쿨맥스를 기본으로 세탁법을 말하면 다른 기능성 의류에 비해 관리가 쉬운 편이다. 기본적으로 섬유가 통풍이 뛰어나고 쉽게 마르는 만큼 세탁만 잘한다면 곰팡이나 악취에 대해서는 염려할 필요가 없다. 세탁 후에도 구김이 없고 옷이 늘어나거나 줄어들지 않는다.
다만 직조 구조상 보풀이 생기기 쉬운 게 흠이다. 대부분의 섬유에 해당되는 얘기지만 세탁할 때 표백제나 강력한 효소 세제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중성세제를 이용해 단독세탁하는 것이 가장 옷을 오래 입는 길이다. 세탁 후에는 가능한 직사광선이 없는 그늘에서 말리는 게 좋다. 이런 기능성 의류는 땀을 많이 흘리게 되면 땀속 염분과 단백질로 변색되니 바로 세탁하는 것이 좋다. 세탁이 바로 힘들다면 맑은 물에 헹궈주기만 해도 변색없이 기능성을 유지할 수 있다.
기획, 편집 / 다나와 송기윤 (iamsong@danawa.com)
글, 사진 / 테크니컬라이터 홍효정 (news@danawa.com)
(c)가격비교를 넘어 가치쇼핑으로, 다나와 (www.danaw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