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스타일러에 대한 궁금증 10가지

다나와
2019.04.15. 16:00:50
조회 수
13,194
8
댓글 수
3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Q1. 전기료, 얼마나 나올까?


A. 스타일러의 소비전력은 1700W다. LG전자에서 계산한 1회 사용 시 전기료 표를 보면 실내 제습은 51원, 스타일링 표준코스는 69원, 울/니트 코스는 72원, 정장/코트 코스는 85원이 나온다. 가장 기본 모드인 스타일링 표준코스를 일주일에 두 번씩 사용한다고 가정했을 때 한 달이면 621원, 1년이면 7,176원 정도가 나온다.


매일매일 표준모드를 사용한다고 해도 한 달에 2,070원 정도 더 나오는 수준이다. 스타일링 표준코스는 39분 정도 짧은 시간 돌아가는데 1시간 30분 정도 돌아가는 살균 모드나 2시간 이상 돌아가는 제습 모드를 사용할 경우 전기료는 더 나올 수 있다. 그래도 한 달에 1~2만원 수준이니 이 정도면 크게 부담될 만한 요금은 아니다. 정확한 전력 사용량을 알고 싶다면 스마트폰 앱을 사용하는 것도 방법이다. 에너지 모니터링이라는 메뉴가 있는데 사용 횟수도 표기되고 전력 사용량도 그래프로 보여줘 확실하게 알 수 있다.


Q2. 세탁소 vs 스타일러, 어떤 게 이득일까?


A. 겨우내 입었던 코트와 패딩을 모아들고 세탁소에 맡겼더니 5만원이 우습게 넘어버린다. 코트 드라이클리닝 비용이 8000원, 패딩의 경우 길이에 따라, 퍼의 유무에 따라 세탁 비용이 또 달라지더라. 패딩의 세탁 방법은 드라이클리닝도 아니고 물세탁이라던데... 스타일러가 있다면 이렇게 하자. 드라이클리닝 해야 하는 옷의 경우, 아주 더러운 얼룩이 있지 않은 이상 살균 건조해 보관하면 된다. 패딩처럼 물세탁할 수 있는 옷은 집에서 간단히 물 세탁하고 말려준 후에 스타일러의 패딩 코스를 이용해보자. 전기료는 위에서 설명했듯이 한번 거하게 돌려도 몇백원 정도에 그친다. 물론 스타일러에 넣는다고 얼룩이 지워지진 않는다. 스타일러에 세탁 기능은 없다는 걸 기억하자.


Q3. 소음은 어느 정도?


A. 스타일러는 무빙 행어가 움직여 옷을 흔들어 먼지를 터는 방식이라 다른 의류관리기에 비해 소음이 있을 수 있다. 직접 사용해본 결과 약 55~65dB 정도로 일상생활에 거슬릴 만큼 소음이 크지 않았다. 냉장고 돌아가는 소리보다 조금 큰 정도라고 생각하면 될 듯. 생각보다 소음이 크다면 수평을 맞지 않게 설치해 스타일러가 흔들리거나, 옷걸이가 무빙 행어에 제대로 걸리지 않았을 확률이 높다.


Q4. 주름 얼마나 잘 펴지나?


A. 옷의 핏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람들은 티셔츠 하나도 다려입는데 여간 귀찮은 게 아니다. 스타일러는 티셔츠나 와이셔츠, 정장, 코트 등의 주름을 잘 펴준다. 외출 전에 돌려 입으면 말끔한 핏이 완성된다. 하지만 특허받은 칼주름 기능은 실제 다림질처럼 날카로운 칼주름을 기대하긴 어려울 수도 있다. 또 구겨진 채로 옷장 속에 오래 묵었던 옷도 말끔하게 펴지진 않는다.


Q5. 스마트 싱큐(SmartThinQ) 앱으로 할 수 있는 건?


A. LG전자의 생활가전 중 와이파이를 지원하는 모델이라면 스마트싱큐 앱 하나로 원격제어가 가능하다. 앱에 제품을 등록하고 와이파이 연결을 해두면 집 밖에서도 스마트폰으로 가전을 작동시킬 수 있다. 위에서 설명했듯이 전력사용량도 모니터링할 수 있고, 새로운 동작 모드도 앱을 통해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제품에 이상이 있거나 고장이 났을 때도 스마트 진단을 통해 해결방법을 알려준다. 제품 동작이 끝났거나 이상이 생겼을 경우 스마트폰으로 알림을 보낼 수도 있다.


Q6. 스타일러와 비슷한 제품은?


삼성 에어드레서 스타일러와 에어드레서의 가장 큰 차이점은 먼지를 털어내는 방식이다. 스타일러는 무빙행어가 움직여 옷을 흔들면서 먼지를 털어주는 방식이고, 에어드레서는 제트에어라는 바람을 불어 먼지를 털어내는 방식이다. 가격은 100만 원대 중후반.

코웨이 의류청정기 두 제품보다 가격대가 더 높은 코웨이의 FAD-02 의류청정기도 있다. 이 제품은 기기 안에서 의류를 관리하는 것은 물론, 기기 밖의 공간까지 케어해주는 획기적인 제품. 덕분에 드레스룸의 결로, 곰팡이 등도 걱정할 필요가 없다. 가격은 100만 원대 후반.


이지스팀백 S070 저렴한 제품으로는 해밀턴비치 이지스팀백 S07이 있다. 비키니 옷장 같이 생긴 물건이다. 공간 차지도 덜 하는 편이다. 의류를 넣고 평균 3분 정도 작동하면 살균, 탈취, 주름 완화 효과를 볼 수 있다고. 가격은 10만 원대 초중반.


플라즈마 클리닝 도저히 의류관리기를 둘 공간이 나오지 않을 땐 아이엠헬스케어 플라즈마 클리닝 IHC-SR17HW라는 제품도 고려해보자. 손바닥만 한 크기에 옷장 속 행어에 슥 걸어두기만 하면 된다. 옷장 속 유해물질을 제거하는 기능을 한다고. 가격은 8만 원대.


Q7. 스타일러로 뽕 뽑고 싶다면?


A. 이왕 비싼 돈 들여 스타일러를 샀으니 이것저것 활용하고 싶어진다. 살균 기능을 활용하면 방법은 무궁무진하다. 아기가 물고 빠는 인형, 피부에 직접 닿는 침구류 등을 살균할 수 있고 여름철 눅눅해진 신발이나 잘못 건조해 냄새나는 옷들도 스타일러에서 새롭게 태어난다. 장마철 눅눅해진 방에 곰팡이가 생기지 않게 제습 기능을 사용할 수도 있다. 평소 담배를 피우는 사람들은 탈취를, 애완동물을 키우는 사람들은 먼지 제거를 하는 데 유용하게 쓸 수 있다.


Q8. 소재에 따른 스타일러 사용 가능 여부는?


A. 1편에서 한번 소개한 바 있으니 표로 설명을 대신한다. 쉽게 말해 실크 제품이나 고온에 변형되기 쉬운 플라스틱이나 스펀지 등이 들어간 제품은 넣지말자.



Q9. 급수통, 배수통 얼마 만에 갈아야 할까?


A. 급수통과 배수통은 한번 사용할 때마다 채우거나 비울 필요는 없다. 다만 사용하기 전에 급수통의 물이 충분한지, 배수통은 충분히 비어 있는지 확인을 하자. 일반적으로 급수통을 한번 가득 채우면 스타일링 코스를 4번 정도 사용할 수 있고, 배수통은 3번 정도 사용하면 가득 차는 편이다. 건조 코스를 이용했을 땐 배수통이 금방 찬다고. 급수통이나 배수통은 주기적으로 청소해 주는 게 좋다. 청소솔로 물때가 생기지 않게 내부까지 깨끗하게 닦아줘야 옷에서 퀴퀴한 냄새가 나지 않는다.


Q10. 스타일러 향기 시트 필수일까?


A. 결론부터 말하자면 필수는 아니다. 스타일러용 향기 시트를 따로 판매하기도 하는데 스타일러를 구매하면 10장이 제공된다. 일회용이 아니고 여러 번 사용할 수 있어서 기본 제공된 향기 시트만으로도 꽤 오래 사용할 수 있다. 건조기에 들어가는 섬유유연제 시트를 사용하는 건 권장하지 않는다. 대신 화장솜에 향수를 4~5회 뿌려 향기 시트 대신 아로마 시트 안에 넣어 사용할 수 있다고. 옷에 은은한 향기를 배게 하고 싶다면 이 방법도 추천한다.




기획, 편집/ 홍석표 hongdev@danawa.com

글, 사진/ 염아영 news@danawa.com

(c)가격비교를 넘어 가치쇼핑으로, 다나와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저작권 안내
크리에이트 커먼즈 저작자 표시 필수 상업성 이용 불가 컨텐츠 변경 불가
저작권 안내
저작권 표시 필수
상업성 이용 불가
컨텐츠 변경 불가
* 본 내용은 위의 조건을 충족할 시, 별도의 허가 없이 사용이 가능합니다.
최신 기획뉴스 전체 둘러보기
1/1
응급 수술의 판을 바꾸다, 의료용 글루건의 탄생 (3) 과학향기
메인스트림 게이밍 CPU의 뉴페이스. 라이젠 5 7400F, 9500F (2) 기글하드웨어
한달만에 50% 폭등한 인텔 14세대 CPU 가격 인상과 생산 문제 이유는? 동영상 있음 보드나라
[순정남] 게임을 넘어 유명세 탄 헤어스타일 TOP 5 (1) 게임메카
K-소울이라 불린 더 렐릭 “소울라이크는 아니다” 게임메카
아이온2의 숙제, 커뮤니티서 제기되는 '불안의 목소리' 게임메카
AI 성능은 그대로, 용량은 더 적게··· 에너자이가 말하는 '극단적 양자화'란 IT동아
FIX 2025 “인공지능ㆍ로봇ㆍ모빌리티 등 미래 주도 기술이 한 자리에” IT동아
오늘도 깔끔하고 편안한 PC를 위해 숨은 주역들은 '열일'합니다 (2) 다나와
“AI 시리 또 연기?” 스마트폰·게임·MS까지... 이 주의 IT 루머 총정리 (1) 다나와
PC 갬성 전쟁, 흑백 콤-퓨타 대전의 '흑수저 PC'를 소개합니다! (1) 다나와
M5 칩으로 성능 강화, 공간컴퓨팅 헤드셋 ‘애플 비전 프로’ (1) IT동아
[자동차와 法] 신차 하자 발생 시 교환·환불에 대한 법적 기준과 현실적 대응 IT동아
덕후 워프레임? 듀엣 나이트 어비스 매력 요소 총정리 게임메카
[겜ㅊㅊ] 타르코프 대비 몸풀기, PvE 익스트랙션 슈팅 5선 게임메카
[AI되니] 챗GPT가 ‘앱 생태계’를 만들다니? 우리 빨리 돈 벌러 가야겠는데요? 동영상 있음 AI matters
반도체 생태계 허브로 떠오른 Arm, '언락드 코리아 2025'로 산업 생태계 엮는다 (1) IT동아
인텔 18A 공정에 허 찔린 TSMC·삼성 파운드리··· '내년부터 불꽃 경쟁' IT동아
[성지순례] 이제 귀해진 동네 오락실, 구리 진주게임랜드 게임메카
10-20대가 70%, MMO 장르 이끈 마비노기 모바일 게임메카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