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버, BJ, 크리에이터, 스트리머 등 지금 우리는 1인 미디어 전성시대에 있다. 인기 크리에이터는 연예인 못지 않은 인기와 영향력을 가지고 있으며, 상당수 연예인은 방송과 별개로 BJ 또는 유튜버로 활동하고 있다. 이처럼 콘텐츠 생산자의 주체가 매스미디어에서 소셜미디어로 흐름이 바뀐 배경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무엇보다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방송이 가능하다는 점을 꼽는다. 스튜디오나 마이크, 조명이 없어도 손에 들고 있던 스마트폰만 켜면 나만의 움직이는 방송국이 되기 때문이다.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는 다양한 영상 편집 솔루션도 한 몫 한다. 여러 명이 전문화된 자기만의 영역에서 각자 작업할 수밖에 없었던 과거와 달리 지금은 자막과 음악, 효과 등 모든 편집을 1인이 처리해 낸다. 그것도 고가 장비가 아닌 집에 있는 데스크탑PC나 노트북으로 말이다.
|  | ||
| ▲ 엔비디아는 전세계 4천만 크리에이터를 위해 성능과 안정성이 대폭 향상된 ‘엔비디아 스튜디오’를 발표했다. | ||
그러나 모든 과정을 혼자서 혹은 최소 인력으로 처리하다 보니 작업시간에 매우 민감하다. 촬영이 끝나기 무섭게 바로 편집에 들어가며, 만족스러운 영상 결과물이 나와야 다음 촬영에 들어간다. 때문에 편집 과정에서 PC가 계속 버벅대면 속이 타 들어갈 수밖에 없다. 그래서 엔비디아는 RTX GPU와 함께 실시간 레이 트레이싱, AI 처리 및 고해상도 영상 편집이 가능한 ‘엔비디아 RTX 스튜디오’를 지난 5월 발표했다. 고성능 GPU인 RTX를 중심으로 하드웨어 제조사, 그리고 소프트웨어 업계와 협업을 통해 더 나은 성능과 효율을 크리에이터에게 제공하기 위해서다. 특히 ‘RTX 스튜디오’는 노트북을 위한 인증 프로그램으로, 상당수 크리에이터들이 이동성과 신속성을 위해 노트북을 선호한다는 점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 엔비디아 RTX 스튜디오 소개 영상
NVIDIA RTX Studio =
 + 빠른 레이 트레이싱
 + 반복적인 작업을 위한 AI 지원
 + 고해상도 8k 비디오 편집 가속화
크리에이터가 창조적 작업을 위해 사용하는 소프트웨어를 ‘크리에이티브 애플리케이션’이라 일컫는다. 이미지 편집을 위한 포토샵, 일러스트레이터, 라이트룸, 영상 편집을 위한 프리미어, 다빈치 리졸브, 3D 모델링과 렌더링, 애니메이션 작업을 위한 3ds 맥스, 마야 등이 대표적이다. 이들 프로그램은 문서 작성이나 웹서핑과 같은 단순한 작업과 비교할 수 없는 상당한 퍼포먼스가 요구된다. 과거에는 작업 처리에 필요한 대부분의 리소스를 CPU에 의존했다. 그러나 보니 시스템의 모든 작업처리가 CPU로 집중되면서 부하가 걸리고, 성능에 제한을 받다 보니 결국 작업 시간이 늘어나는 결과로 이어져 생산성이 떨어졌다. 그러나 지금은 그래픽카드의 코어 즉 GPU를 CPU처럼 활용함으로써 앞서 언급했던 크리에이티브 애플리케이션의 속도를 향상시켜주는 GPGPU 기술을 사용해 이런 문제점을 개선했다. ‘엔비디아 RTX 스튜디오’는 GPGPU 기술을 확장시킨 크리에이터를 위한 맞춤 솔루션으로, 궁극적으로는 작업 효율을 높여 크리에이터의 역량을 향상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  | ||
| ▲ 이미지 = 엔비디아 | ||
‘엔비디아 RTX 스튜디오’는 소프트웨어인 엔비디아 스튜디오 스택(NVIDIA Studio Stack)과 하드웨어인 RTX GPU로 구성된다. 또한 엔비디아 스튜디오 스택에는 스튜디오 SDK와 애플리케이션 개발자용 API, 크리에이터용 엔비디아 스튜디오 드라이버가 포함되어 있다. 이들은 위에 열거한 크리에이터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할 때 최고의 성능과 안정성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  | ||
물론 엔비디아 스튜디오 스택은 강력한 GPU인 RTX 기반에서 위와 같은 성능을 발휘한다. 이전 파스칼 아키텍처에서 효율성이 개선된 Turing 아키텍처 기반의 RTX GPU는 구조적 개선과 함께 그래픽 및 게임 성능을 향상시키는 고급 Turing 쉐이더, 더욱 빨라진 하드웨어 기반 가속기, 그리고 새로 추가된 기능인 콘텐츠 제작을 위한 실시간 레이 트레이싱 및 인공 지능 도구 등이 결합되어 최적의 성능을 발휘한다.
|  | ||
정리하면, RTX 스튜디오를 통해 크리에이터들이 얻을 수 있는 궁극적인 장점 세 가지는 다음과 같다.
■ 빠른 레이 트레이싱 구현
 RTX 기반의 노트북에는 레이 트레이싱(Ray Tracing) 가속을 위한 ‘RT 코어’가 있다. 광원에서 나오는 빛을 추적해 렌더링 하는 것으로 3D 환경에서 빛과 그림자를 보다 사실적으로 표현한다. 과거에는 강력한 워크스테이션이 요구되어 헐리우드 CG에서나 가능했지만 이제는 RTX 기반 노트북에서도 표현이 가능해 크리에이터는 덕분에 레이 트레이싱을 빠르고 쉽게 적용할 수 있다.
■ 반복적인 작업을 위한 AI 지원
 콘텐츠는 창작과 반복이라는 혼합된 작업에 의해 만들어진다. 다만 창작자는 반복적이며 지루한 작업을 최소화함으로써 그만큼 창의적인 콘텐츠 생산에 집중할 수 있는데 RTX GPU는 AI 추론용 텐서 코어(Tensor Core)를 새롭게 갖춤으로써 이러한 소모적인 작업을 지원한다. Adobe Lightroom 및 DaVinci Resolve와 같은 애플리케이션에서 텐서 코어를 활용해 그 효과를 톡톡히 볼 수 있다.
■ 고해상도 비디오 편집 가속화
 또한 엔비디아 RTX GPU의 CUDA 코어는 Adobe Premiere Pro, Photoshop 및 기타 크리에이터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에서 색상 보정, 선명화, 업 샘플링과 같은 비디오 및 이미지 처리 효과를 가속한다. RED Digital Cinema의 최신 버전인 REDCINE-X PRO의 GPU 가속 기능을 사용하면 RTX 노트북은 사전 렌더링 없이 24fps에서 6K+ 해상도의 영상을 디코딩하거나 원본 카메라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변환(debayer)하고, 컬러링 작업을 할 수 있다.
|  | ||
| ▲ 이미지 = 엔비디아 | ||
그러면 크리에이터는 RTX 스튜디오 노트북을 통해 어느 정도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을까? 다음은 엔비디아 측에서 밝힌 각각의 상황에 대한 비교 값이다.
각 시스템에 대한 테스트 환경은 다음과 같다.
■ NVIDIA Studio 노트북 : NVIDIA GeForce RTX 2070 Max-Q Intel Core i9-9880H 2.3GHz 32GB RAM Win10 Build 1809
■ GTX 1070 Max-Q 노트북 : NVIDIA GeForce GTX 1070 Max-Q Intel Core i7-8750H 2.6GHz 16GB RAM Win10 Build 1809
■ 맥북프로 2018 : Intel Core i9 2.9GHz 32GB RAM MacOS 10.14.5 (Mojave)
우선 레이 트레이싱이 적용된 엔비디아의 3D 캐릭터 ‘SOL’에 대해 Maya 2019에서 Arnold 3.2.0.2 렌더링을 적용했을 때 걸리는 시간이다(단위 : 초). 최상위 라인업인 코어 i9 프로세서로 렌더링한 시간과 비교하면 거의 7.5배 빠르다. GTX 기반의 노트북보다 두 배 이상 빠른 것을 볼 수 있다. 그만큼 크리에이터는 보다 창조적인 업무에 자신의 역량을 집중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그러면 RTX 스튜디오 인증을 받기 위한 조건은 무엇일까? 엔비디아는 RTX 스튜디오 노트북을 만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 GPU : GeForce RTX 2060, Quadro RTX 3000 이상
 ● CPU : Intel Core i7(H 시리즈) 이상
 ● RAM : 16GB 이상
 ● SSD : 512GB SSD 이상
 ● 디스플레이 : 1080p OR 4K
그리고 RTX 스튜디오 노트북에서 다양한 크리에이티브 애플리케이션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최신 스튜디오 드라이버를 내려 받아 설치하면 된다(아래 링크 참조). 엔비디아는 게임에 최적화된 일반 드라이버 외에 크리에이티브 애플리케이션에 최적화된 별도의 스튜디오 드라이버를 배포하고 있다.
https://www.nvidia.co.kr/Download/driverResults.aspx/147975/kr
|  | ||
| ▲ RTX 스튜디오 환경에서 최적의 성능을 내기 위해서는 스튜디오 드라이버를 선택해 내려받아 설치하면 된다. | ||
RTX 스튜디오의 특성을 가장 잘 반영한 노트북은?
 기가바이트 뉴 에어로 15 시리즈
|  | ||
| ▲ 기가바이트 뉴 에어로 15 시리즈 | ||
지난 5월 엔비디아 스튜디오 발표에 맞춰 7개의 글로벌 PC 제조업체가 컴퓨텍스에서 17종의 RTX 스튜디오 노트북을 함께 공개했다. 그 중에서도 유독 눈에 띄는 제품이 하나 있으니 바로 ‘기가바이트 뉴 에어로 15’ 시리즈이다. 위에 언급한 CPU와 GPU, 그리고 메모리 등 기준을 만족하면서도 크리에이터가 역량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타사 제품과 차별화된 특징을 가지고 있어 공식 출시 전부터 큰 주목을 받았다.
|  | ||
| ▲ 삼성 OLED 디스플레이를 사용해 기존 노트북과 비교할 수 없는 선명하고 뛰어난 화질을 보여준다. | ||
|  | ||
|  | ||
| ▲ AI를 이용한 시스템 최적화는 크게 3가지 모드로 동작한다. ‘AI Azure Download’는 마이크로소프트 애저(Azure)라는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에 접속, 사용자의 시스템 및 앱 구동 상태에 따라 최적의 설정을 내려 받아 적용시킨다. ‘AI Azure Download And Upload’는 ‘AI Azure Download’와 동일하고, 설정을 업로드하여 공유한다. 다른 사용자의 데이터를 공유, 분석함으로써 더욱 최적화된 설정값을 찾아낸다. ‘AI Edge Learning’은 클라우드에 연결하지 않지만 이미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성능을 조정한다. | ||
클라우드와 AI 기술로 어떤 상황에서도 최적의 성능을 발휘하도록 설계된 것도 ‘기가바이트 뉴 에어로 15’ 시리즈의 장점 중 하나이다. 마이크로소프트 애저 AI 기술을 노트북에 적용, 딥러닝을 이용해 사용자의 시스템 사용 환경을 실시간 파악하고, 클라우드 컴퓨팅으로 분석한다. 주로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쾌적한 구동을 돕기 위해 시스템은 환경을 파악하고, 분석함으로써 스스로 환경을 만든다. CPU와 GPU의 전력량과 냉각팬 모드, 키보드 설정 등이 그 대상이다. 따라서 보다 빠르게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을 높여주고, 크리에이터는 그만큼 창작에 집중할 수 있다. 또한 전력 절감 효과도 있어 배터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인텔 9세대 코어 i7-9750H 프로세서와 엔비디아 RTX 2070 GPU를 사용해 데스크탑PC를 뛰어넘는 성능을 낸다. 특히 MAX-Q 디자인을 적용함으로써 RTX 2070이라는 고사양 그래픽 칩셋을 장착했음에도 초슬림/초경량을 구현했다. 보다 개선된 전력 설계 및 냉각장치를 통해 발열 요소를 제거함으로써 고성능 크리레이티브 노트북을 더욱 가볍게 만들어냈다.
|  | ||
|  | ||
ⓒ 뉴스탭(http://www.newstap.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치맥하고 간 젠슨 황, 엔비디아 국내 기업과 AI 협력 예고 / 25년 10월 5주차 [주간 AI 뉴스]](https://img.danawa.com/images/attachFiles/6/914/5913914_1.jpeg?shrink=320:180) 
												
											
											
										 
												
											
											
										 
									![[포인트 마켓] 마이크로닉스 MANIC 트윙클 Digital RGB Sync (컨트롤러/3팩)](http://img.danawa.com/prod_img/500000/433/366/img/6366433_1.jpg?fitting=Large|140:105&crop=14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