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철 우리의 밤잠을 설치게 하는 기분 나쁜 존재, 모기. 날씨가 더워지면서 모기를 비롯한 온갖 해충들이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다. 아무리 이중 삼중으로 예방을 해도 결국 물렸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여름철 해충에 물렸을 때 대처 방법과 미처 잘못 알고 있던 상식들에 대해 알아보자.
모기에 물리면 왜 가려운 걸까?
모기가 피를 빨면 모기 침을 통해 ‘히루딘’이라는 물질이 우리 몸으로 침투한다. 거머리에도 들어있는 이 물질은 혈액의 응고를 막아 모기가 우리 피를 잘 빨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그러면 우리 몸은 이를 막기 위해 히스타민을 분비하고 백혈구가 우리 몸에 들어온 나쁜 물질을 물리칠 수 있도록 혈관을 확장하는데, 이 과정에서 가려움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 가려움은 도대체 어떻게 해야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을까?
모기, 잘 물리는 사람이 따로 있다!
이상하게도 모기는 꼭 물리는 사람만 물린다. 여러 사람이 함께 있는 자리에서도 유독 나만 물린다는 생각이 든다면 그건 착각이 아닐 수 있다. 먼저 모기는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감지하여 ‘먹잇감’을 찾아낸다. 평소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많은 사람은 모기에 더 쉽게 물릴 수 있다는 이야기다.
또한 모기는 사람의 몸에서 분비되는 젖산, 아미노산, 요산, 암모니아 등의 냄새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호흡량이 많고 땀을 많이 흘리는 사람이 잘 물리는 경향이 있다. 잘 씻지 않거나 뚱뚱한 사람이 모기에 잘 물린다는 속설이 완전히 틀린 말은 아니라는 것이다.
따라서 평범한 성인에 비해 체온이 높고 신진대사가 활발한 어린아이나 임산부 등이 모기에 더 잘 물리며, 운동이나 음주를 즐기는 사람도 모기의 표적이 되기 쉽다. 운동을 할 때 만들어지는 젖산이나 알코올 섭취로 인해 증가하는 혈액 속 요산 등이 모기를 끌어들이기 때문이다.













▲ 영케미칼 뽀로로 아이스겔 밴드 보습형, 비케이메디케어 핑크퐁 아이스겔 밴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