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네트워크 플레이를 시작하고 싶다고요?" 네트워크 플레이 구축 ABC

2020.08.05. 08:37:41
조회 수
5,455
1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요즘 음악을 듣는 대표적인 방법이 네트워크 플레이(Network Play)입니다. 스마트폰에서 멜론 음악을 듣는 것도 따지고 보면 네트워크 플레이죠. 스마트폰에 음원이 없어도 와이파이나 LTE를 통해 멜론, 벅스, 타이달 같은 유료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니까요.

현재 국내에서 정식으로 이용가능한 스트리밍 서비스는 멜론, 벅스, 디저(Deezer) 등이고, 세계에서 가장 이용자가 많은 스포티파이(Spotify)도 조만간 국내에 서비스를 시작할 것으로 보입니다. 고음질 음원으로 인기가 높은 타이달(Tidal)과 코부즈(Qobuz)는 우회서버 등의 방법으로 계정을 만들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 플레이가 각광을 받는 이유는 많습니다. CD나 다운로드 음원은 일일이 구매해서 보관해야 하지만 스트리밍 서비스는 유무선 네트워크만 받쳐주면 언제 어디서든 음악을 즐길 수 있습니다. CD는 16비트/44.1kHz 스펙에 그치지만, 코부즈 같은 스트리밍 서비스는 최대 24비트/192kHz 고해상도 음원까지 들을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CD 플레이어 연결

 CD트랜스포트와  DAC 연결

그러면 집에 있는 오디오 기기로 이런 스트리밍 음원을 들으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이럴 때 필요한 기기가 네트워크 플레이어(Network Player)입니다. CD플레이어가 CD, 턴테이블이 LP를 재생하는 것에 비해, 네트워크 플레이어는 유무선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음원, 그러니까 스트리밍 음원, NAS 음원, 스마트폰 저장 음원, 인터넷 라디오 등을 모두 재생합니다.  

컴퓨터 스트리밍을 할 수 있는 USB-DAC

따라서 유무선 공유기와 연결된 PC나 노트북도 기능상으로는 전혀 하자가 없는 네트워크 플레이어입니다. PC로도 멜론이나 코부즈 음원, 심지어 요즘 유행하는 룬(Roon) 서비스까지 즐길 수 있으니까요. 핵심은 네트워크 플레이어가 TCP/IP, UPnP/DLNA, 에어플레이(AirPlay), RAAT 등 여러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통해 멜론이나 타이달, 유튜브 등의 서버에서 해당 미디어(음원/영상)를 가져와 재생한다는 사실입니다. 

이와 관련해, 말 만들기를 좋아하는 사람들이 몇가지 개념을 정립했습니다. '네트워크 플레이의 3대 구성요소'라는 것인데, 그냥 참조만 하셔도 됩니다. 이것들을 몰라도 네트워크 플레이를 즐기는 데는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DMR (Digital Media Renderer) : 네트워크 플레이어. 음원을 재생하는 소스기기로 보면 됩니다. 뒷단에 DAC을 필요로 하는 제품(네트워크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렌더러)과 DAC을 내장한 제품(네트워크 플레이어, 스트리머)으로 나뉩니다.

DMS (Digital Media Server) : 네트워크 플레이어가 음원을 가져오는 서버. 멜론이나 타이달 같은 외부 스트리밍 서버나 개인용 서버 NAS 등이 있습니다. 스마트폰에 담아놓은 저장음원을 네트워크 플레이어를 통해 재생한다면 스마트폰도 DMS가 됩니다.

DMC (Digital Media Controller) : DMR/DMS를 컨트롤하는 스마트폰/태블릿PC . 앱을 통해 일종의 명령만 내릴 뿐이어서 음질에는 관여하지 않습니다.      

 

결국 네트워크 플레이를 하려면 위 3가지가 필요하다는 것이지요. 1번 네트워크 플레이어(DMR)는 따로 구매를 해야 하고, 2번 서버(DMS)는 스트리밍 서버의 경우 서비스에 가입해야 합니다. 3번 DMC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에 필요한 앱을 깔면 됩니다. 

따라서 진짜 필요한 것은 네트워크 플레이어 뿐입니다. 우선, 따져볼 게 있습니다. 

  1. 앰프와 스피커가 있나요?
  2. DAC(디지털 아날로그 컨버터)이 있나요?
  3. 룬(Roon)을 이용해보고 싶은가요?

이에 따라 네트워크 플레이어를 구매하는 기준 자체가 달라집니다.  

  1. 네트워크 렌더러(DAC 내장안함) : 집에 DAC과 앰프, 스피커가 모두 있는 경우
  2. 네트워크 플레이어(DAC 내장) : 집에 앰프와 스피커만 있는 경우
  3. 네트워크 올인원 앰프 : 집에 스피커만 있는 경우
  4. 네트워크 올인원 플레이어 : 집에 스피커도 없는 경우
  5. 룬 레디 네트워크 플레이어/렌더러/올인원 앰프/올인원 플레이어 : 룬을 이용하고 싶은 경우

네트워크 렌더러 (DAC 내장안함)
집에 DAC과 앰프, 스피커가 모두 있는 경우

네트워크 렌더러 : 웨이버사 W Streamer/W Router, 오렌더 W20SE/N10, 블루사운드 Node 2i, EMM랩스 NS1

네트워크 플레이어 중 가장 핵심 기능만 갖춘 제품입니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입력단은 유선 이더넷 단자, 출력단은 디지털 단자밖에 없습니다. DAC이 내장돼 있지 않으므로, 렌더러는 그냥 디지털 음원을 출력합니다. 따라서 집에 DAC이 있는 경우에만 구매해야 합니다. 네트워크 렌더러는 스트리머(streamer)라고도 부릅니다. 

웨이버사 W Router

대표적인 네트워크 렌더러/스트리머로는 웨이버사의 W Streamer가 있습니다. 초소형 몸체인데도 에어플레이, UPnP/DLNA, 룬을 지원하며 출력단자는 USB와 동축을 갖췄습니다. 웨이버사의 W Router는 유무선 공유기이자 룬과 UPnP/DLNA, 그리고 웨이버사가 개발한 오디오 전용 프로토콜 WNDR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렌더러입니다.  

오렌더 W20, W20 SE

오렌더의 W20 SE는 네트워크 렌더러/스트리머에 4TB 용량의 음원을 SSD에 담을 수 있는 뮤직서버입니다. 음원을 캐시(cache) 형태로 끌고와 또다른 SSD(1TB)에서 재생하는 점과 배터리 전원을 갖춘 점이 가장 큰 장점이죠. 룬을 지원하지는 않지만 자체 오렌더 앱으로 국내 멜론과 벅스를 직접 스트리밍할 수 있는 점이 돋보입니다. 출력단자는 USB, 광, 동축, AES/EBU를 마련했습니다. 


네트워크 플레이어 (DAC 내장)
집에 앰프와 스피커만 있는 경우

네트워크 플레이어 : 브라이스턴 BDA-3.14, MSB Premier DAC, dCS Bartok DAC, 램피제이터 Pacific DAC, 린 Selekt DSM, 웨이버사 W DAC3C, 오렌더 A100

네트워크 플레이어는 DAC을 내장한 제품입니다. DAC에 스트리머 기능을 추가한 제품(스트리밍 DAC)이라고 봐도 되겠지요. 따라서 입력단은 유선 이더넷 단자, 출력단은 아날로그 출력단자가 마련됩니다. 내장 DAC보다 더 좋은 DAC과 연결시킬 수 있도록 여분의 디지털 출력단자를 마련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린 Selekt DSM

린의 Selekt DSM은 린 전용 Kazoo 앱이나 룬을 이용해 타이달과 코부즈, 인터넷 라디오, NAS 음원을 즐길 수 있는 네트워크 플레이어입니다. UPnP/DLNA도 지원합니다. 린의 카탈리스트(Katalyst) DAC을 내장해 PCM은 24비트/192kHz까지, DSD는 DSD128까지 재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볼륨 조절도 가능해 프리앰프로도 쓸 수 있고, 클래스D 앰프 모듈을 옵션으로 선택하면 4옴 100W 출력의 네트워크 앰프로 변신합니다. 

브라이스턴 BDA-3.14

브라이스턴 BDA-3.14는 베스트셀러 DAC인 BDA-3에 라즈베리파이(Raspberry Pi) 네트워크 모듈을 장착한 제품입니다. 기본적으로 타이달과 코부즈, 인터넷 라디오를 지원하며 룬 레디 인증도 받았습니다. 다른 네트워크 플레이어와 다른 점은 HDMI 입력단자 4개를 비롯해 AES/EBU, 동축, 광, USB 등 다양한 디지털 입력단자를 갖췄다는 것입니다. 이는 BDA-3.14 베이스가 DAC이기 때문입니다. 


네트워크 올인원 앰프
집에 스피커만 있는 경우

네트워크 올인원 앰프 : 웨이버사 W Slim Lite, 벨칸토 ACI600, 네임 Uniti Atom, 블루사운드 Powernode 2i

네트워크 플레이어에 앰프까지 달린 제품입니다. 따라서 출력단에는 스피커케이블 커넥터가 달려 있고 입력단에는 이더넷 단자/와이파이 안테나가 마련됩니다. 물론, 안에는 디지털 스트리밍 음원을 아날로그 신호로 바꿔주는 DAC이 내장됩니다. 

웨이버사 W Slim Lite

웨이버사의 W Slim Lite는 80W 출력을 내는 풀 디지털 인티앰프이자, 룬 레디 네트워크 플레이어, FM 튜너입니다. UPnP/DLNA, WNDR, 에어플레이 그리고 블루투스 4.0 apt-X도 지원합니다. 아날로그 입력단은 없지만 동축과 광, USB 입력단을 갖춰 최대 24비트/384kHz PCM 음원을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 올인원 플레이어
집에 스피커도 없는 경우

네트워크 올인원 플레이어 : 매킨토시 RS200, KEF LSX, 네임 Mu-So 2, 드비알레 Phantom

네트워크 올인원 앰프에 스피커까지 달린 제품입니다. 언뜻 보면 블루투스 스피커와 비슷하지만, 유무선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점이 가장 큰 차이입니다. 

매킨토시 RS200

매킨토시 RS200은 에어플레이2, UPnP/DLNA를 지원하는 무선 액티브 스피커입니다. 총 8개 드라이버 유닛을 드라이빙하는 650W 앰프 출력도 솔깃하지만, 블루투스 5.0과 DTS Play-Fi까지 쓸 수 있는 점이 돋보입니다. 또한 HDMI ARC(Audio Return Channel) 단자를 갖춰 TV와 연결하면 본격 사운드바로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룬 레디 네트워크 플레이어/렌더러/올인원 앰프/올인원 플레이어
룬을 이용하고 싶은 경우

 

룬을 쓰고 싶다면 네트워크 플레이어/렌더러/올인원 앰프/올인원 플레이어가 룬 레디(Roon Ready) 인증을 받았는지를 살펴보면 됩니다. 현재 룬 레디 인증을 받은 주요 제품은 다음과 같습니다. 

웨이버사 : W Slim Lite, W Streamer, W Router, W DAC3C
T+A : CALA CDR, CALA SR, MP2000R MKII, MP3100HV
토탈DAC : d1-server, d1-six
EMM랩스 : NS1
솜 : sMS-200 Ultra
하이파이로즈 : RS150
MSB : Reference DAC, Premier DAC, Discrete DAC
dCS : Bartok DAC, Network Bridge, Vivaldi One
브라이스턴 : BDP-3.14
린 : Selekt DSM
램피제이터 : Pacific DAC
벨칸토 : Black ACI600, Black EX Integrated
네임 : Uniti Atom, Mu-So 2, Mu-So QB2
블루사운드 : Node 2i, Powernode 2i, Vault 2i
KEF : LSX


룬, DTS 플레이파이, 크롬캐스트, UPnP/DLNA

네트워크 플레이를 하다 보면 반드시 만나게 되는 용어나 장치, 앱이 있습니다. 바로 룬(Roon)과 DTS 플레이파이(Play-Fi), 크롬캐스트(Chromecast), 그리고 UPnP/DLNA입니다. 

우선 룬(Roon)은 인터넷 기반 유료 서비스로, 룬 자체 앱에서 타이달과 코부즈 음원을 들을 수 있습니다. RAAT(Roon Advanced Audio Transport)라는, 고해상도 음악 전송에 특화한 프로토콜을 써서 음질적으로도 유리합니다. 그리고 룬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플레이어/렌더러에는 ‘룬 레디'(Roon Ready)라는 일종의 인증마크가 붙습니다. 하지만 룬은 별도 서버, 그러니까 일종의 컴퓨터 역할을 하는 룬 코어(Roon Core)가 필요하다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DTS 플레이파이(PlayFi)는 미국 오디오 표준 개발사 이름이자 멀티채널 디지털 서라운드 포맷 이름이기도 한 DTS의 무선 네트워크 플레이 소프트웨어로, 타이달과 코부즈를 비롯해 디저, 스포티파이, 인터넷라디오, 그리고 돌비 디지털 같은 멀티채널 서라운드 포맷을 지원하는 점이 솔깃합니다. 룬에 비해 아직 덜 알려졌지만, 매킨토시를 비롯해 아캄, 오디오랩, 클립쉬, 소너스 파베르 등의 제품이 DTS 플레이파이를 채택했습니다. 

구글 크롬캐스트(Chromecast) 3세대

크롬캐스트(Chromecast)는 구글이 2013년 7월 1세대를 출시한 와이파이 기반 스트리밍 재생 기기입니다. 크롬캐스트를 TV의 HDMI 단자에 꽂으면, 스마트폰에 담긴 음원이나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TV에서 즐길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 컨텐츠를 직접 무선 안테나로 수신하는 블루투스와 달리, 와이파이로 구축한 동일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점이 다릅니다. 유튜브라면 와이파이로 연결된 유튜브 서버(DMS)에서 직접 컨텐츠를 가져오는 것이죠. 스마트폰은 리모컨 역할(DMC)을 할 뿐입니다. 룬도 크롬캐스트를 통해 즐길 수 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가 제안한 UPnP(Universal Plug and Play)는 복잡한 설정 없이도 동일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들끼리 통신을 가능케 해주는 기술 규약(프로토콜)입니다. 한마디로 플러그 앤 플레이 개념인 것이죠. 그리고 프로토콜은 컴퓨터나 원거리 통신 장비 등에서 서로 메시지를 주고 받는 양식과 규칙으로,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됩니다. 한편 UPnP 포럼에서는 UPnP 지원 제품 개발을 위한 SDK(Software Development Kit)를 제공합니다. 

UPnP 포럼은 또한 오디오 비디오 기기 상호연동을 위해 UPnP A/V 구조를 정의했는데, 위에서 언급한 DMR, DMS, DMC 개념이 바로 이 UPnP A/V 구조에 등장한 카테고리들입니다. 2003년 소니가 주도해 설립된 비영리단체 모임인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는 이 UPnP A/V 규약을 따르기로 하고 해당 제품들에는 DLNA 인증을 붙이고 있습니다. 결국 UPnP는 기술 규약(프로토콜), DLNA는 인증 마크를 뜻하고, 통상 UPnP/DLNA라고 병행 표기합니다.



<저작권자 ⓒ 하이파이클럽(http://www.hificlub.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최신 기획뉴스 전체 둘러보기
1/1
맛으로 가득찬 실크로드, 프랑스 리옹 트래비
폭삭 속았수다, 제주 트래비
Travie 20th Anniversary | 20년 전,  그땐 그랬지 트래비
거룩한 땅 '칠곡' 순례 여행 트래비
롤스로이스 팬텀 100주년 "권력과 부 그리고 문화와 예술, 리더의 상징" 오토헤럴드
출시전략 바뀐 아이폰, 돌아온 엑시노스 등 지금 주목해야 할 IT 루머 총정리 (5) 다나와
[겜덕연구소] 집에서 총으로 탕탕탕! 남자의 로망, 건콘 게임에 대해 살펴보자!! (3) 게임동아
라데온 RX 9060 XT 8GB 출시 강행설 및 엔비디아 지포스 RTX 50 슈퍼 준비 소식 등 (8) 다나와
[포토] 세이렌의 매력이 가득한 니케 2.5주년 행사 현장 (3) 게임메카
[매장탐방] ‘클레르 옵스퀴르’ 찾아 헤매는 구매 원정대 (2) 게임메카
대만산은 싸구려 취급하던 한국산 그래픽카드 전성시대 우리나라 그래픽카드시장 변화 이야기 [PC흥망사 121] (2) 동영상 있음 보드나라
그래픽카드 없이 게임까지? 실속파를 위한 사무용/가정용 PC CPU 3종 대격돌 (9) 뉴스탭
[순정남] 클레르 옵스퀴르 절망편? 33세 최약체 TOP 5 (2) 게임메카
코리아 패싱? 논란의 그 게임 <엘더스크롤4 : 오블리비언 리마스터> 사양 & 그래픽 옵션 분석 (12) 다나와
[순위분석] 사상 최초로 10위까지 밀려난 서든어택 (3) 게임메카
(가장 쉽게 알려드림) SKT 유출사태, 또 새로운 정황. 꼭 필요한 정보&해결책 싹 정리했습니다! (1) 동영상 있음 주연 ZUYONI
200으로 CPU와 GPU를 배분하시오 9800X3D+9070 XT vs 7800X3D+5070 Ti (4) 기글하드웨어
치즈에 진심인 당신이라면 '스위스 치즈 패스포트' 체크 (4) 트래비
소박한 일본 소도시 골프여행에 맞춤 '고치현' 골프코스 2 (2) 트래비
SKT 해킹 사태에 관한 (아마) 혼자만의 걱정 (1) 동영상 있음 UnderKG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