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 시즌이 돌아왔다. 이제는 삶의 일부가 되어버린 마스크 때문에 체감은 덜하지만, 그렇다고 안심할 수는 없다. 미세먼지와 각종 바이러스로부터 내 몸을 건강하게 지키는 것이 최우선인 지금. 공기나 외부 오염을 여과하는 각종 필터의 교체 주기를 확인하고 건강한 집콕 생활을 이어나가자.
마스크 :: 1회 사용 후 교체
▲ 베스트웨이 아로하 KF94 대형 50개입
지금 우리 삶과 가장 밀접한 필터가 있다면 단연 ‘마스크’일 것이다. KF80, KF94 등으로 구분되는 이 마스크 필터가 바로 우리 호흡기로부터 미세먼지와 바이러스를 차단시켜주는 생명줄인 셈.
대부분의 보건용 마스크는 일회용으로, 한 번 사용한 난 뒤에는 외부가 오염되기 때문에 1회 사용한 뒤 반드시 교체하는 것이 좋다. 코로나 유행 초기 마스크 품절 대란이 일어났을 때는 어쩔 수 없이 일회용 마스크를 세탁하거나 소독해서 재사용하는 사람들이 많았는데, 식약처 실험 결과 이렇게 재사용하는 마스크는 분집 효율이 1/3가량 떨어져 보건용 마스크로서의 기능을 상실한다.
단순 방한이나 비말 차단 목적이 아닌 이상, 식약처 인증을 받은 보건용 마스크의 경우 유해입자 차단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원칙적으로 한 번 사용 후 교체할 것을 권장한다.
공기청정기 :: 6개월~1년
▲ 위닉스 제로 S AZSE430-JWK
어느새 필수 가전으로 자리잡은 공기청정기 역시 교체형 필터를 사용하는 대표적인 제품이다. 공기청정기 필터의 교체 시기는 제조사나 제품에 따라 조금씩 다른데, 보통 6개월에서 1년 사이에 한 번씩 교체하는 것을 권장한다. 만약 제품에 필터 교체 시기를 알려주는 기능이 있다면, 잊지 않고 필터를 교체할 수 있어 더욱 간편하다.
▲ 필터 교체 시기를 알려주는 씽크웨이
공기청정기는 보통 실내 공기를 효과적으로 정화하기 위해 여러 겹의 복합필터를 사용하는데, 가장 겉부분에 있는 프리필터는 먼지나 털 등 큰 이물질을 걸러내기 때문에 쉽게 오염된다. 따라서 필터를 교체하지 않더라도 한 달에 1~2번 정도는 필터 겉면을 진공청소기나 솔 등으로 청소해주는 것이 좋다.
▲ LG전자 퓨리케어 플러스 트루 토탈케어 필터
반면 미세먼지 등 유해입자를 걸러내는 내부 헤파필터는 시간이 지날수록 성능이 떨어지는 소모품이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교체해줘야 한다. 필터는 대리점이나 제조사 홈페이지 등 온라인 쇼핑몰에서 구매할 수 있으며, 가격은 제품마다 다르다.
* 인기 제품 3종 권장 필터 교체 시기
씽크웨이 ThinkAir AD12C 6개월 (필터 가격: 25,000원)
LG전자 퓨리케어 AS301DWFA 1년 (필터 가격: 79,000원)
위닉스 제로 S AZSE430-JWK 1년 (필터 가격: 57,000원)
에어컨 :: 반영구 사용, 1~3주마다 청소
▲ 삼성전자 무풍에어컨 AF17T7974WZR
대표적인 계절 가전, 에어컨의 경우 보통 반영구 필터를 사용하기 때문에 필터를 교체할 필요는 없다. 다만 반영구적으로 사용하는 만큼 주기적인 필터 청소가 꼭 필요하다. 에어컨 내부에 습기가 발생하면서 세균이 쉽게 번식하기 때문이다.
▲ 필터를 스스로 청소하는 LG휘센 타워에어컨
에어컨을 매일같이 사용하는 여름철에는 적어도 1~3주에 한 번씩 필터를 물로 세척하고, 에어컨을 끄기 전에는 건조 기능을 1시간 정도 작동해주는 것이 좋다. 또한 에어컨을 장시간 사용하지 않을 때는 미리 내부 청소를 하고 충분히 건조한 뒤 보관하는 것을 권장한다. 최신형 에어컨의 경우 스스로 필터를 청소하는 셀프 클린이나 에어컨을 끄기 전 자동으로 내부 습기를 제거하는 자동 건조 기능을 포함하는 제품도 출시돼 있다.
자동차 에어컨 :: 50,000~10,000km마다 교체
▲ 우리 PM0.3 H11 헤파 자동차 에어컨 필터 WW174
한편 자동차 에어컨은 주기적으로 필터를 교체해줘야 한다. 차량 내부로 들어오는 공기가 이 에어컨 필터를 거쳐 유입되기 때문이다. 차량용 에어컨 필터는 자동차를 얼마나 운행하느냐에 따라 교체 시기가 달라지는데, 전문가들은 주행 거리 50,000~10,000km기준으로 교체하는 것을 권장한다. 대략 3~6개월 주기이며, 미세먼지가 심하거나 에어컨에서 찝찝한 냄새가 날 경우에는 최소 3개월마다 교체해주는 것이 좋다.
▲ 3M PM2.5 초미세먼지 활성탄 필터 F6205
자동차 에어컨 필터는 방법만 알면 초보자도 쉽게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센터에 갈 필요는 없다. 차종마다 다르지만, 조수석 하단의 글로브 박스를 열고 고정핀을 돌려 분리한 뒤 구매한 필터를 갈아 끼워주기만 하면 끝. 필터 1개당 3~6천 원선으로 비용 부담도 적다. 단, 필터마다 적용되는 차종이 다르므로, 본인 차량에 호환되는 필터인지 꼭 체크해서 구매해야 한다.
청소기 :: 제품별 상이
▲ LG 오브제컬렉션 청소기
집 안의 먼지를 빨아들이는 청소기에도 물론 필터가 적용된다. 교체 주기는 제품에 사용된 필터 종류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제조사에서는 보통 6개월에서 1년 사이에 한 번씩 교체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 물세척이 가능한 삼성전자 제트
또한 제품에 따라 세척이 가능한 반영구 필터를 사용하는 청소기도 있기 때문에, 본인이 사용하고 있는 제품의 필터 정보를 따로 확인해보는 것이 좋다. 현재 청소기 인기 순위에 있는 LG코드제로, 삼성전자 제트, 로보락S6 등은 모두 물세척 가능한 필터를 사용하고 있다.
필터교체형 샤워기 :: 2~3개월
▲ 네이쳐리빙 물쎈 블라썸 3기능 정수필터
샤워기에 연결해 녹물과 잔류 염소 등 수돗물 속 불순물을 제거하고 수압을 높여주는 샤워기 필터는 2~3개월마다 교체를 권장하고 있다. 그러나 샤워기 필터는 수질 환경에 따라 크게 차이가 날 수 있고, 필터가 오염되는 것이 눈으로 보이기 때문에 언제든지 필터 오염이 심하면 교체해주는 것이 좋다.
▲ 대림바스 디클린 전용 멀티 필터
샤워기 필터는 보통 4~5개 세트로 판매하고 있어 1년 단위로 사용할 수 있으며, 필터 가격은 한 세트당 1만 원대 전후로 저렴한 편이다.
정수기&비데 :: 3~6개월
▲ 피코그램 퓨리얼 필터세트
정수기나 제빙기 등 먹는 물과 관련된 제품들도 정기적인 필터 교체가 꼭 필요하다. 특히 정수기는 우리 몸과 밀접하게 관련된 만큼 필터 개수와 종류가 다양해, 꼼꼼하게 확인해주는 것이 좋다. 필터 교체 자체는 어렵지 않지만, 필터마다 각기 다른 교체 주기를 일일이 체크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렌탈이나 케어 서비스를 받는 사람들이 많다. 보통 작은 부유물이나 잔류 염소를 거르는 1차 프리필터는 4~6개월, 세균 등 미세 물질을 거르는 2차 필터는 1년에 한 번씩 교체하는 것을 권장한다.
▲ 브리타 맥스트라 플러스
최근 인기있는 물통형 정수기 브리타는 물통에 들어가는 필터 하나만 주기적으로 교체하면 돼 직접 관리하기가 무척 편리하다. 브리타 필터 교환 주기는 1개월, 필터 가격은 개당 5~7천 원선이다.
▲ SK매직몰 원터치 비데필터
민감한 부위에 닿는 비데 역시 전용 정수 필터를 사용한다. 제조사에서는 4~6개월에 한 번씩 교체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으며, 정수기와 달리 보통 하나의 필터를 사용하기 때문에 원수를 차단하고 필터를 분리한 뒤 새 필터를 돌려 끼워주면 된다. 제조사마다 개당 몇 천원부터 1만 원대까지 가격대가 다양하다.
기획, 편집 / 다나와 홍석표 hongdev@danawa.com
글 / 박다정 news@danawa.com
(c)가격비교를 넘어 가치쇼핑으로, 다나와(www.danaw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