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2021 이슈 결산 #9] 아우라는 뭐고 소넷은 또 뭔데 "낯선 우리차 날았다"

2021.12.24. 11:08:23
조회 수
809
2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시계 방향으로 i20, 바이욘, 쌍트로(이상 현대차) 씨드, 페가스, 텔루라이드(이상 기아)

기아 카렌스가 단종 3년 만에 부활했다. 1999년 국내 유일 MPV로 시작한 카렌스는 현대차에 경영권이 넘어간 당시 기아차 회생에 큰 힘을 보탠 모델이다. 중형 SUV와 비슷한 체구에 날렵한 외관을 갖춘 카렌스는 LPG 연료를 사용하는 독보적인 차라는 점에서 인기를 끌었지만 연비 좋은 차들이 대거 등장하면서 판매 부진을 이유로 2018년 짧은 나이로 생을 마친다.

카렌스 얘기가 다시 들린 곳은 인도다. 지난 16일, 인도에서 부활한 카렌스는 현지 전용 모델로 변신했다. 휠베이스를 늘려 7인 탑승에 여유 있는 공간을 만들었고 1.6ℓ 자연 흡기 엔진, 1.4ℓ 터보 엔진, 1.5ℓ 디젤 엔진과 7단 듀얼 클러치 변속기(DCT), 6단 자동변속기(AT)로 선택지를 넓혔다. 생김새도 최근 기아 디자인 콘셉에 맞춰 다듬어지고 시그니처 램프로 인도 시장에 특화한 모습으로 변신했다.

국내 판매를 중단하고 해외 판매를 이어가거나 처음부터 현지 판매를 위해 개발한 사례는 있어도 단종 모델이 해외에서 부활한 건 많지 않다. 2022년은 국내에서 단종됐거나 판매를 중단하고 해외에서 활약하는 차들이 역대급으로 많아진 한 해였다. 처음부터 현지 전략형으로 개발된 건 물론이고 카렌스와 같이 필요하다면 부활시켜 시장마다 다른 특성과 수요에 맞는 맞춤형 공략을 했다.

이런 차들이 거둔 성과는 대단하다. 현지에 특화된 모델, 현지 생산, 현지 공급량이 늘면서 총생산량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크게 높아졌다. 올해 현대차 해외 생산량은 11월 기준 총 207만7000대, 기아는 108만대를 기록했다. 지금 추세로 가면 현대차와 기아 해외 공장 생산량은 350만대에 근접할 것으로 전망된다. 같은 기간 국내 자동차 총생산량은 지난해 대비 2.1% 감소한 314만3000대를 기록했다.

해외 비중 증가로 현대차와 기아 국내 생산량은 11월 기준 19% 감소했다. 같은 차가 모델명을 다르게 사용하는 경우는 줄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단종됐거나 현지형으로 개발해 해외에서만 팔고 있는 모델 수는 급증했다. 현대차는 쌍트로(Santro), i10과 i20, 아우라(Aura), 크레타(Creta), 엑센트(Xcent), 바이욘(Bayon), 라페스타(La festa), 쏠라리스(Solaris) 등 셀 수 없을 정도다.

상대적으로 숫자가 많지 않지만 기아도 유럽 씨드(Ceed)와 파생 모델, 페가스(Pegas), 소넷(Sonet) 그리고 북미 텔루라이드와 K2를 그곳에서만 만들고 있고 쏘울은 거기서만 팔고 있다. 같은 차를 해외에서 다른 모델명으로 생산하고 파는 예도 있지만 상당수는 현지 전략형으로 개발해 국내에서는 볼 수 없는 모델이다. 현대차와 기아 국내 모델 수는  쪼개고 쪼갰을 때 55개(상용차 제외) 정도가 된다.

올해 해외에서 고군분투한 이들 모델 성적이 꽤 좋았다는 것도 눈여겨 볼 대목이다. 북미, 유럽 등 수출 주요 대상 지역이 코로나 19 팬더믹과 반도체 부족으로 생산 활동이 위축한 가운데 상대적으로 영향을 덜 받은 현대차와 기아 점유율이 급상승하면서 판매 성과로 이어졌다. 현대차 i 시리즈는 40만대 이상 팔렸고 기아를 대표하는 전량 북미에서 생산하는 해외파 텔루라이드는 9만 대 이상이 팔렸다.

국내에서 단종이라는 비운을 맞았지만 해외에서 펄펄 나는 모델도 있다. 현대차 i30는 올해 국내 생산분 1만7000대가 수출됐고 해외 현지 생산으로 팔린 건 5만 대가 넘는다. 기아 쏘울은 8만7000대가 북미 시장에서 팔렸고 프라이드(리오)도 연간 10만대 이상 팔리는 효자 모델이다. 같은 모델에 수많은 곁가지로 파생차를 만들고 있는 중국 얘기는 가급적 하지 않았다.

이런 현상은 앞으로도 심화할 전망이다. 당연한 얘기지만 해외에서 팔고 있는 모델의 수가 국내보다 많아졌고 국내에서 찬밥 또는 판매 부진으로 쫓기듯 사지로 내몰린 모델들이 좋은 성과를 내고 있다. 현대차 관계자는 "해외 공장에서 생산해 주변국으로 수출하는 물량도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다"라며 "내수와 시장 규모가 다르고 현지화로 제품 경쟁력을 확보해야 하기 때문에 현지에 특화한 생산 모델 수를 늘리는 건 계속 추진할 전략"이라고 말했다. 


김흥식 기자/reporter@autoherald.co.kr


ⓒ 오토헤럴드(http://www.autoherald.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최신 기획뉴스 전체 둘러보기
1/1
[정보/루머] 인텔은 주고 AMD는 받았다 및 취소인지 연기인지 혼란한 지포스 RTX 50 슈퍼 출시 루머 등 다나와
노바레이크도 막기 힘든 AMD 2차 전성기가 끝날 것 같지 않은 이유 [PC흥망사 152] 동영상 있음 보드나라
마땅히 줘야할 안전을 핑계로 더이상 돈 뜯어내지 마라! 동영상 있음 오토기어
나혼렙: 카르마, 입문 쉬운 로그라이트로 애니 팬도 품는다 게임메카
수일배·이상균·P의 거짓, 라운드8이 말하는 내러티브 철학 게임메카
레이븐 기반 신작 '이블베인'이 PC·콘솔을 선택한 이유는? 게임메카
애스턴마틴 발키리, FIA WEC 데뷔 시즌 2연속 포인트 피니시 달성 오토헤럴드
내년이 절호의 기회이자..위기? 갤럭시S26 준비중인 삼성에 무슨일이? 동영상 있음 주연 ZUYONI
[IT애정남] 그래픽카드 모델명에 담긴 의미는? IT동아
한국에 꽂힌 전 세계 IT업계의 시선··· APEC 현장에서 접한 'AI 반도체'는? IT동아
올랜도 ‘디즈니스러운’ 여행을 위한 꿀팁 모음 (1) 트래비
[순정남] 괴이분들께, 지스타에서 먹어도 되는 인간 TOP 5 게임메카
[포토] 마지막까지 꼼꼼히 준비, 지스타 2025 D-1 현장 (1) 게임메카
완벽한 전주 여행을 위한 미식 가이드 (1) 마시즘
기술 좋으면 뭐하나? 스스로 위기를 자초하는데 동영상 있음 오토기어
도요타 가주 레이싱, WRC 독주 체제 굳히기... 신예 영입 전력 강화 오토헤럴드
[EV 트렌드] 이제 넘쳐서 문제, 전기차 배터리 생산 과잉 위기 올 것 오토헤럴드
한국타이어 후원, ‘람보르기니 슈퍼 트로페오’ 월드 파이널 성공적 마무리 오토헤럴드
엉덩이로 숨쉬기? 인간 대상 실험 첫 성공 과학향기
메모리 공급 부족, 어떻게 AI 반도체 생산의 병목으로 이어질까? (1) IT동아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