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지금 달은 몇 시?” 달 표준시 만들기 나서다

2023.03.13. 13:34:05
조회 수
1,582
3
댓글 수
1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사진1. 나사(NASA)에서 달 표준시에 대한 논의는 달 통신과 탐색을 위한 기술과 표준을 개발하는 '루나네트'(LunaNet)를 통해 진행되고 있다. (출처: NASA)
여행이나 출장으로 다른 나라에 가면 우리는 그 나라의 표준 시간을 기준으로 움직인다. 현재 전 세계 공식 표준시는 1967년 정식 채택된 ‘협정 세계시(Universal Time Coordinated, UTC)’로, 국제 도량형 총회나 국제천문연맹 등이 모두 이 기준을 따르고 있다. 표준시 덕분에 우리는 해외여행을 가서도 가족이나 친구에게 연락해도 괜찮은 시간인지를 판단할 수 있고, 다른 국가의 사업 동료와 문제없이 소통할 수 있다.

그런데 최근 성층권 바깥의 장소에 또 다른 표준시를 결정해야 한다는 논의가 시작되고 있다. 바로 달 표준시 이야기다. 지난해 과학계의 주요 이슈 중 하나는 달 탐사였다. 미국 ‘아르테미스 프로젝트’, 중국 ‘창어(嫦娥) 프로젝트’ 같은 국가 주도의 프로그램은 물론, 미국‧유럽 등 전통적인 우주 강국에서는 민간 기업까지 달 탐사에 뛰어들고 있다. 달 탐사 최신 동향과 함께 미국 항공우주국(NASA)과 유럽 우주국(ESA)이 달 표준시 제정을 위해 제시한 아이디어를 살펴보자.
인류, 50년 만에 다시 달로
사진2. NASA는 2022년 11월 아르테미스 1호를 성공리에 시험 발사했다. 아르테미스 1호 오리온 우주선은 12월에 임무를 마치고 안전하게 지구로 돌아왔다. (출처: NASA)
1969년, 미국은 세계 최초로 달에 사람을 보냈다. 소련과의 계속된 우주 전쟁에서 승기를 거머쥔 순간이었다. 그로부터 반세기 뒤, 화성 탐사에 집중하던 미국은 2017년 말 다시 달에 눈을 돌린다.  아폴로 계획의 제1 목적이 단순히 우주비행사를 달로 보내는 데 있었다면, 아르테미스 프로젝트는 인류를 지속적으로 달에 보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 2025년 말에 성별과 인종이 다른 우주비행사들을 달에 보내기 위한 아르테미스 3단계의 선행 작업으로 미국은 작년 말 무인 탐사선 ‘오리온’을 달 궤도로 쏘아 올렸다.
‘오리온’이 달에서 돌아온 날(2023년 12월 11일), 미국 플로리다주에서는 일본 민간 기업 ‘아이스페이스’가 개발한 달 착륙선 ‘하쿠토-R’가 발사됐다. 오는 4월 말 달 착륙선이 무사히 도착하면 일본은 러시아, 미국, 중국에 이어 네 번째로 달 착륙에 성공하게 된다. 민간 기업으로서는 최초이기도 하다. 우리나라는 12월 27일 첫 우주 탐사선 ‘다누리’가 달 임무 궤도 진입에 성공하면서 달까지 도달할 수 있는 우주 탐사 역량을 증명했다. 달 궤도선은 고해상도의 달 표면 영상과 자기장‧방사선 등을 관측하며, 10년 뒤로 예정된 한국형 달 착륙선의 착륙 후보지를 선정하는 데 쓰인다.
사진3. 한국형 달 착륙선 다누리가 촬영한 달 표면사진. (출처: 다누리)
달 표준시로 탐사선 충돌 피하자
이처럼 향후 10년 동안 국가와 민간 단위에서 수십 개의 달 탐사 임무가 예정되어 있다. 전 세계 우주 기관 및 학술 단체 대표들은 2022년 11월 네덜란드에 있는 유럽우주국(ESA) 유럽우주연구기술센터에 모여 달의 현재 시각을 정의할 방법에 관한 권고안의 초안을 작성했다. 
달은 지구보다 중력이 6분의 1가량 약하기 때문에, 지구의 관측자가 본 달의 시간은 지구의 것보다 빠르다. NASA는 24시간을 기준으로 할 때 달의 고유 시간이 지구보다 56마이크로초 빠를 것으로 추정하는데, 지구와의 차이는 달의 위치에 따라서도 다르게 나타난다. 그렇다면 현재까지 달 탐사는 어떤 식으로 진행되었던 것일까?  기존 프로젝트들은 기체에 탑재된 양방향 통신형 크로노미터(Chronometer)와 지구에 있는 대형 심우주 안테나를 통해 확보한 신호를 협정 세계시에 동기화하는 방법을 썼다. 달 고유의 시간보다 지구의 표준시를 빌려 자체적인 시간 척도를 운영한 것이다.
이 방법은 소수의 기체가 독립적으로 임무를 할 때는 효과적이지만 달에 있는 기체끼리는 시간을 확인할 수 없어 혼선이 생기기 쉽다. 달의 표면적은 미국과 중국 두 나라의 면적을 합친 것보다도 크지만 기지를 만들기에 좋은 ‘명당’은 한정되기 때문에, 이 구역에서 충돌이 불가피할 수도 있다.
인간이 만드는 달 표준시
사진4. 유럽우주기구 ESA는 달에서 유인 활동을 지지하는 통신넷인 문라이트(Moonlight) 계획을 진행 중이며, 이번에 새롭게 기준이 되는 달 시각을 만들 필요성을 제창했다. (출처: ESA)
달의 시간을 측정하기 위해 가장 먼저 할 일은 달 전용 위성 항법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다. 마치 지구에서 특정 물체의 정확한 위치를 추정할 때 미국의 GPS, 유럽의 갈릴레오 같은 위성 항법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것처럼 말이다. 이를 위해 ESA는 2022년 11월에 ‘문라이트’라는 이름의 달 위성 항법 프로젝트를, NASA는 지난 1월에 통신 중계 항법 시스템 프로젝트를 시행한 바 있다.
이러한 달 위성 항법 시스템은 위성 항법 신호를 수집해 달에서 위치를 찾는 실험을 먼저 거친다. 다음으로 원자시계를 탑재한 위성을 최소 3개 이상 달 주위로 쏜다. 셋 이상의 위성 신호가 달 표면에 도달하기까지의 시간을 사용하면 정확한 위치를 삼각 측량할 수 있다. 도량형 학자들은 원자시계에서 나온 신호들을 합산해 달의 시간을 정할 수 있다고 본다. 혹은 이 출력값들을 지구의 협정 세계시와 맞추어 조정할 수도 있다. 전자가 달에서 독립적으로 설정된 시간이라면 후자는 지구와 동기화한 시간이다.
기존 달 탐사 프로그램이 독자적으로 쓴 시간 기준이나 지금 국제 천문 기관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하려는 달 표준시 ‘초안’처럼, 시간을 표준화하는 일은 자연적인 조건만으로 확정되지 않는다.  표준화의 여정은 달 탐사에 관련된 사람들이 공식화될 표준시를 사용할 것인가의 문제와도 관련 있다. 38만 km 떨어진 곳에서 기체를 제어할 과학자들에게 최적화된 형태와, 몇 년 뒤 반세기의 세월을 넘어 달에 도착할 우주비행사들이 현장 임무를 수행하기에 좋은 형태가 같을 수 있을까? 이 문제를 고민하는 여러 사람의 예측처럼, 달 표준시의 완성은 도량형의 문제라기보다 관습에 달린 것일지 모른다.
글: 맹미선 과학칼럼니스트/일러스트: 이명헌 작가



<저작권자 ⓒ 과학향기(http://scent.ndsl.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최신 기획뉴스 전체 둘러보기
1/1
삼성은 디자인 바꾸고, 애플은 출시 미루고…한 주간 IT 루머 총정리 다나와
[겜ㅊㅊ] 코딩 능력이 곧 실력인 프로그래밍 게임 4선 게임메카
[보드게임] D&D 던전 크롤링 느낌, 글룸헤이븐: 사자의 턱 게임메카
[모빌리티 인사이트] 가솔린 vs 하이브리드 vs 전기차... 경제성의 승자는? 오토헤럴드
[숨신소] 세상에 나쁜 개는 없다 '마이 리틀 퍼피' 게임메카
중국차 판 깔아준 기아 "BYD는 기아에 절해야 함" 동영상 있음 오토기어
베트남 하롱베이에 새롭게 들어선 인터컨티넨탈 트래비
다나와 흑백 콤-퓨타 행사 성료, 초심자의 PC 길라잡이 역할 톡톡히 (1) 위클리포스트
[정보/루머] RTX 50 슈퍼는 GDDR7 메모리 부족으로 아웃? 및 AMD와 인텔의 미묘한 신경전 펼쳐질까? 등 (6) 다나와
도요타의 4번째 GR '운전의 스릴과 감각' 사라진 AI 자동차를 구하라! (1) 오토헤럴드
페라리, 도요타 독주 추월 성공... WEC 제조사·드라이버 더블 포디엄 장악 오토헤럴드
롤드컵 결승 '소환사의 컵' 트로피 캐리어로 변신한 벤츠 전기 G 클래스 오토헤럴드
도요타 오지에, WRC 재팬 랠리 극적 우승... 시즌 챔피언 결정은 사우디로 오토헤럴드
현대차 랠리팀 '최악의 위기' 타낙 떠나고 누빌, 랠리카 신뢰성 의문 제기 오토헤럴드
갑자기 나타난 '사슴' 눈보다 위험한 '시럽'... 실험실 밖 실전 테스트의 세계 오토헤럴드
네이버 단25, 양대 축 에이전트N과 소버린 AI 2.0이란? IT동아
진보하는 AI 개발자를 위한 자리, '데이원컴퍼니 젠콘 2025' 가보니 IT동아
페이커 “2017년 롤드컵 탈락이 성장의 밑거름 됐다” 게임메카
시즌 1과 함께, 카제나 성장과 신뢰도 달성 난이도 낮춘다 게임메카
연운 제작진 “이전에 없던 무협의 정수 보여주겠다” 게임메카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