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한국 1년 중 절반은 실외보다 실내 공기 오염 수치가 더 나빠

뉴스탭
2024.01.19. 17:17:14
조회 수
1,242
7
댓글 수
5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글로벌 기술 기업 다이슨이 전 세계 공기 질에 대한 자사 최초의 연구인 ‘세계 공기 질 커넥티드 데이터(Global Air Quality Connected Data)’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지난 2022년부터 2023년까지 약 1년간전 세계 가정에 분포된 약 250만 대 이상의 다이슨 공기청정기가 수집한 빅데이터를 통해 도시별 실내 공기 질을 세부적으로 조사했다. 실내 오염 물질을 가스와 오염 입자로 분류하여 이 물질의 일별, 월별, 계절 및 한 해 동안의 변화 추이를 분석했다. 데이터는 MyDyson 앱에 연결된 다이슨 공기청정기를 통해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데이터는 5,000억개 이상에 이른다.


풍부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이번 연구는 두 가지 유형의 공기 오염 물질인 초미세먼지(PM2.5)와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s)에 중점을 두고 있다. 초미세먼지는 직경이 2.5 마이크론 이하 입자의 먼지를 의미하며, 보통 가스를 이용한 음식 조리 및 난방, 목재 버너 등의 연소, 꽃가루, 반려동물의 비듬 및 먼지를 통해 발생된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머리카락 직경이 약 70 마이크론인 것과 비교해 초미세먼지는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을 정도로 매우 미세한 크기로 사람의 호흡기로 흡입될 수 있어 전 세계적으로 이와 연관된 과학 및 건강 관련 분야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휘발성 유기 화합물은 벤젠, 포름알데히드 등의 가스 오염 물질로 청소 및 요리 등의 일상적인 활동 시에도 발생될 뿐만 아니라, 탈취제, 바디 스프레이, 양초, 가구 및 가구의 부속품 등에서도 배출될 수 있다.


다이슨 환경제어 부문 엔지니어링 디렉터인 맷 제닝스(Matt Jennings)는 “다이슨의 세계 공기 질 커넥티드 데이터 조사를 통해 전 세계 가정에서 실제로 발생하는 실내 공기 오염의 문제를 파악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우리는 다이슨 공기청정기가 해결해야 하는 실생활의 문제를 파악하고, 문제 해결을 위한 고도화된 기술을 설계하기 위한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게 됐다”라며 “수집되는 데이터는 단순히 엔지니어링 도구로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다이슨 공기청정기를 사용하고 있는 사람들이 공기 질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도록 MyDyson 앱에서 실시간 및 월간 보고서로 확인할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또한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중환자실 의학과장 겸 다이슨 과학자문위원회 위원장인 휴 몽고메리(Hugh Montgomery)는 “사람들은 대기 오염을 실외나 도로변 환경에만 국한된 문제라고 생각한다. 최근 실내 공기 오염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지만 여전히 미흡한 상황이다”라며 “이번 다이슨의 연구 결과는 전 세계 가정의 실내 오염 수준에 대해 일별, 월별, 계절별로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뿐 아니라 매우 의미 있는 인사이트를 제공하며, 강력한 교육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 우리 일생 생활에서 밀접한 주변의 오염을 이해하는 것이야 말로 오염에 대한 노출을 줄이기 위한 첫걸음이다"라고 말했다.


모든 연구 대상국에서 연 평균 실내 초미세먼지(PM2.5) 가 세계보건기구(WHO) 연간 지침 기준 초과해


   
▲ 글로벌 연구 대상국의 계절별 연간 초미세먼지 수치 (세계보건기구 연간 지침 기준 명시)

1년간 다이슨 공기청정기에 수집된 초미세먼지 데이터를 살펴보면 몇 가지 흥미로운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우선 인도와 중국이 실내외 공기 질의 영향으로 연 평균 초미세먼지 수치가 가장 높은 나라로 꼽혔으며, 튀르키예가 3위, UAE가 4위, 한국이 5위를 기록했다. 연구 대상 전 국가에서 연 평균 실내 초미세먼지 수치는 세계보건기구(WHO)의 연간 지침(5 µg/m³) 수준을 초과했으며, 특히 인도는 11배, 중국은 6배, 튀르키예와 UAE는 4배, 그리고 한국, 루마니아, 멕시코, 이탈리아는 3배를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 평균 초미세먼지 수치가 가장 높은 도시 5곳은 델리(인도), 베이징(중국), 상하이(중국), 선전(중국), 부산(한국)으로 모두 아시아에 속하고, 이스탄불(튀르키예), 두바이(아랍에미리트), 서울(한국), 멕시코시티(멕시코), 비엔나(오스트리아)가 뒤를 이었다. 모든 연구 대상국의 도시별 결과 역시 국가별 데이터와 유사하게 세계보건기구의 장기 또는 연간 노출 지침(5μg/m³)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심지어 가장 낮은 순위를 차지한 시드니의 연간 평균 초미세먼지 수치도 6.78 µg/m³ 수준을 기록했으며, 델리는 세계보건기구 가이드라인을 14배 이상, 베이징은 6배 이상, 상하이는 5배 이상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 1년 중 6개월 동안 실내 공기 질이 실외 공기 질보다 좋지 않은 것으로 밝혀져


   
▲ OECD 가입 연구 대상국의 실내외 초미세먼지(PM2.5) 수치

이번 연구 결과 전체 조사 대상국 중 인도, 노르웨이, 폴란드, 핀란드 4개 국가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국가가 1년의 절반 이상은 실외보다 실내 초미세먼지(PM2.5) 수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 2022년 기준 6개월 동안 월 평균 실내 초미세먼지 수치가 실외 수치를 초과했다. 일본의 경우 8개월 간 실내 초미세먼지 수치가 실외보다 높았으며, 중국은 2022년 모든 달에 걸쳐 실내 초미세먼지 수치가 실외보다 좋지 않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1년 중에는 2월이 한국과 일본을 포함한 7개국에서 실외 대비 실내 초미세먼지 수치가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한 달로 밝혀졌다. 이번 조사 대상 31개국 중 20개국에서 연 평균 실내 공기 질 수치가 실외보다 좋지 않았으며 한국과 중국, 일본도 20개국에 포함되었다. 한국의 경우, 실내 연 평균 초미세먼지 수치는 18.17 µg/m³ 로, 실외 수치(17.24 µg/m³) 대비 5% 가량 더 나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보아, 실외 공기뿐 아니라 실내 공기 질에 대한 관심 제고 및 관리가 필요하다.


도시 기준으로는 밀라노의 가정에서 기록된 연간 실내 초미세먼지 평균 수치가 실외 초미세먼지 평균 수치에 비해 2.5배 이상 높게 나타났고, 조사 대상 도시들 중 그 차이가 가장 높았다. 밀라노 다음으로는 중국 선전의 실내 초미세먼지 평균 수치가 실외 대비 97% 높았으며, 암스테르담(76%), 서울(53%), 마드리드(50%), 멜버른(40%), 빈(37%), 싱가포르(36%), 뉴욕(35%) 그리고 도쿄(24%) 순으로 나타났다.


사계절 중 겨울철이 공기 오염 수치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


   
▲ 연구 대상국 중 한국(서울), 중국(베이징), 일본(도쿄)의 연간 공기 오염(PM 2.5) 수치 월별 비교

이번 연구에 활용된 다이슨 공기청정기 데이터에 의하면, 전 세계적으로 공기 오염이 가장 심한 계절은 겨울로 나타났다. 겨울철 날씨가 추워질수록 사람들은 실내에 머무는 시간이 많아지고, 창문을 닫은 채 연소 작용을 하는 난방 시스템을 가동한다. 폐쇄된 공간에서 연소 작용이 지속적으로 이뤄질 경우, 공기 오염을 유발하는 물질이 실외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축적되면서 실내 공기 질이 악화된다. 실제로, 한국 역시 1월이 공기 오염 수치가 가장 높은 달이었으며 1월의 평균 초미세먼지 수치는 가장 낮았던 8월 대비 2.6배 이상 높았다. 물론 모든 국가에서 겨울에 공기 오염 수치가 가장 심한 것은 아니었다. 조사 국가 중 8개국에서는 3월이 공기 오염 수치가 가장 높은 달로 나타났으며, 1월이 공기 오염 수치가 가장 높게 기록된 곳은 7곳으로 나타났다.


하루 중 오염 수치가 가장 높은 시간대는 저녁시간, 한국은 예외


   
▲ 연구 대상국 중 한국(서울), 중국(베이징), 일본(도쿄)의 하루 중 공기 오염(PM 2.5) 수치 시간별 비교

이번 연구 대상국 대부분에서 하루 중 실내 초미세먼지 수치가 가장 높게 나타난 시간대는 오후 6시에서 오전 12시로, 저녁부터 밤 중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직장, 학교 등 외부에서 귀가해 가족 구성원들이 집 안에 머무는 시간대인 영향이 큰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일부 국가 및 도시의 경우, 오후 6시에서 오전 12시가 아닌, 다른 시간대에서 실내 초미세먼지 수치가 높게 나타난 경우도 있다. 대표적으로, 동남아시아(태국, 필리핀, 인도)에서는 오전 7시에서 정오 사이가 가장 수치가 높았으며, 한국의 경우 예외적으로 자정부터 오전 7시 사이에 오염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뉴스탭(http://www.newstap.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News Tap 주요 기사]
· 인기 게임 '팰월드'에 최적화된 그래픽카드
· 케이스티파이, 애니메이션 ‘주술회전’과 한정판 컬렉션 출시
· 론진, 콘퀘스트 헤리티지 센트럴 파워 리저브 출시...'70년간 이어온 혁신과 우아함'
· 뮤지크(MUZIK), 조용필 55주년 한정판 선글라스 정식 출시
· 인텔 공인대리점, '워라밸 게이밍 PC 맞추기' 프로모션 실시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최신 기획뉴스 전체 둘러보기
1/1
엔비디아(NVIDIA)는 AI로 이런 거 합니다 동영상 있음 민티저
BYD, 첫 ‘경형 EV’ 공개 임박… 재팬 모빌리티쇼서 글로벌 첫 선 오토헤럴드
흑백 콤-퓨타 대전의 '백수저 PC'는 아름답습니다! 다나와
“피해자 구제가 나의 소명”…교통사고 전문 정경일 변호사 IT동아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의 공감 디지털 경영 혁신, NHN두레이가 한몫해 IT동아
응급 수술의 판을 바꾸다, 의료용 글루건의 탄생 (3) 과학향기
메인스트림 게이밍 CPU의 뉴페이스. 라이젠 5 7400F, 9500F (2) 기글하드웨어
한달만에 50% 폭등한 인텔 14세대 CPU 가격 인상과 생산 문제 이유는? 동영상 있음 보드나라
[순정남] 게임을 넘어 유명세 탄 헤어스타일 TOP 5 (1) 게임메카
K-소울이라 불린 더 렐릭 “소울라이크는 아니다” 게임메카
아이온2의 숙제, 커뮤니티서 제기되는 '불안의 목소리' 게임메카
AI 성능은 그대로, 용량은 더 적게··· 에너자이가 말하는 '극단적 양자화'란 IT동아
FIX 2025 “인공지능ㆍ로봇ㆍ모빌리티 등 미래 주도 기술이 한 자리에” IT동아
오늘도 깔끔하고 편안한 PC를 위해 숨은 주역들은 '열일'합니다 (3) 다나와
“AI 시리 또 연기?” 스마트폰·게임·MS까지... 이 주의 IT 루머 총정리 (1) 다나와
PC 갬성 전쟁, 흑백 콤-퓨타 대전의 '흑수저 PC'를 소개합니다! (1) 다나와
M5 칩으로 성능 강화, 공간컴퓨팅 헤드셋 ‘애플 비전 프로’ (1) IT동아
[자동차와 法] 신차 하자 발생 시 교환·환불에 대한 법적 기준과 현실적 대응 IT동아
덕후 워프레임? 듀엣 나이트 어비스 매력 요소 총정리 게임메카
[겜ㅊㅊ] 타르코프 대비 몸풀기, PvE 익스트랙션 슈팅 5선 게임메카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