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위치 국내 서비스가 곧 종료된다. 2024년 2월 27일부로 서비스가 정말로 끝나버리는 것이다. 이제 트위치 스트리머들은 다른 스트리밍 플랫폼으로 떠나야 한다. 선택지는 크게 두 가지다. 아프리카 TV와 치지직. 아프리카 TV는 트위치와 전통적인 대립 구도에 있었기에 트위치 종료 시 자연스럽게 유입량이 늘어날 것이다. 또한, 정말로 주목해야 할 점은 치지직이다. 이유? 국내 1위 포털 네이버에서 새롭게 서비스하는 스트리밍 플랫폼이다. 신대륙이라 모두 시작점이 똑같다면 안 갈 이유가 없다. 마치 콜럼버스가 신대륙을 발견한 뒤 다양한 항해사들과 탐험가들이 그 땅으로 향한 것처럼. 그런데 신대륙으로 떠날 때는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 새로 인터넷 방송에 입문할 계획이라면, 방송 콘셉에 적합한 스트리밍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
STEP1 - 어떤 스트리머에 도전할 것인가?
스트리머, BJ, 유튜버, 크리에이터 등의 차이는? 사실 특별한 차이는 없고, 다 똑같은 인터넷 방송인이다. 다만, 인터넷 방송 플랫폼에 따라 조금씩 명칭이 바뀐다. 크게 놓고 보면 BJ는 아프리카 TV, 스트리머는 트위치다. 원래는 그랬다. 다만, 2023 아프리카TV BJ 대상 행사를 통해 아프리카는 플랫폼 브랜드명을 숲으로 바꾸고 BJ라는 명칭을 스트리머로 바꾸려 한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해외 진출을 위해서다.
▲ 아프리카TV는 플랫폼 브랜드명을 숲(SOOP)으로 바꿀 예정이다
그런 스트리머들은 본인의 관심사에 따라 다양한 콘텐츠를 다루게 된다. 토크 방송, 토크쇼 방송, 더빙 방송, 먹는 방송, 요리 방송, 음주 방송, 음악 방송, ASMR, 게임 방송, 야외 방송, 반려동물 방송, 운동 방송, 헬스 방송, 공부 방송, 뷰티 방송, 중계방송, 라이브 커머스 등... 세세하게 나누자면 정말 많다.
▲ (위)아프라카, (아래)치지직 메인화면
그 중에서도 사용자들이 보편적으로 많이 몰리는 분야가 있다. 겜방, 먹방, 톡방. 게임 방송은 게임을 주력 콘텐츠로 하는 방송이다. 크게는 전문게임방송과 종합게임방송으로 나뉘는데, 사실 두 방송을 완벽하게 구분할 수는 없다. 대부분 꾸준히 즐기는 주력 게임이 있고, 이외에 여러 가지 신작 게임이 나올 때마다 한두번 플레이하게 되는 것이 패턴이다. 콘솔 게임, 온라인 게임, 스팀 게임 등 자주 즐기는 게임에 맞춰 세팅해야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특히 게임 방송은 세팅 시 준비물이 상당히 많다. 고사양 컴퓨터, 오디오 인터페이스, 업로드 속도가 빠른 초고속 인터넷, 저작권 확인, 게임 인터페이스 설정 확인, 편집 기술 등이다. 그런 준비를 끝내고 방송에 뛰어들더라도 시청자 성향을 제대로 분석하지 못한 상태라면 낭패를 볼 수 있으므로 조심해야 한다.
먹방은 말 그대로 먹는 방송이다. 도전형, 미식형, 소통형이 있다. 도전형은 이색 음식을 먹은 뒤 리액션을 진행해야 하며, 미식형은 흔히 말하는 맛집 탐색형 먹방이다. 마지막으로 소통은 음식을 먹는 것보다는 음식을 먹으면서 진행하는 톡방에 가깝다.
톡방은 앞서 소통 먹방으로 잠깐 언급했는데, 말 그대로 시청자와의 대화가 메인 콘텐츠다. 수다 방송, 잡담 방송, 썰 발송, 라디오 방송, 보이는 라디오, 더빙 방송 등이다. 기본적으로 말재주가 있어야 한다. 또한, 웹캡을 켜고 얼굴을 보여줄 것인지 안 보여주거나 가상 캐릭터로 대체할 것인지 선택해야 한다. 목소리도 그냥 내보내거나 변조해서 내보낼 수도 있다. 물론 이는 게임 방송에도 적용되는 점이기도 하다.
STEP2 - 가벼운 라방 위주 방송 세팅
#라이브커머스 #쇼핑라이브 #오픈마켓
라방은 두 가지로 나뉜다. 라이브 커머스, 라이브 방송. 라이브 커머스는 인터넷 방송으로 하는 홈쇼핑이다. 다만 치지직이나 아프리카 TV에서 할 만한 건 아니고 네이버 쇼핑라이브나 카카오쇼핑라이브, 11번가 등을 통해 진행하게 된다. 라이브커머스는 진행을 위해 갖춰야 할 장비도 복잡하다.
▲ DJI 오즈모 모바일6 (정품) 199,000원
이어서 라이브 방송. 스마트폰으로 진행하는 라이브 방송이다. 인터넷 방송에 진입하는 방법 중 가장 간단하다. 물론 이것도 파고들면 복잡해질 수 있다. 대표적으로는 야외 방송(야방)의 경우 셀카봉에 스마트폰을 끼우거나 짐벌에 장착해 들고 다니게 된다. 배터리 소모가 많기에 보조배터리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고, 스마트폰용 광각렌즈도 부착하는 경우도 있다. 야외 방송이 전문이라면 아예 스마트폰과 달리 외장 카메라를 따로 쓰는 경우도 있다.
▲ 슈피겐 벨로 S540W 셀카봉삼각대 2세대 (홀더,리모컨) 34,900원
다만, 간단하게 스마트폰으로 방송을 진행할 거라면 기본적으로는 스마트폰만 있으면 된다. 하지만 시청자가 준비가 미흡한 방송에 관심을 가질 일은 별로 없다. 최소한의 준비는 해야 한다. 삼각대는 있어야 하고, 마이크도 달아줘야 한다. 음질만 괜찮아져도 볼 만하다.
▲ GODOX LEDP260C LED조명 (정품) 86,960원
가장 중요한 건 조명이다. 지속광 조명이 있어야 한다. 밝은 광원이 있어야 깨끗하게 피부톤을 연출할 수 있고, 피부 번들거림도 최소화한다. 또한 밝으면서도 눈부심이 없어야 스트리머가 편안하게 방송할 수 있다. 추가로 색온도 조절이 가능하다면 컬러별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보관이 쉽고 운반도 쉬우면 더 좋다.
STEP3 – 게임방송 세팅
#원컴 #투컴 #동시송출 #게임방송
게임 방송은 보통 컴퓨터 한 대(원컴) 구성 or 컴퓨터 두 대(투컴)로 진행하게 된다. 원컴으로 게임 진행 및 방송 송출을 하려면 PC 성능이 아주 좋아야 한다. 고사양 PC를 활용해 간편하게 세팅할 때 유리하다.
▶ 원컴용 구성
▲ (원컴) 게임용 PC. 총견적 3,698,240원
엔비디아 지포스 계열을 장착할 경우 NVENC 등을 활용해 CPU 점유율도 낮출 수 있다. 먹방과 같은 소통 방송 시에도 원컴 구성이면 별 문제는 없다.
▶ 투컴용 구성
▲ (투컴) 게임용 PC. 총견적 3,087,370원
▲ (투컴) 송출용 PC. 총견적 1,327,150원
*게임용(3,087,370원)+송출용(1,327,150원) = 3,414,520원
다만 투컴 구성이 압도적으로 뛰어난 장점이 있다. 안정성. 원컴 구성 대비 게이밍 PC가 사양이 조금 더 낮아도 무난하게 진행할 수 있다. 원컴에서 볼 수 있는 방송 시 프레임 손실이 없고 딜레이도 최소화되기 때문이다. 또한, 메인 PC로 게임을 즐기다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다운이 되는 경우다. 이때는 원컴으로 진행했다면 방송이 멈추지만, 투컴이었다면 게임용 PC가 멈춰도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
STEP4 - 먹방, 여캠용 세팅
#여캠 #남캠 #먹방 #토크 #카메라 #조명
먹방이나 여캠 등은 사실 엄청난 고사양 PC가 필요하지는 않다. 원컴 방송이면 충분하다. 다만 추후에 게임 등의 콘텐츠도 진행할 수 있는데, 그때가 되면 송출용 PC로 활용할 수 있는 견적을 선택하면 좋다. 또한, 열없는 LED 조명과 소통용 고성능 마이크, 디지털 카메라 연결용 캡쳐보드, 예쁜 의자 등이 필요하다.
▲ 먹방, 여캠용 PC견적에 웹캠 대용 미러리스와 조명을 추가했다
*PC(2,099,740원)+카메라옵션(1,026,090원) = 3,125,830원
STEP5 - 종합 스트리머
#종합스트리머 #무대조명 #스탭
게임도 하고 먹방도 하고 톡방도 하는 종합 스트리머용 견적이다. 당연히 투컴을 사용해야 하며, 디지털 카메라로 얼굴도 송출해야되기에 앞서 언급한 모든 요소가 탑재돼야 한다. 방 전체만 놓고 보면 책상, 의자, 조명, 카메라, 렌즈, 거치대, 모니터, 마이크, 키보드, 마우스, PC 등이 포함된다. 여기에 방송 세팅비나 프로그램 구독료 등이 추가될 수 있다.
기획, 편집 / 다나와 홍석표 hongdev@cowave.kr
글 / 김도형 news@cowave.kr
(c) 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www.danaw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