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오토헤럴드 김훈기 기자] 제네시스 브랜드가 현지시간으로 25일, 중국국제전람중심에서 개막한 '2024 베이징 모터쇼(Auto China 2024)'를 통해 'G80 전동화 부분변경 모델'을 세계 최초로 공개했다. 또 고성능 영역으로의 브랜드 확장 의지를 담은 '제네시스 마그마’를 소개하며 이를 적용한 'G80 전동화 마그마 콘셉트'를 중국 시장에 처음으로 선보였다.
먼저 이번 모터쇼를 통해 최초 공개된 G80 전동화 부분변경 모델은 첫 모델이 2021년 4월, 상하이 모터쇼에서 최초 공개된 이후 상품 경쟁력을 한층 더 끌어올려 3년 만에 새로운 모습으로 선보였다.
해당 모델은 제네시스 브랜드 디자인 철학 '역동적인 우아함(Athletic Elegance)'을 반영해 더욱 정교하고 화려한 디테일이 더해진 외관을 비롯해 고급스러우면서 우아한 감성의 실내, 다채로운 편의 사양 그리고 편안한 승차감 및 4세대 배터리 탑재를 통해 향상된 주행가능거리 등이 특징이다.
G80 전동화 부분변경 모델 외관은 전면부 그라데이션 형태의 크레스트 그릴로 정교하고 화려한 이미지를 강조하고 제네시스의 상징인 두 줄 헤드램프에는 MLA(Micro Lens Array) 기술을 적용해 첨단 기술과 럭셔리 디자인의 조화를 강조했다.
또 측면은 새로운 디자인의 19인치 전용 휠을 적용하고 후면부는 제네시스 크레스트 그릴 디자인에서 착안한 'V' 형상의 크롬 트림을 통해 미래지향적인 이미지를 구현했다.
이 밖에도 외장 색상으로 중국 시장 전용으로 고사성어 '청출어람(靑出於藍)'에서 착안한 '비전 블루(Vision Blue)'를 새롭게 선보였다.
실내는 늘어난 휠베이스와 수평적 디자인을 강조한 설계로 여유로운 공간감을 전달한다. 클러스터와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은 하나로 합쳐진 27인치 통합형 와이드 디스플레이가 탑재되고 뱅앤올룹슨(Bang & Olufsen) 고해상도 사운드 시스템을 비롯 밝기를 개선하고 광원의 범위와 길이를 확대한 무드램프를 적용해 공간의 품격을 더욱 높였다.
또 G80 전동화 부분변경 모델은 기존 대비 주행 진동을 개선하고 실내 소음 유입을 줄여 최고 수준의 승차감과 정숙성을 확보하고 4세대 배터리를 탑재해 1회 충전 주행가능거리를 늘리는 등 럭셔리 대형 전동화 세단에 걸맞은 상품 경쟁력을 확보했다.
한편 제네시스 브랜드는 이번 모터쇼를 통해 고성능 영역으로의 확장 의지를 담은 신규 프로그램 '제네시스 마그마'를 세계 최대 전기차 시장으로 부상한 중국에서 선보였다.
지난 3월 뉴욕에서 첫 공개된 마그마 프로그램은 단순한 차량의 성능 향상을 넘어, 최첨단 기술과 스포티한 디자인이 융합된 고성능 차량을 구현해 이전에 볼 수 없던 주행과 운전의 즐거움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제네시스는 궁극적으로 마그마 프로그램을 통해 현재 라인업을 기반으로 한 고성능 모델을 개발하고, 기본 모델의 품질과 성능 극대화를 통해 고객이 가장 소유하고 싶은 차량을 선보여 나간다는 계획이다.
현대·제네시스 글로벌디자인담당 이상엽 부사장은 "제네시스 마그마는 중국 고객들의 운전 경험을 보다 새로운 영역으로 확장하고자 하는 의지의 표현"이라며 "특히 새롭게 공개된 아크미 블루 컬러는 중국 고객들의 끊임없이 변화하는 요구를 충족시키고자 하는 제네시스만의 의지를 담았다"라고 말했다.
제네시스는 이날 마그마 프로그램과 함께 G80 전동화 마그마 콘셉트, 제네시스 X 그란 베를리네타 콘셉트, GV60 마그마 콘셉트를 공개했다.
이번 새롭게 공개된 G80 전동화 마그마 콘셉트는 3월 선보인 GV60 마그마 콘셉트와 더불어 제네시스 마그마 런칭 이후 양산될 고성능 콘셉트 중 하나로 G80 전동화 모델의 우수한 디자인과 성능을 제네시스만의 방식으로 더욱 대담하고 우아하게 풀어냈다.
G80 전동화 마그마 콘셉트의 신규 색상인 '아크미 블루'는 가장 뜨거운 불이 파란색으로 타는 현상에서 영감을 받은 것으로 제네시스의 고성능 차량 제작에 대한 의지와 열정을 담았다.
G80 전동화 마그마 콘셉트는 전반적으로 넓고 낮아진 차체로 역동적인 스포츠 드라이빙에 최적화되어 있으며, 새로운 디자인의 전면 그릴과 리어 범퍼를 적용하고 펜더의 크기를 키워 강인한 존재감을 부각시켰다.
또한 스포일러 립, 덕테일 스포일러, 리어 디퓨저 등 공기 역학을 고려한 사양 적용으로 고성능 이미지를 강조했다. 실내는 알칸타라 소재, 퀄팅 가죽, 탄소섬유 직물 등의 고품질 소재를 적용해 고급스러우면서도 스포티한 분위기를 완성했다.
김훈기 기자/hoon149@gmail.com
ⓒ 오토헤럴드(http://www.autoherald.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