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이머에게 새로운 게임은 어깨춤을 추게 만드는 원동력이다. 한동안 잠잠하던 신작 게임이 연말을 향해 공개되면서, 다시금 어깨춤을 추는 게이머가 늘어날 것 같다. 개인적으로 오공을 참 재미있게 즐겼는데, 두 번째 기대작인 패스 오브 엑자일 2(POE2) 또한 기대하고 있다. 더구나 2024년 한 해를 마감하는 이 시점에 얼리 액세스 활동을 개시하면서 가능성을 타진하는 개발사의 전략 또한 감탄을 자아낸다.
POE2는 디아블로 같은 핵앤슬래시 장르를 좋아하지만, 더 복잡한 빌드와 높은 자유도를 원하는 플레이어에게 잘 어울린다. 특히 PvE(플레이어 대 환경) 콘텐츠를 중심으로 성장과 전략을 중시하는 유저라면 이 게임의 매력에 빠져들 가능성이 크다. 또한, 전작의 후속작이라는 점에 머무르지 않고, 핵앤슬래시 장르의 가능성을 확장하려는 개발사의 의도가 반영된 작품이기도 하다.
게임 속 배경은 전작의 사건 이후 약 20년이 지난 시점이다. 게이머는 자신의 캐릭터를 선택해 게임을 진행하게 된다. 이 게임의 가장 큰 매력은 무한한 커스터마이징 가능성인데, 특히 패시브 스킬 트리가 전작보다 더욱 확장되었다. 참고로 한국 시장에서는 12월 7일에 얼리 액세스가 시작되었으니, 아직 한 달이 채 되지 않은, 그야말로 따끈따끈한 신작이다.
# 개발사는 어떠한 환경 권장하나?
OS : Windows 10 이상
1. 최소 환경
프로세서: 4코어 2.8GHz x64 호환
RAM: 8GB
그래픽 카드: NVIDIA GeForce GTX 960 또는 ATI Radeon RX 470
VRAM: 2GB 또는 4GB
API: DirectX 11
저장 공간: 100GB 사용 가능 공간
추가 사항: SSD 권장
2. 권장 환경
프로세서: 8코어 3.6GHz x64 호환
RAM: 16GB
그래픽 카드: NVIDIA GeForce RTX 2060 또는 ATI Radeon RX 5600 XT
VRAM: 6GB
API: DirectX 11
저장 공간: 100GB 사용 가능 공간
추가 사항: SSD 권장
패스 오브 엑자일 2를 실행하려면 Windows 10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컴퓨터가 필요하다. 게임을 실행하려면 4코어 2.8GHz 이상의 속도를 가진 프로세서와 8GB 이상의 RAM이 요구된다. 그래픽 처리를 위해 NVIDIA GTX 960이나 Radeon RX 470 같은 그래픽 카드를 사용해야 하며, 그래픽 카드의 메모리(VRAM)는 최소 2GB 이상이어야 한다. 게임 설치를 위해서는 최소 100GB의 저장 공간을 확보해야 하며, 빠른 로딩 속도를 위해 SSD를 사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더 쾌적한 환경에서 게임을 즐기고 싶다면, 8코어 3.6GHz 이상의 속도를 가진 프로세서와 16GB RAM을 사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그래픽 카드는 NVIDIA RTX 2060이나 Radeon RX 5600 XT 수준의 고성능 모델을 선택해야 하며, 이 경우 VRAM은 6GB 이상이 필요하다. 저장 공간은 여전히 100GB 이상을 요구하며, SSD를 사용하면 게임 실행 속도와 로딩 시간이 크게 단축된다.
즉, 최소 사양으로도 게임은 실행 가능하지만 권장 사양을 충족하면 더 부드럽고 고품질의 그래픽을 경험할 수 있다. 특히 SSD는 게임 실행 속도에 큰 차이를 만든다. 다만, 권장 사양에 맞춘 PC를 조립하려면 중고 거래 플랫폼인 '당근마켓'에서 매물을 찾아야 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현 시점에서 시중에 판매 중인 부품으로 조립 가능한 솔루션을 통해 게임을 즐길 경우 어느 정도의 성능을 체감할 수 있는지 테스트를 진행했다.
# 24년 12월 기준 추천 구동 PC
패스 오브 엑자일 2를 쾌적하게 즐기기 위해서는 게임 요구 사양에 맞춰 적합한 PC를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게임의 특성상 많은 적과 스킬 효과가 한 화면에 몰릴 때 프레임 드랍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적정 수준 이상의 하드웨어를 선택해야 한다. 아래는 예산과 성능을 고려해 설정한 시피유와 그래픽카드 선택 가이드다.
1. 프로세서(CPU)
패스 오브 엑자일 2는 다수의 몬스터와 화려한 스킬 효과를 처리하기 위해 강력한 CPU 성능이 필요하다. 그 점에서 AMD Ryzen 5 9600X와 Ryzen 7 9700X는 게임을 즐기기에 적합한 선택지이자, 고해상도에서 부드러운 플레이를 원한다면 Ryzen 7 9700X 쪽이 좀 더 적합하다.
1-1. AMD Ryzen 5 9600X
6코어 12스레드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3.8GHz의 기본 클럭과 최대 4.8GHz의 부스트 클럭을 제공한다. L3 캐시 용량은 32MB로, 데이터 접근 속도를 향상시키는 데 유리하다. 또한, DDR5 메모리와 PCIe 5.0을 지원해 최신 시스템 환경에서도 높은 호환성을 제공한다. 전력 소모는 65W TDP로 효율적이며, FHD 해상도에서 패스 오브 엑자일 2를 원활하게 실행할 수 있는 성능을 발휘한다. 특히 예산을 절약하면서도 안정적인 성능을 원하는 사용자에게 적합한 선택이다.
1-2. AMD Ryzen 7 9700X
8코어 16스레드 구성으로 멀티태스킹과 복잡한 작업 처리 능력이 뛰어나다. 이 프로세서는 4.0GHz의 기본 클럭과 최대 5.2GHz의 부스트 클럭을 제공하며, L3 캐시 64MB를 통해 더 많은 데이터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Ryzen 5 9600X와 동일하게 DDR5 메모리와 PCIe 5.0을 지원해 최신 시스템 환경에서도 높은 호환성을 유지한다. 더 많은 코어와 높은 클럭 속도로 인해 QHD 이상의 해상도에서도 안정적인 프레임을 제공하며, 고사양 게임에서도 뛰어난 성능을 발휘한다. TDP는 105W로 다소 높은 전력을 소모하지만, 고성능이 요구되는 게임 환경에서 충분한 가치를 제공한다.
** AMD Ryzen 7 9700X의 기본 TDP는 65W이지만, AGESA PI 1.2.0.2 펌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105W 모드를 공식 지원한다. BIOS 설정을 통해 TDP를 105W로 변경하면, 멀티스레드 작업에서 약 10%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기본은 65W TDP 이지만, 필요에 따라 105W 모드로 성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2. 그래픽 카드(GPU)
2-1. Radeon RX 7600
RDNA 3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설계되었으며, 2048개의 스트림 프로세서와 8GB의 GDDR6 VRAM을 제공한다. 클럭 속도는 최대 2655MHz에 도달하며, 128-bit 메모리 인터페이스와 288GB/s의 대역폭을 갖추고 있다. FHD 해상도(1920x1080)에서 그래픽 옵션을 중간 또는 높음으로 설정해도 60fps 이상의 안정적인 프레임을 유지할 수 있다. 전력 소모가 낮아 효율적이며, 예산을 중요하게 고려하는 사용자에게 적합한 선택이다. 다만, QHD 이상의 해상도에서는 프레임 드랍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어 고해상도 환경에서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2-2. Radeon RX 7700 XT
같은 RDNA 3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설계되었지만, 더 강력한 성능을 제공한다. 3456개의 스트림 프로세서와 12GB의 GDDR6 VRAM을 탑재하고 있으며, 클럭 속도는 최대 2544MHz에 달한다. 메모리 인터페이스는 192-bit로 확장되었고, 대역폭은 432GB/s에 이른다. 이러한 사양 덕분에 QHD 해상도(2560x1440)에서도 그래픽 옵션을 높게 설정하고 안정적으로 60fps 이상의 프레임을 유지할 수 있다. 특히, 고해상도 환경에서 복잡한 텍스처와 스킬 효과를 원활히 처리하며, 전투가 복잡한 상황에서도 부드러운 그래픽 경험을 제공한다. 또한, 장기적으로 높은 성능을 요구하는 게임에서도 안정적인 퍼포먼스를 보장한다.
◆ 권장 시스템 -1
① CPU - Ryzen 7 9700X
② M/B - ASRock X870 스틸레전드 WiFi 대원씨티에스
③ RAM - 마이크론 Crucial DDR5-6000 CL36 PRO Overclocking White 패키지 대원씨티에스
④ SSD - 마이크론 크루셜 P310 Gen4 NVMe SSD 대원씨티에스
⑤ VGA - AMD Radeon RX 7700 XT (ASRock 라데온 RX 7700 XT 스틸레전드 OC D6 12GB)
⑥ 쿨러 - 앱코 P360 포세이돈 ARGB 수냉 쿨러 화이트
⑦ 파워 - 맥스엘리트 MAXWELL DUO 700W 80PLUS브론즈 PCIE5 플랫 화이트
⑧ OS - Windows 11 Pro 23H2
기본 RX 7600 기반 QHD 해상도에서는 평균 58fps를 기록하며, FHD에서는 80fps로 비교적 안정적인 성능을 제공한다. → QHD에서 부드럽지 않은 장면이 있을 수 있지만, FHD에서는 충분히 플레이 가능한 수준이다.
AMD의 FSR 기술을 적용한 결과, QHD에서는 75fps, FHD에서는 103fps로 약 30%의 성능 향상이 확인된다.→ FSR은 해상도를 업스케일링해 성능을 개선하며, 시각적 품질을 크게 떨어뜨리지 않는다.
FSR + AFMF2 두 기술을 모두 적용한 결과, QHD에서는 139fps, FHD에서는 171fps로 성능이 크게 향상되었다. → 특히 AFMF2 기술은 추가 프레임을 생성해 GPU 성능을 극대화하며, 높은 프레임을 요구하는 환경에서도 매우 부드러운 플레이 경험을 제공한다.
◆ 권장 시스템 -2
① CPU - AMD Ryzen 5 9600X
② M/B - ASRock X870 스틸레전드 WiFi 대원씨티에스
③ RAM - 마이크론 Crucial DDR5-6000 CL36 PRO Overclocking White 패키지 대원씨티에스
④ SSD - 마이크론 크루셜 P310 Gen4 NVMe SSD 대원씨티에스
⑤ VGA - AMD Radeon RX 7600 (ASRock 라데온 RX 7600 스틸레전드 OC D6 8GB)
⑥ 쿨러 - 앱코 P360 포세이돈 ARGB 수냉 쿨러 화이트
⑦ 파워 - 마이크로닉스 Classic II 풀체인지 600W 80PLUS브론즈 ATX3.1 화이트
⑧ OS - Windows 11 Pro 23H2
기본 RX 7700 XT 기반 QHD 해상도에서 평균 95fps를 기록하며, FHD에서는 120fps로 매우 안정적인 성능을 제공한다. → 기본적으로 QHD에서도 대부분의 장면에서 부드러운 플레이가 가능하다.
FSR 기술 적용 후, QHD는 118fps, FHD는 145fps로 약 20% 이상의 성능 향상이 확인된다. → FSR은 고해상도 환경에서 프레임 증가를 통해 더 부드러운 화면을 제공한다.
FSR + AFMF2 두 기술을 모두 적용한 경우, QHD에서 202fps, FHD에서 257fps로 엄청난 성능 향상이 이루어졌다. → AFMF2는 프레임 생성 기술로, 초고속 화면 전환과 복잡한 장면에서도 매우 안정적인 프레임을 보장하며, 특히 고주사율 모니터를 활용할 경우 큰 이점을 제공한다.
** 편집자 주
패스 오브 엑자일 2(POE2) 테스트 결과를 종합하면,
Ryzen 5 9600X와 RX 7600 조합은 FHD 해상도에서 안정적인 성능을 제공하며, FSR과 AFMF2 기술을 적용했을 때 QHD에서도 플레이 가능한 수준으로 성능이 대폭 향상되었다. 특히, FSR(FidelityFX Super Resolution) + AFMF2(Fluid Motion Frames)를 활용했을 때 최대 139fps(QHD), 171fps(FHD)를 기록하며, 가성비를 중시하는 사용자에게 적합한 선택임을 보여주었다.
Ryzen 7 9700X와 RX 7700 XT 조합은 QHD 해상도에서도 기본적으로 95fps 이상의 안정적인 프레임을 제공했으며, FSR(FidelityFX Super Resolution)과 AFMF2(Fluid Motion Frames) 기술을 활용하면 최대 202fps(QHD), 257fps(FHD)로 초고해상도 환경에서도 뛰어난 성능을 발휘했다. 고해상도와 고품질 그래픽 설정을 선호하는 사용자에게 적합하다.
결론적으로, 패스 오브 엑자일 2를 쾌적하게 즐기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예산과 해상도 선호도에 맞춘 하드웨어 선택이 중요하다. FHD 해상도에서는 RX 7600과 Ryzen 5 9600X 조합이 충분히 적합하며, QHD 이상의 고해상도 환경에서는 RX 7700 XT와 Ryzen 7 9700X 조합이 이상적이다. 여기에 FSR과 AFMF2 기술을 적극 활용하면 하드웨어 한계를 극복하며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By 김현동 에디터 Hyundong.kim@weeklypost.kr
〈저작권자ⓒ 위클리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 학습 포함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