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기자 수첩] "이게 무슨 일" 제한 속도 27km/h 초과 벌금 1억 5000만원

2025.08.13. 12:07:32
조회 수
195
3
댓글 수
1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스위스 로잔에서 제한 속도를 초과한 운전자에게 억 대의 벌금이 부과됐다. 스위스는 재산에 비례해 벌금액을 다르게 부과하는 '소득 연동형 벌금제'를 적용하고 있다. (출처:오토헤럴드 DB) 스위스 로잔에서 제한 속도를 초과한 운전자에게 억 대의 벌금이 부과됐다. 스위스는 재산에 비례해 벌금액을 다르게 부과하는 '소득 연동형 벌금제'를 적용하고 있다. (출처:오토헤럴드 DB)

[오토헤럴드 김흥식 기자] 단순 과속으로 적발된 운전자가 억 대의 벌금을 부과 받았다면 믿을 수 있을까? 그러나 최근 스위스 로잔에서는 시속 50km 제한 도로에서 77km로 주행한 운전자에게 최대 9만 스위스프랑, 우리 돈 약 1억 5000만 원에 달하는 벌금이 부과됐다.

우리나라에서 시속 20km 초과 과속의 벌금이 승용차 기준 약 7만 원 수준인 점을 고려하면 상상하기 어려운 액수다. 이런 ‘벌금 폭탄’이 가능했던 이유는 스위스의 독특한 벌금 산정 방식 때문이다.

스위스 바우드 주(州) 형법은 과속을 경범죄로 분류하면서도 위반 정도뿐 아니라 위반자의 소득, 재산, 생활 수준, 가족 부양 상황 등 경제적 여건을 종합 반영한다. 재산이 많을수록 벌금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경제적으로 어려운 경우 벌금 대신 단기 구금형이 가능하다.

운전자에게 거액의 벌금이 부과된 것도 그가 스위스 경제주간지 빌랑(Bilan)이 선정한 ‘스위스 300대 부호’에 포함된 억만장자였기 때문에 가능했다. 

스위스의 ‘소득 연동형 벌금제’는 2007년 국민투표로 형법이 개정되며 본격 도입됐다. 이전에는 부유층이 소액의 벌금으로 가벼운 처벌을 받는 경우가 많았지만 개정 이후 음주운전, 과속 등 중대한 도로교통법 위반 시 재산 규모에 따라 수천만 원에서 수억 원대까지 부과가 가능해졌다.

독일, 프랑스, 오스트리아, 핀란드, 스웨덴 등도 유사한 제도를 시행한다. 핀란드에서는 2002년 한 기업 임원이 시속 80km 제한 구간에서 25km를 초과해 약 12만 유로(당시 약 1억 9000만 원)의 벌금을 부과받은 사례가 있다.

스위스 역사상 최고액 과속 벌금은 2010년 장크트갈렌 주에서 나왔다. 한 백만장자가 페라리를 몰고 제한속도를 크게 초과하다 적발돼 약 29만 달러(한화 약 4억 원)의 벌금을 부과받은 적도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재산비례 벌금제’ 논의가 없었던 것은 아니다. 이재명 대통령은 경기도지사 시절, 세금·연금·보험은 소득과 재산에 따라 차등 부과되지만 벌금형은 총액벌금제로 개인 형편과 무관하게 동일하게 부과된다며 개선 필요성을 제기했다.

같은 죄라도 부자는 벌금 부담이 미미해 형벌 효과가 떨어지고 가난한 사람은 상대적으로 더 큰 타격을 받는다는 점에서 제도 도입 논의의 명분이 충분했지만 본격적으로 추진되지 않았다.

소득 연동형 벌금제는 형벌의 실효성과 형평성을 동시에 노릴 수 있는 제도지만, 사회적 합의와 정교한 설계가 전제돼야 국내에서도 도입이 가능하다. 도로에서 발생하는 법규 위반 행위 가운데 가장 치명적인 사고로 이어지는 것이 과속이다.

슈퍼카와 폭주족, 부를 과시하는 행위로도 지탄을 받는 과속 등 중대 법규 행위에 대해서는 우리나라에서도 선별적으로 재산비례 벌금제를 우선 도입하는 방안도 검토해야 할 때다.


김흥식 기자/reporter@autoherald.co.kr


ⓒ 오토헤럴드(http://www.autoherald.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최신 기획뉴스 전체 둘러보기
3/1
[김흥식 칼럼] 러시아 자동차 산업의 붕괴... 올해 중국산 점유율 90% 오토헤럴드
테슬라의 제작 결함? 파나소닉 잘못이 아닐 수도 있다? 동영상 있음 오토기어
현대 ICCU가 더 문제냐? 테슬라 BMA_a079가 더 문제냐? 동영상 있음 오토기어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팔 곳에서 직접 생산, 현지화로 무역 장벽 해소" (1) 오토헤럴드
‘No Drivers, No Cupra’… 쿠프라 틴다야 콘셉트, 뮌헨서 첫 공개 오토헤럴드
[넥스트 모빌리티] 소똥, 귀해질 것... 골칫거리 가축 분뇨, 항공유로 변신 오토헤럴드
전기차 불안감을 조성하는 한국전기자동차협회 동영상 있음 오토기어
"치명적인 BMS_A079 결함" 테슬라의 황당한 대처 동영상 있음 오토기어
BMW 모토라드 '2026 GS 트로피' 루마니아 확정... 9월 국내 대표 선발전 오토헤럴드
투싼 풀체인지 충격적인 변화 예고! 동영상 있음 오토기어
국산차의 역사를 바꿔 놓은 차! 놀랍게도 우리나라만 잘 모름! 동영상 있음 오토기어
중국 전기차 굴기가 전세계 시장을 망하게 하는 이유 (1) 동영상 있음 오토기어
제네시스가 선정한 10대 아이코닉 콘셉트카... 브랜드 출범 10년의 여정 오토헤럴드
제네시스 마그마 레이싱 'GMR-001 하이퍼카' 최종 테스트 단계 돌입 오토헤럴드
“심장이 뛴다” 오펠 GSE 콘셉트, 랠리 감성 담은 괴물 순수 전기차 예고 오토헤럴드
[기자 수첩] PHEV, 유럽은 달리고 한국은 뒷걸음질…수입차만 웃는다 오토헤럴드
월 평균 392대 팔린 아토3 "도로에서 도통 안 보이는 이유는?" (1) 동영상 있음 오토기어
[월간자동차] 25년 7월, 신차 판매량 상승세 유지…기아 쏘렌토 2개월 연속 판매 1위 (1) IT동아
[공수전환] BMW i5 Vs 아우디 A6 e-트론 "올 하반기 최강 전기 세단은?" (2) 오토헤럴드
[기자 수첩] "이게 무슨 일" 제한 속도 27km/h 초과 벌금 1억 5000만원 (1) 오토헤럴드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