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PHEV 수요는 월 평균 1000대 이상이다. 하지만 구매할 수 있는 국산 모델이 없어 수입차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출처:오토헤럴드 DB)
[오토헤럴드 김흥식 기자] 우리와 다르게 유럽에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카(PHEV)는 하이브리드카와 함께 인기를 끌고 있는 대표적 차종이다. 올해 상반기 기준 유럽 전역의 PHEV 신차 등록 비중은 약 8%로 전년 동기 대비 1%포인트 상승했다.
특히 6월에는 전년 동월 대비 40% 증가한 약 12만 대나 팔려 급상승한 인기를 실감 나게 했다. 유럽의 PHEV 상반기 누적 판매 대수는 전년 대비 24% 증가한 약 60만 대에 육박했을 정도다. 국내 인기가 높지 않다고 했지만 수입차로 보면 시장 상황이 다르다.
올해 1월부터 7월까지 수입 PHEV 누적 판매 대수는 8465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무려 97.8% 증가했다. PHEV에 대한 시장의 관심이 높아진 반면, 국산 브랜드 가운데 살 수 있는 모델이 전무해 수입차로 수요가 몰린 탓이다.
유럽은 환경 규제와 저공해차 우대 정책으로 PHEV 보급을 장려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구매 단계의 세제 지원과 유지 단계의 각종 혜택을 제공하지만 살 수 있는 국산차가 없어 과거 중국산 전기차의 전례와 같이 수입차에만 국민 세금이 쏠리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중국 자동차가 유럽에서 빠르게 성장한 배경에도 PHEV가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완전 전기차 이상으로 중국산 PHEV는 세계 최고 수준의 상품성을 갖추고 있다. 현대차가 팔던 모델까지 국내 시장에서 단종 시키며 PHEV를 소홀하게 하면 중국산 모델이 국민 세금의 정부 지원을 받으며 시장을 잠식하는 걸 지켜봐야 할지도 모른다.
PHEV는 배터리 완충 시 약 40~80km의 전기 주행이 가능해 도심 출퇴근을 위한 단거리 주행에서는 무공해로 운행할 수 있고 장거리에서는 내연기관으로 주행 거리를 보장하는 장점을 갖고 있는 매력적인 차다. 배터리를 자주 충전하면 내연기관 평균 연비가 25% 이상 개선되는 효과도 있다.
월 1000대 이상 팔리고 있는 PHEV 시장을 수입차가 잠식하며 안방을 내주고 있는 상황을 현대차가 왜 지켜만 보고 있는지 이해가 되지 않는다.
김흥식 기자/reporter@autoherald.co.kr
ⓒ 오토헤럴드(http://www.autoherald.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