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김흥식 칼럼] 러시아 자동차 산업의 붕괴... 올해 중국산 점유율 90%

2025.08.25. 13:47:48
조회 수
107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러시아 최대 완성차 아부토바즈 톨리아티 공장 조립 라인. 러시아는 연간 300만 대의 생산 능력을 갖추고 있지만 현재 60만 대 수준에 그치고 있다. (출처:아부토바즈) 러시아 최대 완성차 아부토바즈 톨리아티 공장 조립 라인. 러시아는 연간 300만 대의 생산 능력을 갖추고 있지만 현재 60만 대 수준에 그치고 있다. (출처:아부토바즈)

[오토헤럴드 김흥식 기자] 러시아 자동차 산업이 무너지고 있다. 생산과 판매는 추락하고 그 틈을 파고든 중국차가 시장을 잠식했다. 재고가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연체율이 치솟으면서 산업 전반이 구조적 붕괴의 길로 들어섰다는 진단이 나오고 있다.

전쟁 전 러시아는 유럽 최대 단일 시장 중 하나로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의 전략적 거점이었다. 현대차·기아, 르노, 폭스바겐, 도요타, 포드, GM, 스텔란티스, 벤츠, BMW 등 대부분의 글로벌 완성차 브랜드가 현지 생산기지를 운영했을 정도다.

이들이 러시아를 내수와 CIS(독립국가연합) 수출 허브로 활용하며 연간 170만 대 안팎의 시장을 떠받쳤지만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국제 사회의 제재로 대부분 철수하거나 공장 가동을 중단했다. 여기에 내연기관 편중, 낮은 국산화율, 외국 기술 의존이라는 구조적 한계가 겹치면서 급격한 몰락으로 이어졌다.

2023년과 2024년 기저 효과로 반짝 반등한 러시아 신차 수요는 2025년 판매, 생산, 금융 전방위에서 균열이 드러났다. 7월 신차 판매는 전년 대비 13% 감소한 12만 대 수준에 그쳤고 1~7월 누적 판매는 24% 급락했다. 연간 판매 전망은 125만 대 수준에 불과하다. 300만 대의 생산 능력을 갖춘 공장에서 실제로는 60만 대밖에 만들지 못하는 현실이 러시아 자동차 산업의 추락을 상징한다.

금융은 더 큰 문제다. 오토론 발급은 절반 가까이 줄었고 연체 잔액은 85% 폭증했다. 신용 의존도가 높은 신차 시장에서 금융 기반이 무너지자 전체 수요가 빠르게 줄었다. 딜러 창고에는 50만 대 가까운 미판매 차량이 쌓여 있고 카마즈와 GAZ는 주 4일 근무로 전환했으며 러시아 최대 업체 아브토바즈도 같은 방안을 검토 중이다.

러시아 산업의 취약한 틈새를 노린 중국 브랜드의 공세는 더욱 거세다. 2024년 신차 판매의 60%를 차지한 중국 업체들의 러시아 시장 점유율이 올해 말 90%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중국 업체들은 그러나 현지 투자보다는 완성차 수입과 단순 조립에 머물러 있다. 저부가가치 구조만 남은 러시아 자동차 산업은 이미 중국에 종속됐다는 진단마저 나왔다. 

정부의 정책은 오히려 불을 지폈다. 국산화를 유도한다며 재활용료를 대폭 인상했지만, 중국차 사재기 수입을 촉발해 재고와 덤핑 판매를 불러왔다. 그 결과 아브토바즈 같은 토종 업체들은 생산을 줄이고 긴급 지원을 요청하는 신세가 됐다. 소비자들은 신차 대신 중고차와 노후차로 몰리고 있으며 승용차 평균 연령은 15.5년으로 치솟았다. 

전문가들이 지적하는 러시아 자동차 산업의 몰락 요인은 네 가지다. 첫째, 금융 의존 수요의 붕괴, 둘째, 중국 의존적 공급망, 셋째, 정책 실패에 따른 시장 왜곡, 넷째, 급속한 품질 후퇴다. 글로벌 자동차 산업이 전동화·지능화로 하루가 다르게 진화하고 있어 러시아의 자동차 산업은 회복하기 어려운 고립과 후퇴의 길로 접어들었다고 봐야 한다.

러시아 사례는 기술 자립이 없고 특정국에 지나치게 의존하며 정책까지 실패할 경우 산업 기반이 순식간에 무너질 수 있다는 경고다. 물론 러시아의 몰락에는 전쟁과 제재라는 특수한 배경이 있지만, 내수 침체와 통상 리스크에 직면한 우리 자동차 산업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핵심 기술 내재화, 공급망 다변화, 정책 정합성을 확보하지 못한다면 우리 역시 경쟁력을 잃을 수 있다는 점을 배워야 한다.


김흥식 기자/reporter@autoherald.co.kr


ⓒ 오토헤럴드(http://www.autoherald.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최신 기획뉴스 전체 둘러보기
2/1
슈퍼레이스 6라운드, 3년 만에 인제 주간 경기...7개 클래스 치열한 경쟁 오토헤럴드
로터스, F1 우승 기념 모델부터 하이브리드까지 역사 속 특별 에디션 10선 오토헤럴드
한국타이어, 2025 WRC ‘파라과이 랠리’ 후원... 레이싱용 독점 공급 오토헤럴드
[넥스트 모빌리티] 높이 높이 날아라... 공중 풍력 발전용 거대 비행선 (1) 오토헤럴드
신차 구입 예정인 분들 "플레오스 모델을 꼭 사야 하는 이유" 동영상 있음 오토기어
현대차·기아, 미국 친환경차 누적 판매 150만 대 돌파... 14년 만에 달성 오토헤럴드
볼보 신형 S90 '세상을 압도하는 절제의 기품' 오너든 쇼퍼든 선택은 하나 오토헤럴드
[김흥식 칼럼] 러시아 자동차 산업의 붕괴... 올해 중국산 점유율 90% 오토헤럴드
테슬라의 제작 결함? 파나소닉 잘못이 아닐 수도 있다? 동영상 있음 오토기어
현대 ICCU가 더 문제냐? 테슬라 BMA_a079가 더 문제냐? 동영상 있음 오토기어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팔 곳에서 직접 생산, 현지화로 무역 장벽 해소" (1) 오토헤럴드
‘No Drivers, No Cupra’… 쿠프라 틴다야 콘셉트, 뮌헨서 첫 공개 오토헤럴드
[넥스트 모빌리티] 소똥, 귀해질 것... 골칫거리 가축 분뇨, 항공유로 변신 오토헤럴드
전기차 불안감을 조성하는 한국전기자동차협회 동영상 있음 오토기어
"치명적인 BMS_A079 결함" 테슬라의 황당한 대처 동영상 있음 오토기어
BMW 모토라드 '2026 GS 트로피' 루마니아 확정... 9월 국내 대표 선발전 오토헤럴드
투싼 풀체인지 충격적인 변화 예고! 동영상 있음 오토기어
국산차의 역사를 바꿔 놓은 차! 놀랍게도 우리나라만 잘 모름! 동영상 있음 오토기어
중국 전기차 굴기가 전세계 시장을 망하게 하는 이유 (1) 동영상 있음 오토기어
제네시스가 선정한 10대 아이코닉 콘셉트카... 브랜드 출범 10년의 여정 오토헤럴드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