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프린터는 직접 연결된 PC가 아니면 쓸 일이 없었다. 그러나 요즘은 달라졌다. 한 가정에 두 대 이상의 PC를 쓰는 경우가 많아졌고, 노트북, 태블릿에서도 인쇄 필요성이 높아지기 시작했다. 하지만 가정에서 쓰는 대부분의 프린터는 USB로 연결된 PC가 아니면 바로 인쇄를 할 수 없다. 노트북에서 인쇄할 문서를 e-mail로 보내 프린터가 설치된 PC에서 내려 받아 인쇄해야 하는 번거로운 과정을 거쳐야 한다. 아니면 MS 윈도우에서 제공되는 공유 기능을 이용할 수 있지만 연결된 PC를 켜 놔야 하고, 인쇄도 제한적이다.
![]() |
||
▲ 윈도우에서 제공하는 프린터 공유 기능을 이용할 수 있지만 프린터가 연결된 PC는 켜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
때문에 요즘은 네트워크 기능이 추가된 프린터가 다수 나오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일반 프린터에 비해 다소 비싸 사무실이 아닌 한달에 한두 번 뽑고 마는 일반 가정에서는 선뜻 구입하기가 꺼려진다. 게다가 ‘네트워크’ 기능 하나만 보고 잘 쓰고 있는 멀쩡한 기존 프린터를 놔두고 프린터를 새로 구입할 수는 없는 일. 하지만 일부 유무선 인터넷 공유기가 제공하는 ‘프린터 서버’ 기능을 이용하면 네트워크를 지원하지 않는 구형 프린터도 자유롭게 인쇄가 가능하다. 또한 유무선 인터넷 공유기의 와이파이를 이용하면 무선으로도 인쇄를 할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이다.
USB포트가 달린 공유기가 있으면 끝
인터넷 공유기를 이용, 일반 프린터를 네트워크 프린터로 만들기 위해서는 우선 인터넷 공유기 뒤쪽에 USB포트가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여기에 USB케이블로 프린터와 연결하면 공유기는 이를 인식, 프린터 서버로 동작하게 된다. 원래 USB포트는 USB저장장치를 연결해 FTP, 윈도우 파일 공유, 미디어 서버 등의 기능이 주목적이지만 공유기 제조업체는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프린터 서버 기능을 추가하고 있다. 다만 몇몇 제품은 하드웨어 제약으로 인해 USB포트는 있지만 프린터 서버 기능이 없는 경우도 있다.
![]() |
||
▲ ipTIME A1004ns의 후면부. USB포트에는 USB드라이브 등을 연결해 간이형 NAS로 활용할 수 있지만 프린터를 연결하면 '프린터 서버'로도 동작한다. |
현재 USB포트를 적극 활용하고 있는 제품은 ipTIME 시리즈이다. 최근에 출시된 ipTIME A1004ns를 비롯해 모델명에 ‘ns’ 이름이 붙은 일부 제품이 프린터 서버를 지원하고 있다. (ipTIME 지원 기종은 아래 리스트 참조)
ipTIME A1004NS
ipTIME A2004NS-R
ipTIME A3004NS-dual
ipTIME A5004NS
ipTIME A6004NS
기존 프린터를 네트워크 프린터로 바꾸는 방법은 간단하다. ipTIME 제품군으로 예를 들어보자. 우선 공유기 뒤쪽 USB포트에 프린터를 연결한다. (본 예제에 사용된 프린터는 유선네트워크 기능이 탑재된 제품이지만 ipTIME 인터넷 공유기에 USB로 연결해 네트워크 프린터로도 쓸 수 있음을 보여주기 위해 유선네트워크 기능은 끈 채 진행했다)
인터넷 공유기 설정 화면으로 들어가 ‘USB저장장치’에 프린터가 인식되었는지 확인한다.
![]() |
||
▲ USB포트에 프린터가 연결되면 그림과 같이 공유기는 프린터임을 인식한다. |
좌측 메뉴 중 ‘기본 내장 APP 관리’ 하위 메뉴의 ‘서비스 설정’을 선택한다. 그리고 우측 화면에서 ‘네트워크 프린터 서버’를 선택한 후 서비스를 ‘실행’ 상태로 바꿔준 후 하단 ‘적용’ 버튼을 누른다. 이것으로 공유기를 프린터 서버로 설정하는 과정은 끝난다.
![]() |
||
▲ 좌측 메뉴 중 '기본 내장 App관리'를 선택한다. |
![]() |
||
▲ 네트워크 프린터 서버 항목을 선택한 후 서비스를 실행 상태로 전환한다. |
ipTIME, 전용 프로그램 제공으로 설치 편의성 더해
이제는 프린터가 연결되어 있지 않은 다른 데스크톱PC나 노트북에서 네트워크 프린터로 설정하기만 하면 된다. PC 및 윈도우를 잘 다룰 줄 안다면 사용자가 제어판의 ‘프린터 추가’ 항목을 통해 바로 추가할 수 있다. ‘네트워크, 무선, Bluetooth 프린터 추가’를 실행시킨 후 공유기 설정 화면에 나온 프린터 연결 주소를 입력하면 프린터를 찾아 아래 그림과 같이 보여준다. 그리고 해당 프린터 드라이버를 설치해주기만 하면 프린터가 정상 설치된다.
![]() |
||
▲ 공유기에 표시된 프린터 주소를 입력하면 된다. |
![]() |
||
▲ 드라이버까지 설치되면 그림과 같이 프린터가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이처럼 사용자가 수동으로 프린터를 추가해도 되지만 ipTIME은 초보자도 쉽게 네트워크 프린터를 이용할 수 있도록 전용 설치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좌측 메뉴 중 ‘기본 내장 APP 관리’ 하위 메뉴의 ‘서비스 설정’에 들어가면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 프린터 서버’ 항목이 있으며, 이를 선택하면 바로 밑에 관련 프로그램 다운로드 링크가 나타난다. 이를 클릭 후 PC에 설치하면 된다.
![]() |
||
![]() |
||
이처럼 일반 프린터도 네트워크 프린터로 쉽게 바꿔 쓸 수 있는 인터넷 공유기의 프린터 서버 기능은 큰 돈을 들이지 않고도 인쇄 편의성을 높여줘 합리적이며, 경제적이다. 프린터를 바꿀 필요 없이 인터넷 공유기 하나만으로 가정은 물론이고, 소규모 사무실에서 네트워크 프린터를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편리하다.
다만 USB포트는 고급형 인터넷 공유기에서 제공되는 경우가 많아 공유기 가격이 만만치 않다는 것이 단점이다. 그러나 이에프엠네트웍스가 최근 출시한 ipTIME A1004ns는 간이형 NAS는 물론이고 프린터 서버까지 갖췄음에도 3만원대에 가격이 형성되어 있어 부담이 없다. 기가비트 유선 네트워크를 지원해 기가인터넷 환경에 대응되며, 802.11ac 기반 5GHz 대역까지 쓸 수 있는 듀얼밴드를 제공한다. 5GHz 최대 링크속도 433Mbps와 2.4GHz 최대 링크속도 300Mbps를 동시에 지원하는 AC750급 성능을 갖고 있기 때문에 답답함 없이 인터넷을 즐길 수 있다.
![]() |
||
▲ ipTIME A1004ns |
ⓒ 뉴스탭(http://www.newstap.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