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스마트폰 해킹은 어떻게 이뤄질까?

2020.01.22. 19:00:23
조회 수
1,435
2
댓글 수
2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최근 한 유명 연예인의 부적절한 사생활 대화 내용이 인터넷을 통해 퍼지며 논란이 일고 있다. 해당 연예인은 해킹을 통해 문자 메시지와 사진이 유출됐고, 해커가 이를 빌미로 금품을 요구하는 등 협박했다고 밝혔다.

이처럼 스마트폰에 저장한 주소록은 물론, 사진이나 메시지 등 개인의 사생활이 유출되는 사례는 오늘날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개인의 실수나 지인의 악의적인 유포도 많지만, 해킹 역시 대표적인 유출 사례 중 하나다.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스마트폰에는 사생활이나 개인 정보, 금융 정보 등 생활에 밀접한 정보가 가득한 만큼, 스마트폰이 해킹 당하면 생각보다 심각한 피해를 일으킬 수 있다.

스마트폰은 생활에 밀접한 정보를 다루는 기기인 만큼 보안 사고로 인한 피해 역시 크다

스마트폰 해킹 사례는 다양하며, 몇 년간 흔히 쓰인 방법은 외부 경로를 통해 개인의 스마트폰에 악성 앱을 설치하는 것이다. 이를 악용한 대표적인 사례가 '몸캠피싱'이다. 해커가 모바일 채팅 앱이나 사이트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접근하고, 음란한 채팅을 할 것처럼 유도한다. 이 때 해커는 소리나 영상이 불안정하다는 등의 핑계를 대며 사용자에게 별도의 앱을 설치할 것을 요구한다. 이를 설치하게 되면 앱을 통해 사용자 스마트폰에 저장된 주소록 등의 정보가 해커에게 전송되며, 해커는 돈을 보내지 않으면 이를 통해 확보한 연락처로 사용자가 음란한 행위를 했다는 사실을 알리겠다며 협박한다.

이처럼 외부 악성 앱을 설치하도록 유도하는 방식 역시 다양하다. 가령 웹 페이지를 통해 유료 앱을 무료로 다운받을 수 있다고 속여 악성 코드가 들어있는 가짜 앱을 설치하도록 유도하는 방법도 있고, 택배 주소 확인을 위해 사이트에 접속해 앱을 내려받거나 개인정보를 입력하라고 유도하는 방식도 있다.

개인정보 입력을 요구하는 피싱 사이트

이렇게 설치된 악성 앱은 앞서 언급한 것처럼 주소록이나 각종 계정 정보를 탈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위치정보나 카메라 같은 하드웨어 기능을 원격에서 실행해 민감한 정보를 취득할 수도 있다. 이러한 형태의 해킹을 예방하기 위해 스마트본 단에서 '출처를 알 수 업는 앱 설치'를 제한하는 기능이나 설치된 앱이 요구하는 접근 권한(주소록, 카메라, 위치정보, 저장소 등)을 사용자가 직접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이 있지만, 이를 제대로 활용하지 않을 경우 해킹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이 크다.

출처를 알 수 없는 앱과 과도한 권한 요구하는 앱 주의 해야

외부 앱을 사용자 임의로 설치할 수 있는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의 경우 구글 플레이, 원스토어, 갤럭시 스토어, LG 스마트월드 등 공식 앱 장터 외에서 제공하는 앱을 설치하지 않는 것이 가장 안전하다. 또, 혹시 모를 설치 가능성에 대비해 알 수 없는 앱 설치 허용 항목을 해제해야 한다. 최근 등장하는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이라면 설정 화면에 있는 검색 창에 '알 수 없는 앱'이라는 키워드를 입력해 항목을 쉽게 찾을 수 있으며, 구형 스마트폰의 경우 설정> 일반> 보안> 출처를 알 수 없는 앱 항목에서 이를 찾을 수 있다.

출처를 알 수 없는 앱을 설치하지 말아야 한다

정상적인 경로로 내려받은 앱이라 할지라도 과도한 권한을 요구한다면 주의할 필요가 있다. 안드로이드 6.0 이상의 운영체제는 앱을 설치할 때 사용자가 앱이 어떤 권한을 요구하는지 확인하고 이를 허용하거나 거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앱이라면 사진을 찍기 위해 전면/후면 카메라에 접근하는 권한을, 사진을 저장하기 위해 저장소에 접근하는 권한 등을 요구할 수 있으며, 만약 사용자가 동의하지 않는다면 카메라 앱은 이러한 기능을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반대로 카메라 앱의 경우 일반적으로 '주소록' 기능에 접근할 필요는 없다. 사진을 촬영하는 과정에서 주소록 정보가 필요한 경우는 거의 없기 때문이다. 때문에 앱 설치 시 단순히 '확인'이나 '동의' 버튼을 연속으로 누르지 말고, 어떤 권한을 요구하는지 확인해, 불필요한 권한을 요구할 경우 설치 시 주의해야 할 필요가 있다.

앱이 스마트폰 권한 요구 시 유심히 확인해야 한다

이러한 권한은 사용자가 사후에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설정> 일반> 앱 등의 항목으로 진입하면 각 앱에 어떤 권한이 허용돼 있는지 확인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이를 직접 변경할 수 있다. 일부 앱 중에는 권한을 해제하면 사용할 수 없는 앱도 있다. 이런 앱의 경우 해당 권한을 요구하는 것이 타당한지 파악한 뒤 권한을 주고, 자신에게 굳이 필요하지 않다면 앱을 사용하지 않는 것도 방법이다.

클라우드 저장소 계정 탈취에도 유의

최근 스마트폰에 저장된 각종 데이터를 클라우드 저장소에 보관하는 경우가 많으며, 구글 포토 처럼 사진을 자동으로 업로드 할 수 있는 기능 역시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클라우드 저장소에 스마트폰 자체를 백업해두고, 이를 이용해 스마트폰을 바꿨을 때도 이전과 동일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기능도 존재한다.

이러한 클라우드 저장소 계정과 암호가 노출될 경우 클라우드 저장소에 있는 모든 정보가 유출될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실제로 지난 2014년에는 아이클라우드 계정 해킹을 통해 헐리우드 유명 배우나 가수가 클라우드 저장소에 보관한 사생활 사진이 유출되면서 파장을 일으키기도 했다. 또한, 최근 발생한 국내 유명 연예인의 스마트폰(안드로이드) 해킹 사건 역시 이러한 형태의 보안 사고로 유출된 것으로 보인다.

계정 탈취에 쓰이는 방법 역시 다양하다. 가령 2014년에 있었던 유출 사건은 비밀번호를 무작위로 대입해 비밀번호를 찾아냈다. 또 다른 방법은 피싱 사이트를 이용하는 것이다. 마치 실제 사이트와 유사한 가짜 사이트를 제작하고, 사용자의 로그인을 유도하면 해커는 이를 통해 손쉽게 계정과 비밀번호를 얻을 수 있다. 실제로 지난 2017년에는 아이튠즈 스토어인 것처럼 꾸민 사이트를 통해 애플 계정과 비밀번호를 탈취하려는 시도가 발견되기도 했다. 최근 파장을 일으킨 N번방 사건 역시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사용자의 소셜 미디어 계정에 피싱 사이트로 접속을 유도하는 메시지를 보내 계정을 탈취한 뒤 소셜 미디어 정보를 악용해 사용자를 협박하는 등의 방식으로 이뤄졌다.

애플 계정 입력을 요구하는 피싱 사이트

이러한 탈취를 막기 위해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은 우선 복잡한 암호를 생성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문자, 대문자, 숫자, 특수문자 등을 섞으면 강력한 암호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지만, 이는 어느 정도만 맞는 말이다. 가령 'Qwerty12#$'이라는 암호를 생각했을 때 기존에 사용하던 'qwerty1234'보다는 조금 더 강력할 수 있다. 하지만, 기존과 비교해 시프트라는 패턴 하나만 추가된 것이기 때문에 결국 경우의 수가 늘어난 것에 불과하다. 정말 강력한 암호는 'qG#g2Ys^V' 처럼 다양한 대/소문자, 숫자, 특수문자를 활용해 무작위로 생성해야 한다. 하지만 이런 암호를 일일이 기억하고 입력하기 어려운 만큼, 노턴 패스워드 매니저 등의 암호 생성/보관 서비스나 구글 계정을 이용한 암호 동기화를 쓰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2단계 암호 생성 역시 필요하다. 가령 네이버의 경우 내 정보> 보안설정에서 2단계 인증 기능을 제공한다. 이 기능을 활성화할 경우 인증 받지 않은 기기에서 내 계정으로 로그인을 시도할 경우 스마트폰 등을 통해 알려주며, 자신의 스마트폰에서 이를 허용해야만 로그인할 수 있는 방식이다.

보안에 왕도는 없지만…

흔히 보안에는 왕도가 없다고 말한다. 어떠한 보안 기술을 개발하고 적용하더라도, 언젠가는 해커가 이를 뚫는 기발한 방법을 생각해낼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가 최소한의 보안 조치를 하는 것만으로도 상당수의 공격을 막아낼 수 있는 것이 사실이다.

언제나 강조하는 보안 수칙은 같다. 우선 '알 수 없는 사이트'나 '알 수 없는 파일'을 접근/실행하지 말 것, 비밀번호는 길고 강력하게 설정해 주기적으로 변경할 것, 웹 사이트를 찾을 때는 URL 대신 잘 알려진 포털 사이트를 통해 검색 후 접속할 것, 보안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것, 각종 소프트웨어는 주기적으로 업데이트 할 것 등이다.

글 / IT동아 이상우(lswoo@itdonga.com)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최신 테크팁 전체 둘러보기
1/1
민생회복 소비쿠폰, 어떻게 신청하나요? (1) IT동아
시각적 어려움으로 스마트폰 사용이 어렵다면 이렇게! [이럴땐 이렇게!] (1) IT동아
문장만 입력해도 이미지 스토리보드 생성해 주는 AI 프로그램 3종! (3) 동영상 있음 다나와
건강검진·과태료 납부 정보 미리 알려준다…국민비서 사용법 (2) IT동아
[생성 AI 길라잡이] 소상공인을 위한 홍보물 제작 서비스 '비즈하우스' (1) IT동아
민생회복 소비쿠폰, 예상 지원금 사전 확인하려면? (2) IT동아
[IT하는 법] 기상청 날씨알리미로 실시간 날씨 구독하기 (2) IT동아
게이밍 모니터에 TN 패널이 많은 이유는? (2) IT동아
중고차 구매 시 알아야 할 ‘연식’과 ‘연형’ 차이 (2) IT동아
아이폰 통화하면 음성 사서함으로 넘어가는 현상 해결하는 방법 (1) 다나와
전국 해수욕장 수질과 토양정보 확인은 이렇게! [이럴땐 이렇게!] (1) IT동아
아이폰으로 문서 스캔 누구나 할 수 있습니다 (1) 다나와
[IT애정남] 구형 노트북인데 모니터 2대 이상 연결하려면? (2) IT동아
[생활 속 IT] AI로 간편해진 맛집 검색, 카카오맵 ‘AI메이트’ (3) IT동아
초보 영상 크리에이터에게 유용한 프로그램 3종! (4) 동영상 있음 다나와
휠체어·유모차 최적 길 안내…서울동행맵 활용법 (1) IT동아
아이폰 알림 시 깜빡이는 LED 후레쉬 끄는 설정 방법 (2) 다나와
[생활 속 IT] 여름철 해수욕장 실시간 안전 가이드 ‘안전해(海)’ 앱 (2) IT동아
[IT하는법] 스마트폰 벨소리, 원하는 음악으로 바꾸는 법 (3) IT동아
“예약부터 굿즈 가격까지” 네이버 검색으로 팝업스토어 정보 ‘한눈에’ (3) IT동아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