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행동 알아차리기② "자꾸만 멍하소 실수가 많아요"글 = 선우현정(임상심리전문가/정신건강임상심리사)
부모님은 단지 아이가 소극적이고 조용한 아이라 여겼다고 했습니다. 어렸을 때부터 겁이 많고 내성적인 아이여서 눈에 띄지 않는 편이었고, 유순하고 순응적인 편이어서 양육하는 데도 크게 어려움을 느끼지 못했다고 했습니다. 그래서인지 유치원을 다닐 때까지만 해도 교사들로부터 “규칙을 정말 잘 지킨다”, “친구들과 잘 어울린다”는 긍정적인 보고들이 대부분이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초등학교에 입학하면서 상황이 조금 달라졌는데, 방금 전에 지시한 것도 금방 잊어버리고 하지 않는 일이 많아졌고, 학교에 갈 때도 준비물을 놓고 가거나, 반대로 학교에서 소지품을 잃어버리고 오는 경우도 빈번해졌다고 합니다. 가장 큰 걱정거리는 학교 교사로부터 들려오는 부정적인 이야기들이었습니다. 교사에 의하면, 아이가 수업 시간에 조용히 참여하기는 하지만 대부분의 시간을 멍하니 앉아있어서 활동을 잘 따라오지 못한다고 했고, 질문을 하면 엉뚱한 답변을 하는 경우도 많다고 했답니다.
부모님은 돌이켜 보면 집에서 학습지를 할 때도 비슷한 모습을 보였다고 했습니다. 양이 많지 않은 학습지를 하면서도 지나치게 긴 시간 동안 앉아 있었고, 그래도 부모가 곁에 앉아서 재촉하면 또 짧은 시간 내에 금방 과제를 마치기도 해서 큰 걱정은 하지 않았다고 했습니다. 하지만 혼자 하도록 둘 경우 난도가 낮은 문제들도 잘 풀지 못해서 하기 싫어하거나 멍하게 앉아있는 모습을 보였다고 합니다.
아이는 ADHD 진단을 받았습니다. 부모님은 깜짝 놀라며 ADHD는 산만하고 충동적인 아이들이 받는 진단이 아니냐고 되물었습니다. ADHD는 워낙 TV나 인터넷 등의 매체에서 빈번하게 다루고 있어서 이제 제법 대중적인 장애입니다. 주로 지나치게 활동적이고 정서적으로 폭발적인 증상을 보이는 아이들이 ADHD 진단을 받는 장면이 자주 나오는데 그로 인해 대중들의 ADHD에 대한 오해와 편견이 많아진 것 같습니다.
ADHD의 세 가지 아형
사실 ADHD는 아이들마다 다양한 양상으로 관찰됩니다. 언급한 바와 같이 산만하고 충동적인 증상을 보이는 아이들도 많지만 조용하면서도 집중하지 못하는 아이들도 있습니다. ADHD의 정식 명칭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로, 일상생활 적응을 방해하는 ‘지속적인 부주의’, 그리고 ‘과잉행동과 충동성’이 두드러질 때 진단받게 됩니다.
ADHD는 세 개의 아형으로 구분됩니다.
첫 번째는 주의력 결핍 우세형으로, 주어진 일에 꾸준히 주의를 기울이지 못하고 사소한 것들을 잘 알아차리지 못해서 실수도 잦은 편입니다. 해야 할 일을 신속하게 끝마치지 못하기도 하고 계획을 세우고 체계적으로 일들을 처리하는 데도 유독 어려움을 보입니다. 때문에 지루하고 인지적인 노력이 요구되는 활동을 싫어하고 거부적인 태도를 보이기도 합니다. 또 다른 사람이 말을 할 때 멍하니 있거나 다른 일을 하고 있어서 경청하지 않는 것처럼 보일 수 있고, 주변의 작은 소음에도 집중을 하지 못하고 산만해지는 모습을 보이기도 합니다.
부모님들은 “숙제하려면 종일 걸린다”, “문밖에서 동생이 작은 소리만 내도 돌아보고 집중을 못 한다”, “맨날 물건을 잃어버린다”, “정리 정돈을 못 한다”, “했던 말을 또 하고, 또 하게 한다”, “자꾸만 멍하니 있다”는 보고를 자주 합니다.
두 번째 아형은 과잉행동·충동 우세형입니다. 대중에게 잘 알려진 유형으로, 아이들은 과도하게 뛰어다니고 행동을 조절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이며, 쉽게 짜증이나 화를 내는 등 충동적인 모습을 보이기도 합니다. 앉은 자리에서도 엉덩이를 들썩거리고 이리저리 움직거리는 등 부산스러우며 말이 많고, 다른 사람의 말을 침착하게 듣지 못하기도 합니다. 놀이 상황에서도 자신의 차례를 기다리지 못해 다른 친구들을 방해하거나 심통을 부리는 모습을 보이는 경우도 있습니다.
부모님들은 “가만히 있지를 못한다”, “우당탕 거린다”, “매일 화를 낸다”, “사고뭉치다”와 같은 보고를 하곤 합니다.
세 번째 아형은 복합형입니다. 주의력 결핍 우세형과 과잉행동·충동 우세형 어느 쪽에도 온전히 속하지 않지만 ADHD 진단 기준에 부합하는 아이들이 여기에 속합니다. 부주의하기도 하고 산만하기도 한 증상을 보이는데, 또 아이들이 타고난 성격에 따라 증상이 다르게 관찰되기 때문에 실로 다양한 양상을 보입니다.
중요한 것은 아이의 ADHD 여부가 아니고 ‘일상생활 적응 수준’입니다. 아이에게서 같은 문제가 반복적으로 관찰되고 그런 문제로 인해 원만한 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면, 혹은 주변으로부터 같은 문제에 대한 부정적인 피드백이 빈번하다면 증상에 대해 전문가의 소견을 들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가 조용하고 순응적이어서 눈에 띄게 부적응적인 양상이 아니더라도 학교 숙제, 학습지, 정리 정돈, 의사소통 등 중요한 영역에서 효율이 떨어지고 그로 인한 부정적 평가가 자주 들린다면 병원에 찾아가 진료를 받아볼 것을 추천합니다.
글 = 선우현정(임상심리전문가/정신건강임상심리사)정신건강의학과에서 일하고 있는 임상심리사입니다. 특히 아동/청소년의 정신건강에 주력하고 있고 이와 관련한 소통을 환영합니다.
길문혁 기자/ansgur0317@manzlab.com
ⓒ 맨즈랩(http://www.manzlab.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