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이 되면서 학생들은 신학기 생활을 시작하고 분주한 일상을 보내고 있다. 대학생들 중에는 공강 시간이나 이동 시간도 알뜰하게 쓰기 위해 노트북을 휴대하고 다니는 이들도 쉽게 찾아볼 수 있는데, 요즘은 대부분의 장소에서 인터넷 접속도 가능하기 때문에 틈틈이 학습하거나 과제물을 처리할 때 요긴하다.
다만 너무 노트북에만 의존하다가는 언젠가 곤란해질 수 있다. 중요한 과제물을 노트북에 저장해 두었는데 깜빡하고 집에 놓고 등교한다든가, 멀쩡하게 작동하던 노트북이 갑자기 먹통이 되어서 아무것도 못하게 되는 일이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 일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수시로 중요한 데이터를 백업해둘 필요가 있다. 보통 외장하드를 떠올릴 텐데 가뜩이나 신경 쓸 것 많은 대학생이 외장하드까지 챙기려고 하면 번거롭기 그지없다.
더 편리한 수단으로는 NAS(Network Attached Storage, 네트워크 결합 스토리지)가 있다. 네트워크를 통해 수시로 원하는 데이터를 보관하거나 필요한 데이터를 찾을 수 있으므로 노트북 사용 시 생길 수 있는 아찔한 순간을 대비하는 용도로 안성맞춤이다.
다만 아직 NAS를 사용해본 적 없는 사람이라면 NAS가 유용하다고 해도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막막한 마음이 들기 마련이다. 그래서 이번 기사에서는 NAS가 생소한 대학생 입장에서도 NAS를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하겠다.
초심자에게 무난한 2베이 NAS
▲ 보급형 2베이 NAS '아수스토어(ASUSTOR) DRIVESTOR 2 AS1102T'
처음 NAS를 사용하는 사람이라면 2베이(2-bay) NAS 중에서 가격대가 저렴한 보급형 제품을 고르는 것이 무난하다. 대학생 입장에서 학교 생활 중 필요한 데이터를 백업하고 필요할 때 꺼내 쓰는 용도라면 굳이 고성능이나 여러 가지 기능을 제공할 필요는 없기 때문이다.
가격만 따진다면 1베이 NAS가 더 저렴하지만 HDD를 1개만 장착 가능해서 RAID 기능이나 NAS용 백업 기능을 사용하는 데 제약이 생기므로 2베이 NAS로 선택하는 것이 좋다.
보급형 제품이라고 해도 사양이 너무 낮은 제품을 고르는 것은 피해야 한다. NAS는 기본적인 구조가 PC와 유사하므로 제 성능을 내기 위해서는 주요 하드웨어가 일정 수준 이상의 사양을 충족해야 한다.
CPU는 클럭 1.4GHz 이상, 4코어 이상이면 무난하고 메모리는 용량 1GB 이상이어야 대용량 데이터 전송 시에도 NAS가 쾌적하게 작동할 수 있다.
LAN 포트는 2.5Gbps(초당 기가비트)를 지원하는 것이 좋다. 최신 HDD는 데이터 전송 속도가 200MB/s(초당 메가바이트) 이상인데 1Gbps까지 지원하는 NAS는 그 속도의 절반 정도 밖에 낼 수 없기 때문이다. LAN 대역폭이 2.5Gbps 이상이면 HDD 성능을 충분히 활용 가능하다.
안정성 높은 NAS 전용 HDD
▲ NAS용 HDD ‘씨게이트 아이언울프’ 시리즈
NAS용 HDD도 필요하다. PC용 HDD도 NAS에서 사용할 수 있지만 네트워크를 통해 수시로 데이터를 읽고 쓰는 NAS 환경에서 적정한 내구성이 보장되지 않기 때문에 권장하지 않는다.
NAS용 HDD는 전반적인 부품 내구성이 PC용 HDD보다 우수하며 외부 진동에 맞춰 플래터(데이터가 기록되는 원판) 회전 속도와 헤드(플래터 표면에서 데이터를 읽고 기록하는 장치) 위치를 알맞게 조정해서 HDD를 가능한 안전한 상태로 유지시키는 'RV(Rotational Vibration, 회전 진동) 센서'가 내장된다.
NAS 환경에서 유용한 기능을 제공하는 제품도 있다. 씨게이트의 ‘아이언울프’(IronWolf) 시리즈는 NAS에서 HDD 상태를 실시간으로 점검해서 알려주는 ‘아이언울프 헬스 매니지먼트’(IronWolf Health Management, 이하 IHM)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IHM 공식 호환 NAS에 아이언울프 HDD를 설치한 다음 IHM 앱을 설치하면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씨게이트 레스큐 데이터 복구 서비스도 있다. 아이언울프 시리즈는 구입 시점을 기준으로 3년 동안 보장되는 서비스이다. HDD 데이터가 유실된 경우 제품 유통사에 레스큐 데이터 복구 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다. 데이터 복구 성공률은 평균 90% 이상이며 사용자는 해당 서비스 요청 시 같은 용량의 아이언울프 HDD를 받을 수 있다.
NAS 설치 방법
NAS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HDD를 장착해야 한다. 장착법은 제품마다 차이가 나는데 보급형 제품들은 대개 NAS 케이스를 분리한 후 내부에 HDD를 장착하는 구조인 경우가 흔하다.
▲ NAS에 LAN 케이블과 전원 어댑터 연결한 모습
▲ 스위칭 허브에 인터넷 · NAS · PC용 LAN 케이블 연결한 모습
HDD를 장착한 다음에는 NAS에 전원 어댑터와 LAN 케이블을 연결한다. LAN 케이블 반대쪽 커넥터는 PC처럼 공유기나 스위칭 허브에 연결하면 된다. 2.5Gbps 이상의 속도를 내기 위해서는 같은 네트워크에 있는 모든 기기가 2.5Gbps 이상을 지원해야 한다.
PC처럼 운영 체제를 기반으로 작동하는 NAS
▲ 아수스토어 NAS 검색 유틸리티 ‘ACC’
▲ 아수스토어 NAS 접속 시 나오는 HDD 초기화 및 NAS 설정 과정
HDD 장착과 케이블 연결을 마쳤다면 NAS 전원을 켜고 동일한 네트워크에 연결된 PC로 해당하는 NAS 검색 유틸리티를 사용해 NAS에 접속한다. NAS 검색 유틸리티는 NAS 제조사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는데 이번 기사에서는 아수스토어(ASUSTOR) NAS를 기준으로 설명하겠다.
아수스토어 홈페이지에서 NAS 검색 유틸리티인 'ACC’(ASUSTOR Control Center)를 PC에 설치하고 실행하면 자동으로 현재 같은 네트워크에 연결된 아수스토어 NAS를 검색하고 목록에 표시해준다.
처음 NAS를 실행한 경우 붉은색으로 ‘초기화되지 않았습니다’라는 상태 표시가 나오는데 클릭하면 자동으로 웹 브라우저를 통해 HDD 초기화를 비롯한 NAS 설정 과정이 시작된다. 안내에 따라 진행하면 어렵지 않게 완료할 수 있다.
기본 설정을 마치면 아수스토어 NAS 운영 체제인 ‘ADM’(ASUSTOR Data Master, 아수스토어 데이터 마스터)이 실행되고 기본 화면이 나타난다. 처음 NAS를 사용하는 사람을 위해 기본 기능을 소개하는 안내 과정이 표시되는데 하나하나 따라하면 NAS 사용법을 배울 수 있다.
인터넷과 모바일 기기로 NAS 접속 가능
대학생이라면 주로 학교나 카페 같은 곳에서 노트북을 이용하는데 인터넷 연결이 가능한 상태라면 NAS에 접속해서 원하는 데이터를 백업하거나 NAS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가져올 수 있다.
제조사에 따라 인터넷으로 NAS에 접속하는 방법에는 차이가 있는데 보통은 별도의 소프트웨어를 이용한다. 아수스토어 NAS는 ‘EZ-Connect’(이하 이지 커넥트)로 가능하다.
이지 커넥트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우선 ADM 기본 화면에 있는 ‘설정’으로 들어가 ‘EZ-Connect’ 항목으로 이동해 ‘EZ-Connect 활성화’를 클릭해야 한다. 그러면 이지 커넥트 구성 마법사가 실행되며 자동으로 설정이 진행된다.
설정이 완료되면 이지 커넥트로 접속할 때 필요한 ‘클라우드 ID’와 웹 브라우저용 접속 링크, 모바일 앱 다운로드 경로로 접속되는 QR코드가 표시된다. 클라우드 ID는 사용자가 변경할 수 있다.
노트북으로 NAS에 접속할 때는 클라우드 ID나 웹 브라우저용 링크를 이용하고, 스마트폰 같은 모바일 기기로 접속할 때는 QR코드를 이용하면 된다.
노트북 사용자라면 아수스토어 홈페이지에서 이지 커넥트 유틸리티를 다운로드하고 설치하면 인터넷으로 NAS에 접속할 수 있다.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미리 지정한 클라우드 ID와 NAS 사용자 이름, 비밀번호를 차례대로 입력하면 접속된다.
이지 커넥트 유틸리티 기본 화면에서 ‘지도 드라이브’ 항목을 클릭하면 아수스토어 NAS에 있는 폴더를 노트북의 네트워크 드라이브로 설정할 수 있다. 네트워크 드라이브로 설정한 폴더는 윈도우 탐색기에서 일반 폴더처럼 이용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파일을 자유롭게 옮길 수 있다.
별도로 소프트웨어를 설치하는 것이 번거로운 경우에는 웹 브라우저용 접속 링크를 통해 아수스토어 NAS에 접속 가능하다. 웹 브라우저에서 NAS 사용자 이름과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ADM 기본 화면이 나타나서 NAS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
▲ 스마트폰에서 ‘AiData’ 앱으로 아수스토어 NAS에 접속해 파일 확인 및 업로드하는 모습
스마트폰으로 QR코드를 스캔하면 아수스토어 NAS용 모바일 앱 목록이 표시되는데 그 중 ‘AiData’를 이용하면 NAS에 저장된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다. 물론 클라우드 ID와 사용자 이름, 비밀번호를 알고 있어야 접속 가능하다.
NAS의 폴더와 파일을 모바일 기기에서 직접 실행하거나 저장할 수 있고, 반대로 모바일 기기에 있는 파일을 NAS의 폴더에 업로드할 수 있어서 백업용으로 유용하다.
평소에 NAS로 중요한 파일을 백업해두었다면 노트북이 갑자기 먹통이 되는 사태가 발생하더라도 스마트폰으로 NAS에 접속해서 필요한 파일을 다운로드하고 다른 PC로 그 파일을 옮겨서 위기를 극복할 수 있다.
대학생을 위한 NAS 활용법
NAS는 대학생 필수 아이템 중 하나인 외장하드와 -데이터를 저장한다는 의미에서- 맥을 같이 한다. 인터넷과 연결된 스마트폰이 우리의 삶을 바꿔놓았듯 네트워크와 연결된 NAS는 그 활용성이 무궁무진하다.
모바일과 PC 백업은 기본이다. 강의 내용을 노트북과 연결된 NAS에 실시간으로 저장하고, 스마트폰과 노트북, 데스크톱PC 등 다양한 기기로 언제 어디서나 접속해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허락한 친구도 접근이 가능하다. 고가 장비가 많은 동아리 방의 CCTV를 NAS와 연결해 관리할 수도 있다. 스마트폰 촬영 사진 역시 NAS에 저장하고 언제든지 다른 사람과 공유할 수도 있다. 이러한 다양한 이유로 제한적인 외장하드보다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를 선호하기도 한다.
노트북보다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를 자주 이용하는 사람이라면 구글 드라이브(Google Drive)나 마이크로소프트 원드라이브(OneDrive) 같은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활용해 데이터를 백업하는 경우가 많다. NAS처럼 대용량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이용료가 많이 들지만 모바일 환경에서 간편하게 데이터 관리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 ‘DataSync Center’ 앱으로 클라우드 스토리지 데이터 동기화 가능한 아수스토어 NAS
그 점을 고려하여 근래 출시되는 NAS들은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저장된 데이터도 동기화시켜서 백업할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되고 있다.
사용자가 원하는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선택하고 드라이브 경로, 작업 일정, 파일 종류 등을 지정하면 주기적으로 NAS에 클라우드 스토리지 데이터를 동기화할 수 있다.
▲ ‘AiVideos’ 앱을 통해 스마트폰으로 아수스토어 NAS에 있는 동영상 스트리밍 재생하는 모습
아무리 공부가 중요해도 틈틈이 쉬는 것도 필요한데 그럴 때는 NAS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기능을 이용해서 영화나 드라마를 감상하는 것도 좋다. NAS에 저장해둔 동영상 파일을 노트북이나 스마트폰으로 접속해서 스트리밍 재생하는 것이다.
요즘은 넷플릭스, 왓챠, 디즈니+ 같은 OTT 서비스가 많아서 그쪽을 이용하는 것이 편리하지만 오래 된 작품이거나 저작권 때문에 OTT 서비스로 제공되지 않는 작품도 있다. 그런 경우에는 이미 보유하고 있는 영화 · 드라마 파일을 NAS에 저장해두면 인터넷을 경유하여 자유롭게 감상할 수 있다.
또한, 이제는 보급형 NAS도 많은 제품들이 4K 해상도 동영상까지 하드웨어 디코딩으로 실시간 스트리밍이 가능하므로 고화질 영상물을 OTT 서비스보다 쾌적하게 감상하고 싶은 경우에도 도움된다.
대학생에게도 유용한 NAS
지금까지 NAS를 설치하고 활용하는 방법을 알아보았다. PC 조립이나 업그레이드를 해본 경험이 있다면 누구나 큰 어려움 없이 NAS를 이용할 수 있다.
일단 한번 NAS 환경을 구축해 놓으면 굳이 외장하드를 들고 다니지 않아도 수시로 중요한 데이터를 백업할 수 있고, 노트북 분실 같은 끔찍한 상황이 벌어지더라도 NAS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가져와서 일단 급한 상황을 피할 수 있으므로 좋은 대비책이 될 수 있다.
물론 단순한 백업이라면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사용해도 괜찮지만 NAS는 제품 구매 비용을 제외하면 별도로 이용료가 들지 않으므로 대용량 파일을 자주 백업하는 사람이라면 더 경제적이라는 장점도 있다.
아무튼 학기 중 수시로 수많은 문서 작업을 하고 학과 공부도 해야 하는 대학생에게 NAS는 상당히 유용하므로 관심을 가지고 사용해보기를 권한다.
방수호 기자/bsh2503@manzlab.com
ⓒ 맨즈랩(http://www.manzlab.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