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시작하며...
게임을 즐기기 위해 필요한 요소들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플레이 시의 쾌적함을 우선시하는 게이머의 경우 대개 "60프레임 확보"를 목표로 할 것입니다. 물론 프레임이라는 것은 사람마다 느낄 수 있는 범위에 다소 차이가 있으므로 명확하게 결론을 내리긴 어려우나, 보편적으로는 60프레임 안팎이 유지되어야 부드러운 화면 및 움직임을 느낄 수 있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따라서 순간적인 조준이 필요하거나 전체적으로 속도가 빠른 게임을 즐기는 경우 그래픽 옵션을 낮춰서라도 평균 60프레임 이상, 혹은 더 나아가서 최저 60프레임 이상을 확보하려고 하는 것이죠.
LOL이나 배틀그라운드와 같은 3D 멀티 플레이 게임들, 그 중에서도 특히 TPS나 FPS 장르의 게임은 프레임 확보가 더욱 중요하게 다가옵니다. 다행인 것은, 온라인으로 서비스되는 게임들의 경우 일반적인 패키지 게임과는 다르게 장기간 운영되는 반면 그래픽 리뉴얼의 빈도가 낮은 편이기 때문에, 시간이 흐를수록 CPU 및 그래픽 카드의 성능이 높아져 프레임 확보가 점차 수월해진다는 것이겠습니다. 이러한 특성 덕분인지, 최근에는 FHD 144Hz와 같은 고주사율 모니터의 수요가 상당히 늘어난 편입니다.
프레임 확보가 중요한 3D 멀티 플레이 게임을 주로 즐기는 게이머이고, FHD 144Hz 이상의 고주사율 모니터를 사용중이거나 사용할 예정의 게이머라면 특정 게임에서 최소한 144 프레임을 무리없이 확보할 수 있는 PC를 갖추어야 할 것입니다. 게이밍 PC에서 그래픽 카드의 성능이 제일 중요하게 여겨지긴 하지만 이에 못지 않게 CPU의 영향도 꽤 큰 편인데... FHD(1080P) 환경에서는 1440P, 2160P와 같은 고해상도 환경보다 CPU 로드율이 더 높아서 같은 그래픽 카드를 사용하더라도 CPU의 성능에 따라 프레임에 큰 차이를 보이기도 합니다. 고주사율 모니터 제품의 상당수가 FHD 해상도 기반인 점을 감안하면 CPU의 중요성은 꽤 높다고 할 수 있겠지요.
따라서 이번에는 최신 그래픽 카드 중 하나인 RTX 3070 Ti 탑재 시스템에서, CPU에 따라 얼마나 프레임 차이가 나는지 알아보았습니다.
AMD 측은 게이밍 PC용으로 높은 가격대 성능비를 보이는 Ryzen 7 5800X 프로세서를 사용했으며, Intel 측은 Core i9-11900K 프로세서를 사용했습니다. 메인보드는 각각 MSI MAG B550 TOMAHAWK 및 GIGABYTE Z590 AORUS PRO AX를 사용하였습니다.
그래픽 카드는 NVIDIA RTX 30 시리즈 중 가장 마지막에 공개된 퍼포먼스급 모델인 MSI GeForce RTX 3070 Ti SUPRIM X D6X 8GB TRI-FROZR 2S를 사용하였습니다. 벤치마크를 진행할 게임 라인업은 전부 온라인 멀티 플레이 게임이기 때문에 성능 자체는 충분하고도 남겠으나, CPU에 따른 명확한 성능 차이 및 144Hz 이상의 고주사율 모니터(165Hz나 240Hz 등)에 어디까지 대응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에는 적합할 것으로 여겨집니다.
그럼, 테스트 구성 및 게임 라인업을 살펴보고 CPU에 따른 게임상의 성능 차이를 한 번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AMD Ryzen 7 5800X
https://www.amd.com/ko/products/cpu/amd-ryzen-7-5800x
■ Intel Core i9-11900K
■ MSI GeForce RTX 3070 Ti SUPRIM X D6X 8GB TRI-FROZR 2S
https://www.msi.com/Graphics-Card/GeForce-RTX-3070-Ti-SUPRIM-X-8G/Specification
2 . 테스트 구성 및 게임 라인업
그래픽 카드의 성능 측정을 위한 실내 온도는 주기적인 온도 관리로 23±1℃ 수준을 꾸준히 유지했음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해당 테스트에 사용된 시스템 구성과 GPU-Z 정보는 아래와 같습니다.
CPU와 메인보드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며, 오버클럭을 적용하지 않은 기본 바이오스 상태에서 테스트를 진행한 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AMD Ryzen 7 5800X의 CPU-Z 정보
▲ Intel Core i9-11900K의 CPU-Z 정보
▲ MSI GeForce RTX 3070 Ti SUPRIM X D6X 8GB TRI-FROZR 2S의 GPU-Z 정보
■ League of Legends
- 그래픽 프리셋 "매우 높음", 안티 앨리어싱 ON
- 1080P 해상도
- 특정 경기의 관전 기능을 사용
■ LOSTARK
- 그래픽 일괄 설정 "최상"
- 1080P 해상도
- 5분 간 특정 경로로 이동 및 사냥하여 3회 측정 후, 취합한 결과의 평균값을 적용
■ OVERWATCH
- 그래픽 품질 "최상", 렌더링 스케일 100%
- 1080P 해상도
- 5분 간 특정 구간을 이동하는 방식으로 3회 측정 후, 취합한 결과의 평균값을 적용
■ PLAYERUNKNOWN'S BATTLEGROUNDS
- 전반적인 그래픽 품질 "울트라"
- 1080P 해상도
- 전적 > 다시 보기 기능을 사용
■ Tom Clancy's Rainbow Six Siege
- 그래픽 전체 품질 "울트라"
- 1080P 해상도
- 내장된 벤치마크 기능을 사용
3 . 벤치마크 결과 및 결론
1440P, 2160P 등 고해상도 대비 CPU 로드율이 높고, 144Hz 이상의 고주사율 모니터에 가장 많이 적용되고 있는 1080P(FHD) 해상도 기준으로 테스트해본 결과... 구성이 구성이니만큼 최상위의 그래픽 옵션을 적용해도 60프레임은 가볍게 넘겼으나, CPU에 따른 차이는 게임에 따라 눈에 띄게 차이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AMD Ryzen 7 5800X가 Intel Core i9-11900K보다 전체적으로 우위를 점했으며, 게임별 평균 프레임 기준으로는...
League of Legends 49.16% 차이 / LOSTARK 13.24% 차이 / OVERWATCH 3.72% 차이 / BATTLEGROUNDS 8.35% 차이 / Rainbow Six Siege 23.46% 차이를 보였습니다.
온라인 기반의 멀티 플레이 게임들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어느 정도의 오차는 있겠으나 AMD Ryzen 7 5800X가 게이밍 환경에 더 유리하다는 점은 확실하겠으며, 그래픽 옵션에서 손해를 보지 않고도 고주사율 환경을 유지하는데 높은 메리트를 보이겠습니다.
Intel Core i9-11900K도 어쨌든 상위급 CPU인 만큼 성능은 충분히 확보되긴 하나... AMD Ryzen 7 5800X의 경우 성능도 성능이지만, 출시 초기 대비 가격대가 낮아져서 가성비가 더더욱 좋아졌기 때문에 종합적으로는 Ryzen 7 5800X가 나은 모습을 보이는 셈입니다.
결론적으로, 본 기사의 목적인 CPU에 따른 성능 차이는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었으며... 테스트에 활용된 AMD Ryzen 7 5800X 시스템 수준이라면 배틀그라운드 정도만 제외하면 165Hz는 물론 240Hz의 고주사율 모니터까지도 충분히 커버 가능할 것으로 여겨집니다. 따라서 벤치마크에 활용된 3D 멀티 플레이 게임들을 주로 즐기거나, 고주사율 모니터를 사용중 혹은 사용할 예정의 게이머에게는 AMD Ryzen 7 5800X 기반의 게이밍 PC가 가장 우수한 성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높은 가격 대비 만족감을 제공해줄 것으로 판단됩니다.
게이머 입장에서는 일종의 재앙(?)이었던 코인 채굴 대란도 끝을 보이고 그래픽 카드 시장도 안정화되고 있는 가운데, 미뤄두었던 PC 업그레이드나 게이밍 PC 구성을 진행하고자 하는 분들도 계시리라 생각됩니다. 그렇다면 이번 기회에 성능과 가성비를 동시에 잡을 수 있는 AMD Ryzen 7 5800X 기반의 시스템을 한 번 고려해보는 것은 어떨까요?
< 저작권자 (C) 플레이웨어즈(www.playwares.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