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고성능 쿨러 한정판은 못 참지. 라이젠 5 5600X 레이스 프리즘팩

2021.09.01. 11:18:23
조회 수
6,678
52
댓글 수
79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한국인 종특으로 꼽히는 것 중 하나가 최적의 가성비, 모범 답안을 찾는 것입니다. 새로운 것이 나올 때마다 최적의 육성법이나 국민 조합을 찾으며, 거기서 조금이라도 벗어나면 세상이 망하기라도 하는 것처럼 심각하게 받아들이지요. 다름을 인정하지 않는 획일적인 답안이 재미있는 선택이라고는 할 수 없겠으나, 어쨌건 최고로 효율적인 방법임에는 분명합니다. 어찌보면 한국 사람들이 실패할 여유가 없다보니 모험을 하기보다는 최적의 답안을 찾아 그걸 고집하는 것일지도 모르겠네요.

 

1.jpg

 

하여간, 현재 컴퓨터 부품 시장에서도 국민 부품으로 추앙받는 것들이 있습니다. 그래픽카드의 경우 그걸 논할 가치조차 없으니 넘어가죠. 지금 상황에선 뭐가 됐던 일단 사기만 하면 그걸로 성공했다는 소릴 들으니까요. CPU는 라이젠 5000 시리즈로 분위기가 굳어진지 오래입니다. 라이젠 5000 시리즈가 막 나온 신제품도 아니고, 그 이후로 인텔 11세대 프로세서가 나오긴 했지만 그게 라이젠 5000의 절대적인 우세를 뒤집진 못했습니다. 내장 그래픽이 탑재된 CPU 쪽도 상황은 다를 게 없습니다. 이쪽은 원래부터 AMD가 꽉 잡고 있었는데 라이젠 5000G 세잔이 나오면서 아주 그냥 쐐기를 박아버렸죠.

 

라이젠 5000 시리즈가 전반적으로 성능이 우수하고 가격 경쟁력이 좋다는 평가를 듣지만, 그 중에서 가성비가 가장 출중한 모델을 꼽는다면 역시 라이젠 5 5600X를 꼽게 됩니다. 6코어 12스레드의 구성은 많다면 많고 적다면 적습니다. AMD가 코어 수 경쟁을 시작하기 전까지만 하더라도 6코어 12스레드면 많은 편이었으나 이제 메인스트림 CPU라면 다 이 정도면 갖추고 나오지요. 하지만 멀티코어를 아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상황이 아니라면 여전히 이것만으로도 충분합니다. 컴퓨터 하나로 게임하면서 방송도 하고 영상 인코딩 같은 묵직한 작업을 주구장창 돌리는 게 아니라면 이 이상은 욕심일지도 모릅니다.

 

2.jpg

 

라이젠 5 5600X에서 무엇보다 눈에 띄는 건 압도적인 싱글스레드 성능입니다. 지금까지는 새 CPU가 나올 때마다 인텔과 AMD 중 어디가 더 나은지를 비교하기 마련이었으나, 젠3 아키텍처에서 AMD의 싱글스레드 성능이 대폭 오르면서 이제 경쟁 상대와의 비교가 무의미해졌습니다. 이 쪽에서 선택할 수 있는 회사가 두 개 뿐이라서 '경쟁 상대'라고 하는거지, 성능만 비교하면 경쟁이 된다고 말하기도 민망합니다. 라이젠 5000 시리즈는 10세대 코어 프로세서보다 더 높은 성능을 보여주는 건 당연하고, 11세대 코어 프로세서를 계산에 넣어도 그 우위는 변치 않습니다. 싱글스레드 성능이 올랐으니, 그 성능에 가장 많은 영향을 받는 게임 성능 역시 부쩍 뛰었습니다. 그래서 라이젠 5000 시리즈 중 가장 저렴한 라이젠 5 5600X는 최고의 가성비 게임용 CPU 취급을 받고 있기도 합니다. 

 

그 성능이 어떤지는 이미 수 차례 테스트 해본 바 있습니다. 라이젠 5 5600X의 가격은 최저가 기준 30만 원입니다. 그렇다면 20만 원 중후반의 코어 i5-11400이나 코어 i5-11400F와 비교하는 게 맞겠죠. 하지만 성능만 놓고 보면 코어 i5-11400이나 11600 정도로는 어림도 없습니다. 그 상위 모델이자 40만원 중반대에 팔리는 코어 i7-11700을 가져와야 할 판입니다. 사실은 그걸로도 부족합니다. 싱글스레드 위주의 상당수 게임이나 테스트에서는 인텔 11세대 코어 프로세서, 로켓레이크의 최고봉인 코어 i9-11900K와 견줘도 꿀리지 않는 모습을 보여주거든요. 괜히 최고의 가성비를 지닌 게임용 CPU 소리가 나온 게 아닙니다.

 

Cap 2021-09-01 11-09-33-518.png

 

Cap 2021-09-01 11-08-45-085.png

 

Cap 2021-09-01 11-08-57-284.png

 

 

Cap 2021-09-01 11-07-29-868.png

 

Cap 2021-09-01 11-08-12-802.png

 

 

Cap 2021-09-01 11-08-23-768.png

 

Cap 2021-09-01 11-08-34-101.png

 

 

여러 게임에서 입중된 라이젠 5 5600X의 성능

 

라이젠 5 5600X의 압도적인 가성비 뒤에는 한국 시장에만 존재하는 멀티팩 모델의 공이 큽니다. 멀티팩은 정품 CPU 박스는 없지만 정품과 똑같은 A/S를 제공합니다. 그리고 AMD 정품 쿨러를 함께 제공해 바로 쓸 수 있고요. 가격은 정품 박스 버전보다 훨씬 저렴합니다. 라이젠 5 5600X의 경우 정품 박스 버전은 최저가 기준 36만원이지만 멀티팩은 30만원입니다. 박스를 수집하는 취미가 있는 게 아닌 이상, 오직 가성비만 추구한다면 멀티팩을 마다할 이유가 없겠죠. 국내 AMD CPU 시장에서 벌크나 해외 직구품이 발을 붙이기 어려운 이유도 여기에 있습니다. AMD가 A/S를 해 주는 멀티팩이 있으니까요. 

 

3.jpg

 

레이스 스텔스 쿨러를 제공하는 멀티팩

 

멀티팩에서 제공하는 쿨러는 레이스 스텔스입니다. 번들 쿨러답게 작은 알루미늄 히트싱크와 쿨링팬을 붙인 간단한 구성의 쿨러죠. 인텔 번들 쿨러보다는 히트싱크 면적이 더 크니까 그만큼 성능이 더 나을테고, 라이젠 5000 시리즈가 11세대 코어 프로세서보다는 발열이 낮으니 이런 번들 쿨러도 쓸만하다고 주장하고 싶으나, 그래봤자 저렴한 번들 쿨러라는 점은 변함하지 않습니다. 간단한 작업만 하거나 소음에 둔감한 환경이라면 이걸로도 충분하지만, 경쟁 회사의 최상위 모델을 씹어먹는 라이젠 5 5600의 제 성능은 쾌적하게 발휘하겠다면 이걸론 조금 부족한 감이 있는 게 사실입니다. 그래서 멀티팩 모델을 사면서 쿨러는 따로 구입해 장착하는 유저들도 꽤 있지요. 라이젠 5 5600X 멀티팩의 가성비가 아무리 좋다고는 해도, 쿨러 추가 구입이 돈 나가는 일임에는 분명합니다. 

 

4.jpg

 

AMD 정품 쿨러 중 가장 높은 성능과 RGB LED까지 제공하는 레이스 프리즘 

 

그런 라이젠 5 5600X의 가성비가 한층 더 올랐습니다. 이번에 출시된 라이젠 5 5600X 프리즘팩을 통해서입니다. 정품 A/S 제공과 박스가 없다는 점은 멀티팩과 같지만 쿨러를 레이스 스파이어에서 레이스 프리즘으로 바꾼 모델이지요. 레이스 프리즘은 AMD가 CPU와 함께 제공하는 '번들' 쿨러긴 하지만, 여느 번들 쿨러와 동급에 놓고 비교하기엔 과분한 녀석입니다. 일단 히트싱크의 면적이 한층 더 크고, 거기에 4개의 구리 히트파이프를 넣어 열 전달 효율을 높였거든요. 그뿐만이 아닙니다. 쿨링팬에는 RGB LED를 넣고 메인보드나 AMD 유틸리티를 통해 LED 설정도 가능합니다. 성능부터 튜닝까지 모두 확보한 이 쿨러를 단순한 번들 쿨러 취급하면 안 되겠죠. 사제 쿨러도 RGB LED 달리고 성능 쓸만한 걸 사려면 최소 2만원 정도는 쓸 각오를 해야 합니다. 그리고 지극히 개인적인 취향이지만, 그 가격대의 사제 쿨러들은 레이스 프리즘만큼 이쁘지가 않습니다. 

 

5.jpg

 

6.jpg

 

6-1.jpg

 

여느 번들 쿨러보다 더 넓은 면적의 히트싱크, 4개의 구리 히트파이프, RGB LED 쿨링팬으로 구성된 레이스 프리즘 쿨러


라이젠 5 5600X 멀티팩은 현 시점에서 최고의 가성비를 자랑하는 CPU입니다. 여기에 레이스 프리즘 쿨러를 더하면서 더 높은 성능과 조용한 작동 환경, RGB LED 튜닝까지 더 쉽게 누릴 수 있게 됐습니다. 바꿔 말하면 가성비가 더욱 높아졌다는 소리죠. 이보다 성능이 훨씬 뒤쳐지는 코어 i5-11400에 튜닝 기분을 내겠다고 사제 쿨러를 다느니, 그 돈이면 레이스 프리즘 쿨러를 번들 제공하는 라이젠 5 5600X가 훨씬 더 낫다는 결론이 나옵니다. 가격 책정이야 판매처마다 다르겠지만, 어떤 곳에서는 레이스 프리즘팩을 일반 멀티팩 모델과 똑같은 가격에 판매하는 곳도 있네요. 이러면 레이스 프리즘팩의 가성비는 더 높아지겠죠. 유럽 시장에서는 라이젠 5 5600X에 레이스 프리즘을 붙인 구성을 훨씬 더 비싸게 파는데, 유독 한국 시장이 싼 편입니다. 

 

7.jpg

 

라이젠 5 5600X가 시장을 지배하는 이런 분위기는 앞으로도 한 동안은 계속될 겁니다. 새 제품이 나오거나 가격이 급격히 변해야 상황이 달라질텐데요. 인텔의 경우 13세대 알더레이크 프로세서가 올해 말에 나올 예정입니다. 그 성능과 관련된 소문이 전부 사실이라고 쳐도 이제 겨우 라이젠 5000 시리즈와 발을 맞춘 수준이죠. 또 하이브리드 아키텍처라는 특수한 구조 때문에 윈도우 11의 최적화가 필수입니다. 게임이나 기존 프로그램에서도 제 성능을 발휘할 수 있을런지 불안한 시선 역시 이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여기까지 보면 굳이 불확실한 신제품을 더 기다리는 모험을 할 필요가 전혀 없어 보이기도 합니다.

 

한편으로는 반도체 부족 현상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내년까지도 반도체 공급이 부족하다는 예측이 파다하지요. 멀리 갈 것도 없이 전세계 1위 파운드리 업체인 TSMC가 내년부터 모든 공정의 단가를 20% 올리겠다고 선언하기도 했습니다. TSMC 공정을 사용하는 회사들은 당연하고, 전체 반도체 업계의 분위기가 흔들릴 수밖에 없지요. 라이젠 5000 시리즈 생산에 TSMC와 글로벌 파운드리의 제조 공정을 모두 활용하는 AMD 입장에서도 가격을 억누르기란 쉽지 않아 보입니다. AMD가 CPU 가격을 올리겠다고 정식 발표하진 않았지만, 최소한 지금보다 더 떨어질 거란 기대는 일찌감치 접는 게 맞을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최악의 경우 가격이 오를거고, 그렇지 않더라도 지금보다 가격이 더 떨어지길 기대하기란 어렵다는 결론이 나오네요. 라이젠 5 5600X 멀티팩의 가성비가 가장 높은 시기가 바로 지금이라는 소리이기도 합니다. 성능과 가격이 같다면 조금이라도 일찍 사서 더 오래 쓸수록 이득이니까요. 라이젠 5 5600X에 단촐한 번들 쿨러로 부족함을 느끼지만, 일체형 수랭 쿨러를 따로 사서 붙이는 수고까지 감당하고 싶지 않다면 레이스 프리즘 쿨러 번들은 분명 매력적이 선택이 될 것입니다. 그리고 레이스 프리즘팩의 구입을 서둘러야 할 이유는 또 있습니다. 이 조합은 상시 판매가 아니라 한정 수량만 판매하는 것이거든요. 같은 가격에 더 좋은 성능의 쿨러를 쓰거나 레이스 프리즘 쿨러를 수집하고 싶었다면, 느긋하게 고민할 시간은 없습니다. 

 

<저작권자(c) 기글하드웨어(https://gigglehd.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글하드웨어 인기글

Keydous NJ80 후기 입니다.
프로게이머용 모니터는 뭐가 다른가? MSI 오큘러스 NXG253R 게이밍 360 지싱크 RGB
주간뉴스 8/29 - 젠4 내장 그래픽, 970 EVO+ 스펙 변경, 핫 칩스 2021, TSMC 가격 인상, 애플 외부결제 허용...
35주년 기념 한정판, MSI 황금 용용이 피규어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최신 벤치마크 전체 둘러보기
1/1
RTX 5080과 함께 성큼 다가온 온디바이스 AI, MSI 스텔스 18 HX AI로 창작의 경계를 넘다 (5) 다나와
레데리2 아직도 고사양게임일까? 1060으로 '가능' 동영상 있음 다나와
레데리2는 더이상 고사양 게임이 아니었습니다 [중간계PC : 60원정대 레데리2편] (9) 동영상 있음 다나와
엄마, 우리집 컴퓨터로 인조이(inZOI) 할 수 있어? [중간계PC 60원정대 : 인조이 편] (4) 동영상 있음 다나와
쿨엔조이 Nvidia GeForce RTX 5060 Ti 16GB 벤치마크 (2) 쿨엔조이
게이밍 시스템의 기반이 될 수 있을까? Intel Core Ultra 5 225F 벤치마크 (4) 쿨엔조이
삼성전자 갤럭시북5 프로H NT965XHW-A71AR | 다나와 AI 벤치마크 랩 (7) 다나와
ASUS 젠북 A14 UX3407QA-SB284W | 다나와 AI 벤치마크 랩 (6) 다나와
게임 끝판왕 vs 게임 + 작업 끝판왕, 라이젠 7 9800X3D vs 라이젠 9 9950X3D 선택은? (5) 블루프레임
삼성전자 갤럭시북5 프로 NT940XHA-K51A | 다나와 AI 벤치마크 랩 (3) 다나와
당신은 훈타가 될 준비가 되었는가? 인텔 코어 울트라 7 265K로 알아보는 몬스터 헌터 와일즈 (2) 쿨엔조이
신입 헌터를 위한 편의성 강화, 몬스터 헌터 와일즈 VGA 4종 성능 비교 (10) 보드나라
쿨엔조이 AMD Ryzen 9 9950X3D 프로세서 벤치마크 (10) 쿨엔조이
쿨엔조이 Nvidia GeForce RTX 5070 12GB 벤치마크 (4) 쿨엔조이
쿨엔조이 AMD Radeon RX 9070 XT & 9070 벤치마크 (4) 쿨엔조이
판도를 뒤집을 게임 체인저의 등장 'AMD 라데온 RX9070 XT / RX9070' (67) 미디어픽
[쇼핑+] B850·B840 M-ATX 메인보드 삼파전, 애즈락 vs 에이수스 vs 기가바이트 (3) 위클리포스트
쿨엔조이 NVIDIA GeForce RTX 5070 Ti 16GB 벤치마크 (4) 쿨엔조이
[4K VGA Benchmark] PALIT GeForce RTX 5080 GAMEROCK OC D7 16GB 이엠텍 (2) 동영상 있음 다나와
[4K VGA Benchmark] MSI GeForce RTX 5080 VANGUARD SOC D7 16GB 하이퍼프로져 동영상 있음 다나와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