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디아2 레저렉션에 마크 RTX까지. 인기 게임별 추천 MSI 지포스 RTX 30 시리즈 그래픽카드

2021.10.08. 09:18:22
조회 수
8,566
7
댓글 수
10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1.JPG

 

원하는 그래픽카드를 아주 싸진 않아도 그럭저럭 비싼 가격에 사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지금은 전혀 그렇지 않지요. 그래픽카드 가격이 올랐을 뿐만 아니라 구하기까지 힘듭니다. 물론 이런 상황에서도 오직 게임을 위해 큰 지출을 감당하는 게이머들은 여전히 있습니다. 하지만 예전과는 다르게 실패할 여유가 없습니다. 전에는 그래픽카드를 사서 스펙이 너무 과하다고 느껴지면 팔고 아래 등급으로 갈아타고, 성능이 부족하다 싶으면 역시 정리하고 더 좋은 걸로 업그레이드해도 됐었죠. 조금 귀찮지만요.

 

지금은 그게 힘들어졌습니다. 귀하신 그래픽카드를 팔았다가 원하는 물건을 구하지 못할 수도 있고, 가상화폐 시세가 앞으로 어떻게 될지 가늠하기가 힘들다보니 시세도 참 유동적입니다. 그래픽카드 성능이 남아 돌아도 다운그레이드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지금 팔면 나중에 다시 사기가 힘드니까요. 그래서 이제는 전처럼 일단 지르고 나중에 생각한다는 무지성 구매보다는, 그래픽카드를 사기 전에 자신이 하는 게임과 조건에서 필요로 하는 성능이 어느 정도인지를 파악하는 쪽이 현명한 선택이겠죠. 

 

그 방법은 간단합니다. 요새 인기있는 게임에서 테스트를 해 보면 됩니다. 이런 글은 전에도 올렸던 적이 있습니다. [콜옵 워존까지. 인기 게임별 추천 MSI 지포스 슈퍼 그래픽카드 https://gigglehd.com/gg/6848861 ] 하지만 지금은 저때와는 상황이 많이 달라졌습니다. 그래픽카드는 지포스 RTX 30 시리즈로 물갈이됐고, 사람들이 즐겨하는 게임에도 변화가 있었습니다. 바뀌지 않은 거라면 코로나가 여전히 기승을 부리고 있다는 것 뿐일까요. 그래서 지금 상황에 맞춰 다시 테스트할 필요가 있습니다.  

 

3.JPG

우선 그래픽카드를 정해 봅시다. 최신 모델이자 시장의 주력 모델이라고도 할 수 있는 NVIDIA 지포스 RTX 30 시리즈의 경우 가장 위로는 지포스 RTX 3090부터 시작해서 가장 아래에는 지포스 RTX 3060이 있습니다. 어떤 그래픽카드던 비싸다는 소리를 피할 수가 없는 상황이지만, 그 중에서도 3090은 특별히 더 비싼데다 구하기도 쉽지 않을테니 넘어가고요. 지포스 RTX 3080 Ti 정도면 여전히 비싸긴 하지만 그나마 조금은 더 현실적인 플래그쉽 모델이라 할 수 있을 겁니다. 그러니 이걸 하나 넣고요.

 

그 아래로는 선택지가 넓어지는데, 플래그쉽을 하나 넣었으니 하이엔드 중에서 적당히 하나를 골라 봅시다. 3080 Ti가 있으니 3080은 좀 겹치는 감이 있고, 그러니 3070 Ti를 넣었습니다. 3070 Ti는 지포스 RTX 30 시리즈 그래픽카드 중에서 최신 모델이라는 상징성도 갖고 있지요. 그리고 가장 아래에는 지포스 RTX 30 시리즈의 막내에 해당하는 3060을 넣어 테스트하기로 했습니다. 이러면 플래그쉽, 하이엔드, 메인스트림에서 각각 하나씩 뽑았으니 다양한 시장을 반영한 결과라 해도 되겠지요? 

 

 

 

2.JPG

 

 

 

그 다음은 세부 모델의 결정입니다. 똑같은 GPU여도 플래그쉽부터 보급형까지 다양한 제품군의 그래픽카드가 존재하지만, 지금처럼 그래픽카드를 구하기 힘든 때에 최신 그래픽카드를 사는 결단을 내린다면 보통 사람은 아니고 진짜 게이머겠지요. 그리고 그런 종류의 사람들이 어지간한 보급형 모델에 만족할 리가 없습니다. 또 기왕 큰 돈을 쓰는거 좀 더 보태서 고급형 모델을 선택할 가능성도 높고요. 그래서 MSI의 그래픽카드 제품군 중에서도 하이엔드 시리즈 위주로 테스트를 진행했습니다. 

 

 

MSI의 하이엔드 그래픽카드를 꼽는다면 가장 먼저 게이밍 시리즈를 이야기하지 않을 수가 없습니다. MSI 게이밍 시리즈는 최고라는 수식어가 아깝지 않은 고성능 쿨러와 독자적인 기판 설계를 통해, 더욱 높은 게임 성능과 조용한 게임 환경을 안정적으로 제공한다는 평가를 오랫동안 쌓아 온 제품군입니다. 지포스 RTX 30 시리즈 GPU를 탑재한 최신 세대에서는 더욱 까다로워진 GPU의 수요에 맞춰 하이엔드 GPU에는 트라이프로져2, 메인스트림에는 트윈프로져8로 발전한 쿨러를 장착했습니다. 

 

또 지포스 RTX 30 시리즈에서 MSI는 하이엔드 모델을 하나 더 늘렸습니다. MSI의 플래그쉽이라면 누가 뭐래도 라이트닝이지만, 그건 극히 일부의 GPU만 골라 소량 제작하는 한정판이자 오버클럭 특화 모델에 가깝고요. 게이머들이 부담없이 선택할만한 모델은 아닙니다. 그래서 게이밍 시리즈에서 인정받은 기본기를 토대로 최고의 성능을 내도록 튜닝하고, 거기에 고급스러운 디자인과 우수한 만듬새를 더한 슈프림 시리즈를 게이밍 시리즈보다 더 높은 등급으로 매겨 출시하고 있습니다. 

 

 

테스트 환경

 

4.JPG

 

테스트에 사용한 그래픽카드 라인업은 이렇습니다.

 

5.png

 

MSI 지포스 RTX 3080 Ti 슈프림 X D6X 12GB 트라이프로져2S https://gigglehd.com/gg/10215298

 

6.png

 

MSI 지포스 RTX 3070 Ti 슈프림 X D6X 8GB 트라이프로져2S https://gigglehd.com/gg/10840159

 

7.png

 

MSI 지포스 RTX 3060 게이밍X 12G 트윈프로져8 https://gigglehd.com/gg/9534021

 

8.png

 

테스트에 사용한 시스템 환경은 이렇습니다. 

CPU: AMD 라이젠 7 5900X https://gigglehd.com/gg/8612109 

쿨러: BYKSKI B-FRD 360 RBW https://gigglehd.com/gg/5761047 

메인보드: MSI MEG B550 유니파이 https://gigglehd.com/gg/9497905

메모리: DDR4-3200 16GB 듀얼채널

운영체제: 윈도우 10 20H2  

스토리지: SATA 6Gbps SSD 2개(윈도우 설치, 게임 파일 저장)

드라이버: NVIDIA 472.12 DCH 

 

9.JPG

 

테스트한 게임은 다음과 같습니다. 

디아블로2 레저렉션

로스트아크

마인크래프트

배틀그라운드

레드 데드 리뎀션 2

 

어떤 결과가 나왔는지는 게임별로 나눠 보시겠습니다.

 

 

디아블로2 레저렉션

 

10.jpg

 

왕년에 디아블로 2 좀 했습니다. 그냥 한 것도 아니고 계정 3개를 동시에 봇까지 돌려가면서 하루 종일 컴퓨터를 끄지 않고 그것만 쳐다보다가 학교도 말아먹고 이래저래 사고도 쳤는데, 여전히 정신을 못 차리고 몇 년 전부터 다시 시작했네요. 그보다 더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면 디아블로 1도 정품으로 사서 했었고요. 3은... 넘어갑시다. 하여간 이 정도로 심각한 디아블로 팬이지만 디아블로2 레저렉션이 이렇게 흥할거라고는 감히 상상도 하지 못했습니다. 옛날 구닥다리 게임 그대로 아무런 밸런스 패치도 없이 그래픽만 새로 만든 게 인기가 있을거라고 생각지도 못했는데, 어느새 PC방 인기 순위 2위까지 올라왔네요. 

 

디아블로 2 레저렉션은 단순히 오래된 게임을 다시 그려낸 게임이 아닙니다. 블리자드가 디아블로 2의 소스를 상당 부분 잃어버리고 처음부터 새로 만들다시피해서 그런가, 요구하는 하드웨어 스펙이 생각만큼 낮지 않습니다. 물론 지포스 RTX 3060 정도만 있으면 가장 높은 그래픽 설정을 풀 HD 해상도에서 소화해 낼 수는 있습니다. 하지만 4K 수준의 높은 해상도에서 60프레임 사수는 쉽지 않습니다. 그래픽 옵션의 경우 어떤 프리셋으로 설정하건 텍스처 품질은 '높음'으로 유지되기에 그래픽의 변화를 알아차리기가 쉽진 않았습니다. 그래도 그림자나 특수 효과, 그리고 프레임에 미치는 영향은 작지 않습니다.

 

11.jpg

 

아주 높음

 

12.jpg

 

높음

 

13.jpg

 

중간

 

14.jpg

 

낮음

 

MSI 지포스 RTX 3080 Ti 슈프림 X D6X 12GB 트라이프로져2S  

아주 높음으로 해도 4K 해상도에서 최저 99.7fps, 평균 128.3fps가 나왔습니다. 고해상도에 높은 리프레시율을 더한 게이밍 모니터에서 최저 프레임을 맞추겠다는 목표를 갖고 있지 않는 이상, 이 그래픽카드에서 디아블로 2 레저렉션을 플레이하기 위해 옵션 타협은 할 필요가 없습니다. 

 

15.png

 

아주 높음

 

16.png

 

높음

 

17.png

 

중간

 

18.png

 

낮음

 

MSI 지포스 RTX 3070 Ti 슈프림 X D6X 8GB 트라이프로져2S 

아주 높음 설정에서 4K 해상도 60프레임 사수는 가능합니다. 풀 HD 해상도의 경우 200fps 가까이 뽑아줍니다. 높은 해상도나 높은 리프레시율 둘 중 하나만 필요하다면 디아블로 2 레저렉션을 위해 3080 Ti까지는 필요 없고 3070 Ti로도 충분해 보입니다. 

 

19.png

 

아주 높음

 

20.png

 

높음

 

21.png

 

중간

 

22.png

 

낮음

 

MSI 지포스 RTX 3060 게이밍X 12G 트윈프로져8

4K 해상도에서 60fps를 지키겠다면 옵션을 낮음으로 낮추면 됩니다. 게임 특성상 낮음 옵션에서도 캐릭터 그래픽은 큰 차이가 없으니까 그걸로도 충분히 플레이할 수 있습니다. 아주 높음 조건에서도 풀 HD 해상도라면 평균 111.5fps, 최저 93.1fps가 나오니 해상도만 높지 않다면 3060으로도 문제 없습니다.

 

23.png

 

아주 높음

 

24.png

 

높음

 

25.png

 

중간

 

26.png

 

낮음

 

 

 

 

로스트아크

 

27.jpg

 

출시 초기에 인기를 끌긴 했지만 그래도 벤치마크에 넣을 정도까진 아니었다고 생각했는데, 메이플 스토리와 마비노기, 리니지 M이 연이어서 헛발질을 한데 비해, 로스트아크는 나름대로 잘 운영하다보니 게이머들이 전부 이쪽으로 몰리는 사태가 벌어지면서 PC방 인기 순위 5위라는 기록까지 세웠습니다. 3N이라 불리는 다른 대형 게임 개발사들이 그 후에 내놓은 것들의 꼬라지를 보아하니, 앞으로도 당분간은 로스트아크의 강세가 계속해서 이어질 것 같네요. 그러면 벤치마크에 넣어야죠.  

 

다만 국산 게임답게 겉으로 보이는 그래픽을 화려할지 몰라도 그 최적화나 화질 설정에 따른 변화는 썩 매끄럽지 못합니다. 우선 수직 동기화가 강제로 걸려 있어 따로 설정하지 않는 이상 무조건 60fps로만 게임을 플레이해야 합니다. 이걸 풀어내고 게임을 하면 최고 프레임과 최저 프레임의 차이가 상당히 크다는 걸 발견할 수 있는데, 이것 때문에 수직 동기화를 강제로 걸어둔게 아닌가 생각됩니다. 그리고 어떤 그래픽카드건 프레임이 300fps 이상 올라가지 못했다는 것도 주목할만한 점입니다. 최고 프레임에 제한이 걸려 있으니, 굳이 필요 이상으로 그래픽 옵션을 낮춰서 플레이할 필요는 없어 보입니다.

 

28.png

 

NVIDIA 제어판의 3D 설정 관리에서 로스트아크의 클라이언트 실행 파일을 찾아 삼중 버퍼링과 수직 동기를 수동으로 끄면 60fps 제한이 풀립니다. 

 

29.jpg

 

최상

 

30.jpg

 

 

31.jpg

 

 

32.jpg

 

 

MSI 지포스 RTX 3080 Ti 슈프림 X D6X 12GB 트라이프로져2S  

게임 특성상 최저 프레임이 많이 튀긴 하지만, 최상 옵션으로 4K 해상도에서 실행해도 평균 171.5fps가 나옵니다. 고해상도 게이밍 모니터의 모든 스펙을 활용하고 싶다면 지포스 RTX 3080 Ti가 필요합니다. 로스트아크의 요구 스펙이 결코 낮지 않네요.

 

33.png

 

최상

 

34.png

 

 

35.png

 

 

36.png

 

 

 

MSI 지포스 RTX 3070 Ti 슈프림 X D6X 8GB 트라이프로져2S 

3080 Ti만큼은 아니지만 그래도 여유있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필요한 해상도나 리프레시율에 따라서는 지포스 RTX 3070 Ti로도 충분한 플레이가 가능할 것입니다. 

 

37.png

 

최상

 

38.png

 

 

39.png

 

 

40.png

 

 

 

MSI 지포스 RTX 3060 게이밍X 12G 트윈프로져8

풀 HD 해상도에서는 최상 옵션으로도 지포스 RTX 3060은 날아다닙니다. 2560x1440 해상도의 144Hz 게이밍 모니터도 3060이면 가능해 보입니다. 높은 프레임을 고집하지만 않는다면 4K 해상도도 플레이할 수 있습니다. 

 

41.png

 

최상

 

42.png

 

 

43.png

 

 

44.png

 

 

 

마인크래프트

 

45.jpg

 

마인크래프트만큼 테스트하기 까다로운 게임도 없습니다. 우선 윈도우 10 버전과 자바 에디션이 따로 나뉘어졌고, 어떤 쉐이더를 쓰고 얼마나 많은 오브젝트를 불러왔느냐에 따라서 게임 성능도 천차만별입니다. 그래서 일단은 무료 체험판이 있는 자바 에디션에 기본 제공하는 맵에서 테스트를 진행해 보았습니다.

 

46.jpg

 

마인크래프트는 그래픽과 특수 효과 설정이 있으며, 테스트 역시 그 종류별로 다 진행했지만 여기에선 가장 높은 조건만 올립니다. 기본 맵에 불러온 오브젝트나 특수 효과가 많지 않아서 그런가, 프레임이 크게 차이나지 않았거든요. 최저와 평균 프레임 사이의 차이는 매우 컸지만, 모든 그래픽카드에서 이미 충분히 높은 최저 프레임이 나왔기에 이걸 굳이 이야기할 필요는 없어 보입니다.

 

MSI 지포스 RTX 3080 Ti 슈프림 X D6X 12GB 트라이프로져2S  

 

47.png

 

MSI 지포스 RTX 3070 Ti 슈프림 X D6X 8GB 트라이프로져2S 

 

48.png

 

MSI 지포스 RTX 3060 게이밍X 12G 트윈프로져8

 

49.png

 

어떤 그래픽카드를 써도 마인크래프트는 문제 없습니다. 3060만 4K 해상도에서 평균 프레임이 300대로 떨어지긴 했으나, 메모리 용량과 대역폭을 생각하면 이상할 게 없는 결과이며 300fps만 해도 이미 충분히 높은 결과입니다. 마인크래프트의 출시 연도를 생각하면 이런 결과가 이상해 보이진 않으나, 이게 과연 요새 게이머들이 즐겨하는 마인크래프트의 결과를 반영한게 맞냐고 물어본다면? 그건 아니죠.

 

그래서 마인크래프트 윈도우 10 에디션, 정식 명칭으로는 베드락 에디션을 구입하고, 거기에 레이 트레이싱 특수 효과가 적용된 맵을 불러와서 테스트했습니다. 베드락 에디션의 경우 해상도나 그래픽 프리셋을 따로 설정하는 옵션을 찾지 못해, 렌더링의 적용 범위를 조절해가며 테스트를 진행했습니다. 

 

50.jpg

 

렌더링 24청크

 

51.jpg

 

렌더링 16청크

 

52.jpg

 

렌더링 8청크 

 

MSI 지포스 RTX 3080 Ti 슈프림 X D6X 12GB 트라이프로져2S  

 

53.png

 

MSI 지포스 RTX 3070 Ti 슈프림 X D6X 8GB 트라이프로져2S 

 

54.png

 

MSI 지포스 RTX 3060 게이밍X 12G 트윈프로져8

 

55.png

 

마인크래프트에서 레이트레이싱을 본격적으로 쓰려면 지포스 RTX 3080 Ti 정도는 있어야 하고, 해상도를 낮춘다면 3070 Ti로도 문제는 없어 보입니다. 3060으로는 마인크래프트에 레이 트레이싱을 적용 시 60프레임 이상을 유지하는 건 불가능합니다. 레이트레이싱이 적용된 그래픽을 원활하게 보고 싶다면 하이엔드 이상 그래픽카드가 필요해 보입니다. 

 

 

배틀그라운드

 

56.png

 

배틀그라운드? 그거 언제적 게임이냐? 이렇게 물으실 분은 없겠죠? 비록 출시된지는 시간이 꽤 지났고 출시 초기의 압도적인 기세는 다시 보여주지 못하고 있으나, 꾸준한 업데이트로 변화하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나름대로 순위권을 지키고 있습니다. 게임을 꾸준히 하는 팬층에는 변함이 없다는 소리죠. 한편으로는 넓은 맵과 많은 수의 오브젝트, 빠른 화면 전환이 어우러진 게임 특성상, 갈수록 더 높은 프레임을 찾게 되니 벤치마크가 매우 중요한데, 업데이트가 나올 때마다 기존의 다시보기 파일을 재활용할 수 없어 매번 벤치마크를 다시 해야하니 무조건 벤치마크를 새로 할 수밖에 없는 게임이기도 하지요.  

 

57.jpg

 

울트라

 

58.jpg

 

높음

 

59.jpg

 

중간

 

60.jpg

 

낮음

 

61.jpg

 

매우 낮음

 

 

 

 

MSI 지포스 RTX 3080 Ti 슈프림 X D6X 12GB 트라이프로져2S  

지포스 RTX 3080 Ti에선 울트라 화질에 4K 해상도 기준 최저 142fps가 나옵니다. 3080 Ti라면 어떤 해상도나 리프레시율이건 만족할 수 있으리라 보입니다. 

 

62.png

 

울트라

 

63.png

 

높음

 

64.png

 

중간

 

65.png

 

낮음

 

66.png

 

매우 낮음

 

MSI 지포스 RTX 3070 Ti 슈프림 X D6X 8GB 트라이프로져2S 

옵션을 타협하면 4K 해상도에서도 최저 144fps 이상은 어렵지 않게 유지 가능합니다. 그보다 더 낮은 해상도는 말할 것도 없고요. 3070 Ti에서도 4K 해상도 욕심을 내는 게 지나치진 않을 겁니다. 

 

67.png

 

울트라

 

68.png

 

높음

 

69.png

 

중간

 

70.png

 

낮음

 

71.png

 

매우 낮음

 

MSI 지포스 RTX 3060 게이밍X 12G 트윈프로져8

4K 해상도와 울트라 옵션을 유지한채로 평균 60fps 이상이 나왔습니다. 풀 HD 해상도에서는 최저 162fps를 기록했습니다. 풀 HD 정도의 저해상도에서는 3060으로도 부족함이 없으며, 프레임 욕심을 크게 내지 않는다면 4K 해상도도 감당 가능한 그래픽카드입니다. 

 

72.png

 

울트라

 

73.png

 

높음

 

74.png

 

중간

 

75.png

 

낮음

 

76.png

 

매우 낮음

 

 

레드 데드 리뎀션 2

 

77.jpg

 

레드 데드 리뎀션 2도 출시된지 상당히 오래된 게임입니다. 그러나 높은 자유도와 방대한 맵, 그리고 뛰어난 재미로 여전히 인기가 있는 게임이며, 한편으로는 여전히 높은 스펙이 필요한 게임이기도 합니다. FXAA, MSAA 같은 옵션을 전부 활용하면 어지간한 메인스트림 그래픽카드는 4K 해상도를 실행하지도 못합니다. 이 게임은 그래픽 화질 설정 프리셋을 제공하지만, 옵션을 바꿀 때마다 다른 값이 바뀌는 락스타 게임 종특을 피해가지 못합니다. 그래서 모든 옵션은 수동으로 설정해 테스트했습니다. FXAA, MSAA, DLSS는 끄고 AF는 16x로 고정, 나머지 옵션을 단계별로 직접 설정해 내장 벤치마크를 실행했습니다.

 

내장 벤치마크에서는 0.1% Low가 아니라 최저 프레임을 표기하기에 여기에선 그 값을 그대로 썼습니다. 그리고 로스트 아크처럼 최저 프레임의 변동폭이 상당히 큰 편이며, 실행할 때마다 최저 프레임의 값이 크게 변하는 편이니 평균 프레임 위주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78.jpg

 

매우 높음

 

79.jpg

 

높음

 

80.jpg

 

보통

 

81.jpg

 

낮음

 

 

MSI 지포스 RTX 3080 Ti 슈프림 X D6X 12GB 트라이프로져2S  

매우 높음에서도 4K 해상도 평균 60fps 이상을 유지하는 유일한 그래픽카드입니다. 4K 해상도를 최고의 그래픽으로 원할하게 플레이하길 원한다면 3080 Ti에서 타협하긴 어려울 듯 합니다.

 

82.png

 

매우 높음

 

83.png

 

높음

 

84.png

 

보통

 

85.png

 

낮음

 

MSI 지포스 RTX 3070 Ti 슈프림 X D6X 8GB 트라이프로져2S 

이보다 더 비싼 그래픽카드도 4K 해상도에서 최고 옵션으로 최저 프레임 60fps를 사수하진 못합니다. 그렇다면 3070 Ti로 낮춰고 타협해가며 게임을 해도 되지 않을까요? 옵션을 보통으로 낮추면 4K에서 최소 60fps 이상이 나오지만, 게임 특성상 그래픽의 차이는 큰 편입니다. 

 

86.png

 

매우 높음

 

87.png

높음

 

88.png

 

보통

 

89.png

 

낮음

 

MSI 지포스 RTX 3060 게이밍X 12G 트윈프로져8

매우 높음 옵션이라면 풀 HD의 높지 않은 해상도인데도 평균 60fps가 나오지 않습니다. 3060에서 안정적인 프레임을 우선해서 게임을 하고 싶다면 옵션을 적당히 낮출 필요가 있겠습니다. 

 

90.png

 

매우 높음

 

91.png

 

높음

 

92.png

 

보통

 

93.png

 

낮음

 

 

자신의 조건과 게임에 맞는 그래픽카드는?

 

마지가.JPG

 

게이머마다 사용하는 해상도가 다르고, 모니터의 리프레시율도 천차만별입니다. 60fps 이상이면 안정적인 플레이가 가능하다고들 하지만, 최저 프레임이 60fps 이하로 떨어지는 걸 못 견디는 사람이 있는 반면, 잠깐의 드랍은 참을만하다고 말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이처럼 사람마다 사용하는 조건과 원하는 수준이 다르니, 자신에게 맞는 설정이나 그래픽카드가 어떤 것인지는 직접 찾아봐야 합니다. 그럴 때 이 테스트 결과가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저작권자(c) 기글하드웨어(https://gigglehd.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글하드웨어 인기글

지포스 RTX 3090 Ti, 새로운 16핀 전원 커넥터를 사용?
28인치 4K 모니터 V28UE-M 하루 사용기
TPM 2.0 없이 윈도우 11을 설치하는 방법
AMD, 윈도우 11에서 자사 프로세서의 성능 하락에 대해 설명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관련 브랜드로그

1/1
최신 벤치마크 전체 둘러보기
1/1
RTX 5080과 함께 성큼 다가온 온디바이스 AI, MSI 스텔스 18 HX AI로 창작의 경계를 넘다 (1) 다나와
레데리2 아직도 고사양게임일까? 1060으로 '가능' 동영상 있음 다나와
레데리2는 더이상 고사양 게임이 아니었습니다 [중간계PC : 60원정대 레데리2편] (9) 동영상 있음 다나와
엄마, 우리집 컴퓨터로 인조이(inZOI) 할 수 있어? [중간계PC 60원정대 : 인조이 편] (4) 동영상 있음 다나와
쿨엔조이 Nvidia GeForce RTX 5060 Ti 16GB 벤치마크 (2) 쿨엔조이
게이밍 시스템의 기반이 될 수 있을까? Intel Core Ultra 5 225F 벤치마크 (4) 쿨엔조이
삼성전자 갤럭시북5 프로H NT965XHW-A71AR | 다나와 AI 벤치마크 랩 (7) 다나와
ASUS 젠북 A14 UX3407QA-SB284W | 다나와 AI 벤치마크 랩 (6) 다나와
게임 끝판왕 vs 게임 + 작업 끝판왕, 라이젠 7 9800X3D vs 라이젠 9 9950X3D 선택은? (5) 블루프레임
가성비 게이밍 태블릿 iPlay60mini 터보 vs 리전Y700 1세대 성능비교 결과 (1) 동영상 있음 딴트공 말방구 실험실
삼성전자 갤럭시북5 프로 NT940XHA-K51A | 다나와 AI 벤치마크 랩 (3) 다나와
당신은 훈타가 될 준비가 되었는가? 인텔 코어 울트라 7 265K로 알아보는 몬스터 헌터 와일즈 (2) 쿨엔조이
신입 헌터를 위한 편의성 강화, 몬스터 헌터 와일즈 VGA 4종 성능 비교 (10) 보드나라
쿨엔조이 AMD Ryzen 9 9950X3D 프로세서 벤치마크 (10) 쿨엔조이
쿨엔조이 Nvidia GeForce RTX 5070 12GB 벤치마크 (4) 쿨엔조이
쿨엔조이 AMD Radeon RX 9070 XT & 9070 벤치마크 (4) 쿨엔조이
판도를 뒤집을 게임 체인저의 등장 'AMD 라데온 RX9070 XT / RX9070' (67) 미디어픽
[쇼핑+] B850·B840 M-ATX 메인보드 삼파전, 애즈락 vs 에이수스 vs 기가바이트 (3) 위클리포스트
쿨엔조이 NVIDIA GeForce RTX 5070 Ti 16GB 벤치마크 (4) 쿨엔조이
[4K VGA Benchmark] PALIT GeForce RTX 5080 GAMEROCK OC D7 16GB 이엠텍 (2) 동영상 있음 다나와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