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용 그래픽카드와 전문가용 그래픽카드의 차이점은 무엇일까요? 우선 하드웨어는 거의 같습니다. 완전히 같다고 할 순 없고요. 거의 같습니다. 거의 같다고 말하는 이유는 다른 점이 없진 않기 때문입니다. 똑같은 칩을 써도 코어 수가 다르거나, 동급 GPU에 비해 메모리 용량을 더 늘려서 작업 환경을 좀 더 쾌적하게 해준다던가, 게임용 그래픽카드는 이제 2슬롯 쿨러에 2팬 구성은 기본이지만 작업용에서는 다소 시끄럽더라도 LP 타입이나 싱글 슬롯 제품이 여전히 나온다던가, 여기에 더해서 커스텀 버전이라는 게 사실상 없고 레퍼런스 디자인만 나온다던가 등등. 하지만 게임용과 전문가용 그래픽카드의 근원인 아키텍처는 같고, 사용하는 칩 역시 기본적으로 같다고 해도 틀린 말은 아닙니다. 그래서 두 제품의 하드웨어는 거의 같습니다.
그럼 전문가용 그래픽카드는 좀 특이하게 생긴 겉모습과 그럴싸한 이름으로 포장해서 비싼 가격을 받으려는 제조사의 상술이라고 해야 할까요? 그건 아닙니다. 하드웨어는 비슷할지 몰라도 소프트웨어는 다르거든요. 좀 더 정확히 말하면 그래픽카드의 소프트웨어인 드라이버에서 차이를 보여준다고 해도 되겠네요. 게임용 그래픽카드는 최신 게임의 성능 최적화에 주력하는 반면, 전문가용 그래픽카드의 최적화는 컨텐츠 제작 소프트웨어를 향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드라이버 차원에서 특별한 기능을 제공하기도 합니다. 또 지금 당장 높은 성능을 내는 것 보다는 안정적인 구동을 우선해서 튜닝하는 경향도 있습니다.
AMD는 전문가용 그래픽카드의 드라이버 최적화 작업을 꾸준히 하고 있습니다. 2022년 3분기에 새로 나온 AMD 소프트웨어 프로 에디션 22.Q3 드라이버의 경우 OpenGL을 사용하는 컨텐츠 크리레이션 애플리케이션에서 정말 기록적인 성능 향상을 보인 바 있습니다. https://community.amd.com/t5/radeon-pro-graphics/giant-leap-for-opengl-based-applications-amd-software-pro/ba-p/548001 10, 20%도 아니고 최고 몇 십%를 넘는 성능 향상폭을 보고 있자니 도대체 무슨 짓을 한 건가 생각이 드는데요. AMD는 이번 드라이버에서 OpenGL 드라이버를 처음부터 완전히 다시 설계했기에 높은 성능을 낼 수 있었다고 설명합니다.
이렇게 OpenGL을 사용하는 산업용 애플리케이션에서 라데온 프로 시리즈 그래픽카드의 경쟁력은 크게 올랐습니다. 몇몇 분야에서는 경쟁 상대보다 더 높은 성능을 제공하면서 시장의 구도가 바뀔만 하다는 평가도 나오고 있지요. 하지만 그 영향력에 비해 이 새로운 드라이버를 활용하는 사람들은 그리 많지 않아 보이는데요. 전문가용 그래픽카드를 위한 AMD 소프트웨어: 프로 에디션에서 업데이트된 것이니, 당연히 전문가용 그래픽카드인 라데온 프로 시리즈에서만 이번 드라이버를 쓸 수 있고 생각하는 분들이 많은 듯 합니다. 아닙니다. 게임용 그래픽카드인 라데온 시리즈에서도 프로 에디션 드라이버를 쓸 수 있습니다.
프로 에디션 드라이버를 게임용 그래픽카드에서 쓰기 위해 거창한 준비물이 필요한 것도 아닙니다. AMD 공식 홈페이지에서 그래픽카드 모델명을 고르고, 제공하는 드라이버 중에서 아드레날린 에디션이 아닌 프로 에디션을 설치하면 그걸로 끝입니다. 물론 게임용 그래픽카드에 프로 에디션 드라이버를 설치한다고 해서 라데온 프로 시리즈와 완전히 똑같은 성능과 기능을 제공하진 않을 겁니다. 그렇다면 비싼 라데온 프로 시리즈 그래픽카드를 따로 팔 이유가 없잖아요. 하지만 게임용 드라이버보다는 OpenGL을 사용하는 산업용 애플리케이션에 더욱 최적화된 모습을 보여준다고 기대해도 이상하진 않겠죠?
여기에선 일반 게임용 그래픽카드인 라데온 시리즈에 프로 에디션 드라이버를 설치해 쓸 수 있는지, 그리고 최신 버전인 22.Q3에서 얼마나 성능 향상이 있는지를 직접 테스트해 보았습니다.
테스트 환경입니다. 그래픽카드의 OpenGL 가속 성능을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니, 굳이 최신 CPU를 쓸 필요는 없겠지요.
AMD 라이젠 5 5800X https://gigglehd.com/gg/8612109
MSI MEG B550 유니파이 https://gigglehd.com/gg/9497905
BYKSKI B-FRD 360 RBW https://gigglehd.com/gg/5761047
DDR4-3600MHz 16GB 듀얼채널
윈도우 11
그래픽카드는 AMD 라데온 RX 6600 XT를 사용했습니다. https://gigglehd.com/gg/10672810 라데온 RX 6600 XT와 6650 XT는 일부 모델의 가격이 40만원 초반까지 내려와 가격 대 성능비가 더욱 높아졌습니다.
AMD 소프트웨어: 프로 에디션 22.Q2
AMD 소프트웨어: 프로 에디션 22.Q3
중요한 건 드라이버인데요. 새로운 OpenGL 드라이버를 쓰기 직전 모델인 프로 에디션 22.Q2와 새 드라이버를 적용한 모델인 22.Q3, 이렇게 2개를 가지고 테스트했습니다.
3D마크입니다. OpenGL이 아닌 다이렉트 X를 쓰는 3D 프로그램이라 그런가 큰 성능 차이는 없습니다. 파이어 스트라이크의 그래픽 스코어는 다소 오르긴 했습니다만.
블렌더의 GPU 렌더링 성능입니다. 이 프로그램도 OpenGL이 아닌 OpenCL을 사용하기에 성능 변화는 없습니다.
하지만 OpenGL을 사용하는 프로그램에서는 이야기가 달라집니다. 시네벤치 R15의 OpenGL 테스트에서 분명한 성능 향상을 보여주었습니다.
대표적인 OpenGL과 다이렉트 X 애플리케이션 성능 테스트인 SPECViewperf 2020입니다. 3dxmax의 경우 성능에 변화가 없었으나 다른 모든 테스트에서는 큰 폭의 성능 향상을 보여주었습니다.
SPECworkstaion 3.1.0입니다. SPECViewperf와 비슷한 항목도 있지만, 이쪽은 워크스테이션 성능을 테스트하는데 중점을 두고 설계된 벤치마크인데요. 여기에서도 몇몇 항목은 성능 변화가 없었지만, 이를 제외한 나머지 항목에서는 이게 과연 같은 그래픽카드가 맞는가 싶을 정도로 크게 발전했습니다.
다양한 플랫폼에서 여러 그래픽 API의 성능을 테스트하는 GFXBench 5.0입니다. 여러 API 중에서 이번 드라이버의 개선에 맞춰 OpenGL 테스트만 진행했는데, OpenGL을 할용하는 그래픽 성능 전반이 크게 올랐음을 알 수 있습니다.
SPECViewperf 2020, SPECworkstaion 3.1.0, GFXBench 5.0의 성능 변화를 정리했습니다. 똑같은 하드웨어에서 드라이버만 바뀌었을 뿐인데 이 정도로 성능이 바뀔 수 있다는 게 놀라울 따름입니다.
AMD는 최신 버전의 AMD 소프트웨어: 프로 에디션에서 OpenGL 드라이버를 완전히 새로 만들어 큰 폭의 성능 향상을 이루었습니다. OpenGL 그래픽 API를 사용하는 일부 산업용 애플리케이션에서는 경쟁 상대를 넘어서기도 하니, 라데온 프로 시리즈 그래픽카드를 사용 중이라면 최신 드라이버로 꼭 업데이트하기를 권장합니다.
뿐만 아니라 AMD는 전문가용 그래픽카드인 라데온 프로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더욱 대중적인 게임용 그래픽카드인 라데온 시리즈에서도 이 드라이버를 쓸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습니다. 라데온 프로 시리즈를 비롯한 전문가용 그래픽카드를 사기에는 다소 부담이 되거나, 전문가용 그래픽카드를 쓸 일이 많진 않지만 간혹 OpenGL 가속이 꼭 필요한 상황이라면, 라데온 그래픽카드에 최신 버전의 프로 에디션 드라이버를 조합해 더욱 높은 가격 대 성능비를 갖춘 시스템을 쓸 수 있을 겁니다.
<저작권자(c) 기글하드웨어(https://gigglehd.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글하드웨어 인기글
애플페이 전용 NFC 단말기 등장 |
일론 머스크: 트위터가 파산할 수 있다 |
최후의 옵테인, 인텔 P5810X가 조용히 출시 |
FTX, 파산 신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