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역으로 돌아갈 시간이 왔다. 3년 전 첫 시네마틱 트레일러가 공개된 후 지구상 거의 모든 게이머들의 관심을 받았던 디아블로4. 드디어 그 장대한 막이 오르기 전 얼리액세스가 지난 3월 18일 오전 1시부터 시작되었다. 그에 따라 게임 자체는 물론 게임을 구동시킬 수 있는 PC의 스펙과 각 사양별 FPS에 유저들의 이목이 주목되는 것은 자명한 사실. 이에 다나와는 FHD, QHD, UWQHD, UHD 해상도 별, 그리고 그래픽 카드 사양별로 디아블로4 게임 성능이 얼마나 구현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제품명 |
실시간 최저가 |
베이스 |
부스트 |
메모리 |
메모리 |
메모리 |
메모리 |
CUDA |
TDP |
길이 |
높이 |
이엠텍 지포스 RTX 4090 GAMEROCK D6X 24GB |
2235 |
2520 |
GDDR6X |
21000 |
24 |
384 |
16384 |
450 |
329.4 |
71.5 |
|
이엠텍 지포스 RTX 4080 GAMEROCK OC D6X 16GB |
2205 |
2640 |
GDDR6X |
22400 |
16 |
256 |
9728 |
340 |
329.4 |
71.5 |
|
이엠텍 지포스 RTX 4070 Ti GAMEROCK OC D6X 12GB |
2310 |
2760 |
GDDR6X |
21000 |
12 |
192 |
7680 |
285 |
328.9 |
63.4 |
|
이엠텍 지포스 RTX 3060 Ti STORM X Dual OC D6 8GB |
- |
1695 |
GDDR6 |
14000 |
8 |
256 |
4864 |
200 |
247 |
40 |
|
이엠텍 지포스 RTX 3060 STORM X Dual OC D6 12GB |
- |
1837 |
GDDR6 |
15000 |
12 |
192 |
3584 |
180 |
245 |
40 |
그래픽카드는 모두 이엠텍 제품으로 준비했다. RTX 40 시리즈는 모두 GAMEROCK 라인업으로 해당 스펙은 위 표와 같다. 아직 RTX 40 시리즈보다 RTX 3060 , 3060 Ti의 시장 점유율이 월등히 높은 관계로 이번 디아블로4 얼리액세스 테스트에 동원했음을 밝힌다. 그 외 RTX 3070과 3080 시리즈는 단종 수순을 밟고 있어 입수가 불가능했다. 또한, 이번 얼리액세스 서비스에는 Ray-Tracing 기능이 생략되어 본의 아니게 그래픽카드의 소위 '깡성능'만을 테스트하게 되었다. 그래픽카드 이외의 PC 부품은 아래에 자세히 소개한다.
|
AMD 라이젠7-5세대 7700X (라파엘) (정품) 398,640원 |
AMD 라이젠7-5세대 7700X은 5nm 공정으로 제작된 코어 8개를 탑재한 CPU다. 작동 시 쓰레드가 16개로 인식되어 멀티 코어를 기반으로 하는 게임, 각종 크리에이션 프로그램에서 진가를 나타낸다. 기본 클럭은 4.5GHz이지만 부스트 시 최대 5.4GHz까지 올라간다. 여기에 32MB L3 캐시를 탑재해 뛰어난 컴퓨팅 성능을 보여주고, 최대 5200MHz DDR5 메모리를 지원한다. PCIe 5.0 인터페이스를 사용할 수 있어, 차세대 그래픽카드와 SSD를 빠른 속도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도 특징이다.
|
GIGABYTE B650 AORUS ELITE 피씨디렉트 308,990원 |
AMD AM5 소켓을 지원하는 GIGABYTE B650 AORUS ELITE 피씨디렉트 메인보드는 ATX 규격으로 다양한 활용도을 자랑한다. 전원부는 14+2+1 페이즈 구성으로 구성능 CPU를 안정적으로 운영하며 최대 6666MHz(PC5-53300) DDR5 메모리를 장착할 수 있다. 더불어 M.2 슬롯 3개, SATA 슬롯 4개를 제공해 저장 장치에 대한 확장성을 보장한다. 네트워크 칩셋은 기존 1GbE 랜보다 2배 이상 빨라진 2.5GbE 랜으로 업그레이드되었으며 하이엔드 오디오 커패시터를 통해 더 현실감 넘치는 사운드 환경을 구성할 수 있다.
|
G.SKILL DDR5-6000 CL36 TRIDENT Z5 RGB J 패키지 (32GB(16Gx2)) 225,004원 |
G.SKILL DDR5-6000 CL36 TRIDENT Z5 RGB J 패키지는 6000MHz 클럭으로 작동하고, CL36-36-36-96의 램타이밍, 1.35V의 전압으로 작동하는 메모리다. 히트싱크를 유선형 곡선으로 처리된 고급 알루미늄으로 마감했고 블랙 컬러에 맞춰진 헤어라인 패턴과 스트립의 조화가 특징이다. 1비트 단위의 오류도 실시간으로 해결하는 ODECC(On-Die Error Correction Code)기술로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장하고 메모리 자체에 내장한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기술로 저전력으로도 높은 효율의 성능을 보여준다.
|
PentaWave Z06D (BLACK) 59,630원 |
PentaWave Z06D는 Non-RGB 모델로 바디 전체에 로고 없이 블랙 코팅되어 제품의 일체감을 주는 CPU 쿨러다. 고급스러운 디자인은 물론 무게감 있는 바디 구성으로 고사양 팬에 들어가는 MFDB 베어링을 탑재해 높은 내구성을 자랑한다. 특히 팬 작동 시 순간 모터 파워 출력을 25% 만 사용하여 소음을 최소화한 기술인 soft start PWM 기본으로 적용되어 소음 발생을 획기적으로 줄였다. 니켈로 도금된 6mm 두께 히트파이프가 총 6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고사양 시스템에 적용되는 접합 방식인 솔더링 아트 구조로 설계되어 높은 열전도율과 강력한 쿨링 성능을 가진다.
|
Seagate 파이어쿠다 530 M.2 NVMe (1TB) 169,000원 |
Seagate 파이어쿠다 530 M.2 NVMe SSD 1TB는 PCIe 4.0 x 4 인터페이스로 최대 읽기 속도가 7300 MB/s, 쓰기 속도가 6000 MB/s에 달한다. 랜덤 속도도 읽기 최대 80만 IOPS, 쓰기 100만 IOPS로 일반적인 M.2 SSD와 비교해도 상당히 빠르다. 씨게이트 E18 컨트롤러를 비롯해 3D 낸드 방식의 TLC를 탑재해 안정성과 신뢰도, 내구성을 모두 잡은 것도 특징이다. SSD의 수명을 나타내는 TBW가 1275TB, MTBF가 최대 180만 시간으로 무척 길어 장시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
마이크로닉스 WIZMAX 1050W 80PLUS PLATINUM 풀모듈러 ATX 3.0 (PCIE5) 279,000원 |
마이크로닉스 WIZMAX 1050W 80PLUS PLATINUM 풀모듈러 ATX 3.0 (PCIE5)는 부하 구간에 따라 89~92% 이상 효율을 구현해야 획득 가능한 80 플러스 플래티넘(80 PLUS PLATINUM) 인증을 받았다. 같은 출력 용량이라도 PC 시스템을 더 효율적으로 운용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극한 환경의 전기 제품에 인가되는 높은 입력 전압 변동을 견딜 수 있도록 프리볼트(Free Voltage) 설계까지 적용했다. 프로세서와 그래픽카드 등 PC 주요 부품이 요구하는 +12V 전압을 안정적으로 출력하는 2세대 GPU-VR(GPU-Voltage Regulation) 기술도 빠짐없이 적용됐다. 제품에 따라 ±0.3~±0.4% 수준 전압변동률로 칼 같은 +12V 출력을 유지함으로써 부품 작동 및 오버클럭 안정성 확보에 도움을 준다.
|
앱코 SUITMASTER P3000 제우스 ARGB (화이트) 105,000원 |
앱코 SUITMASTER P3000 제우스 ARGB 화이트는 스마트쿨링 2.0으로 더욱 뛰어난 쿨링 퍼포먼스를 제공하는 PC 케이스다. 스마트 쿨링 2.0은 PWM 신호를 활용한 자동 팬 속도 조절 기능을 보급형 케이스의 DC방식 번들 팬에서도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발한 기술이다. 전면과 양 측면을 풀 메쉬 디자인으로 마감했고 지오메트릭 패턴을 더해 제우스 시리즈의 통일감을 준 것이 포인트다. 기본으로 제공되는 140mm의 팬은 5V 3Pin 연결이 가능해 메인보드의 ARGB 기능과 연동된다. 양 측면 여닫이 방식으로 강화유리와 우측면 스틸 패널을 도어 타입으로 열고 닫을 수 있다.
|
알파스캔 AOC 27G2SP 게이밍 165 프리싱크 무결점 299,000원 |
1080p(FHD) 해상도를 테스트한 모니터는 알파스캔 AOC 27G2SP 게이밍 165 프리싱크 무결점이다. 어댑티브 싱크(AMD 프리싱크) 기술을 적용해 화면 끊김이나 테어링 현상을 막아주고, 165Hz의 고주사율, 응답속도 1ms(MPRT)로 게임에 최적화한 스펙이다. sRGB 122%, DCI-P3 97%의 색재현율로 색감도 우수하고, HDMI 2개, DP 1개 등 여유 있는 포트 구성으로, PC와 콘솔 게임기를 함께 사용하기도 좋다. 기본 제공 스탠드는 피벗, 엘리베이션, 스위블, 틸트가 모두 가능해 활용도가 높다.
|
알파스캔 AOC Q27G2SD 게이밍 IPS 170 QHD 프리싱크 HDR 400 무결점 468,990원 |
1440p(QHD) 해상도에서 테스트한 모니터는 알파스캔 AOC Q27G2SD 게이밍 IPS 170 QHD 프리싱크 HDR 400 무결점이다. 2560*1440 픽셀 해상도에 최대 170Hz 고주사율과 반응속도 1ms(MPRT 기준)을 구현했다. AMD 프리싱크 프리미엄, 엔비디아 지싱크 호환(공식 인증)을 모두 지원하므로 그래픽카드 종류와 무관하게 사용할 수 있다. VESA DisplayHDR 400 인증을 받았고, 색상 영역 sRGB 126%, DCI-P3 99%, Adobe RGB 106%로 작업용 모니터의 역할도 가능할 정도의 색 정확도를 지녔다. 연결 포트와 스탠드 구성은 위 제품과 동일.
|
알파스캔 AOC U34G3X 게이밍 144 울트라와이드 WQHD 프리싱크 HDR 무결점 604,640원 |
점차 점유율이 늘고 있는 21:9 울트라 와이드 해상도도 별도로 테스트 했다. 알파스캔 AOC U34G3X 게이밍 144 울트라와이드 WQHD 프리싱크 HDR 무결점은 3440*1440 픽셀의 평면 34인치 울트라 와이드 게이밍 모니터이며, 최대 주사율 144Hz, 반응속도 1ms, HDR 10 및 Delta E<2 의 우수한 색 정확도를 지녔다. 프리싱크 프리미엄 & 지싱크 호환으로 그래픽카드 종류와 무관하게 화면 끊어짐을 방지하고, 다양한 게이밍 특화 기능과 모드를 제공해서 게임의 결과를 더 좋게 이끌어낸다. 스피커를 기본 탑재했고 USB 허브 기능이 있어서 주변기기 연결도 더 편리하다.
|
알파스캔 에이건 AGON 274UXP 나노IPS 4K HDR600 프리싱크 160 무결점 836,530원 |
2160p(4K UHD) 해상도에서의 테스트는 알파스캔 에이건 AGON 274UXP 나노IPS 4K HDR600 프리싱크 160 무결점을 이용했다. 고급 패널인 나노 IPS 패널을 적용했고 해상도는 3840*2160 픽셀이다. DSC 기술로 해상도나 크로마 품질 손실 없이 최대 160Hz의 고주사율을 지원, AMD 프리싱크와 엔비디아 지싱크 호환(G-Sync Compatible 공식 인증)되며, HDR 600과 10bit(8bit+FRC) 색상 영역을 지원해 화질 면에서도 최상급 모니터다. DP 외에도 HDMI 2.1 단자를 별도로 2개 지원해 콘솔 게임기 연결도 간편하다. USB Type-C를 포함한 총 5개의 USB 포트를 갖춰서 주변기기 연결과 충전도 편리.
테스트는 디아블로4 초반 네베스크 근처에 있는 인스턴트 던전, '잊힌 기록보관실'을 돌아 입구부터 마지막 보스 처치까지 평균 FPS와 1% LOW 값을 기록했다. 아직 베타 버전이라 서버가 불안전하기 때문에 다른 유저들이 함께 표시되는 위상이나 대도시, 필드 맵의 FPS 값은 측정하지 않았다. 인스턴트 던전 한 바퀴를 도는데 약 10분 정도 소요되었고, 디아블로 4와 FPS 기록을 위한 MSI Afterburner 이외엔 다른 애플리케이션은 실행하지 않았다. 또한, 서두에 언급한 것처럼 Ray-Tracing과 DLSS는 모두 비활성화 상태에서 측정한 값이다. 수직 동기화(V-Sync)도 비활성화했다.
RTX 3060의 가능성
2023년 현재, 엔비디아 계열 그래픽카드의 최고봉은 RTX 40 시리즈다. 하지만, 높이 책정된 출시 가격에 구입을 망설이는 유저들이 아직도 많다. 예전 RTX 30 시리즈가 그만큼 가성비 면이나 성능이 정말 만족스러웠다는 말이다. 물론, 그것도 다 '채굴러시' 이전 얘기지만.
디아블로4 얼리액세스 베타 버전에서도 RTX 3060과 3060 Ti은 WQHD까지는 충분히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FHD 해상도에서는 테스트 대상 그래픽카드 중 최하 기종인 RTX 3060이 풀옵션에서 157 프레임으로 측정되었다. 비록 RTX 4090과는 거의 2배 차이가 났지만, 144Hz, 160Hz FHD 게이밍 모니터 환경에서 충분히 구입 가치가 있음을 증명한 셈이다. 또한, QHD, WQHD 해상도에서도 최소 75 프레임 이상을 보여주어 디아블로 4를 위해 굳이 RTX 40으로 무리수를 두며 넘어가지 않아도 될 것 같다.
콘솔보다 PC로?
이번 디아블로 4 얼리액세스 베타는 크로스 네트워크 시스템을 도입해 다른 플랫폼 유저와 함께 플레이가 가능하다. 가령 플레이스테이션 5 유저와 PC 유저가 함께 파티를 이루어 던전을 돌거나 필드 보스 레이드에 참여할 수 있다는 말이다.
하지만, 6월 정식 출시될 디아블로 4는 PC 플랫폼으로 즐기는 게 더 괜찮지 않을까 싶다. 이제 PC에도 게임 패드를 연결해 구동시킬 수 있고, 디아블로 4에서도 완벽히 지원한다. 그리고 4K UHD 환경이 아니라면 RTX 3060, 3060 Ti도 충분히 게이밍 모니터의 고주사율을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여러모로 PC 환경이 유리해 보인다.
21:9 해상도의 재발견
과거 디아블로2 : 레저렉션은 멀티플레이 환경의 형평성과 밸런스를 고려하여 21:9 해상도 지원을 유보한 바 있다. 하지만, 이번 디아블로 4 얼리액세스에서는 WQHD 3440 x 1440 해상도를 지원했다. 앞서 말한 플랫폼 간 PVP나 경쟁 관련 콘텐츠때문에 이 또한 정식 출시 전 유보될 수도 있겠으나, 게임상 '원소술사'같은 원거리 딜러 캐릭터를 플레이할 때 상당히 쾌적하고 유리했기 때문에 21:9 해상도가 유지될 가능성은 클 것이다.
디아블로 4가 2023년 마지막 PC 게임 호재라는 말도 있다. 그만큼 사이버펑크 2077 이후 폭발적인 PC 업그레이드 수요가 뜸했던 게 사실이다. 하지만, 과거와는 달리 디아블로 4 얼리액세스 베타 테스트에서는 4K UHD 환경을 제외하면 구형 RTX 30 시리즈로도 충분히 즐길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나 오히려 와이드 모니터나 게임 패드 시장이 반사이익을 얻지 않을까 생각된다. 아직 베타 테스트 기간이기 때문에 정식 출시 버전에서의 변화는 추정하기가 어렵다. 아무쪼록 유저들이 진정 원하는 방향으로 최적화되어 '님폰없' 사건 이후 나락으로 떨어진 디아블로 IP의 롱런이 이어졌으면 하는 바람이다.
기획, 편집 / 다나와 정도일 doil@cowave.kr
다나와 송기윤 iamsong@cowave.kr
(c) 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www.danaw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