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윈도우10 에서 코어 울트라5 225F 프로세서의 게이밍 성능은 어떨까?

2025.07.24. 14:45:41
조회 수
199
11
댓글 수
2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2025년 최근 컴퓨터 분야는 적지 않은 변화의 기로에 서있다.  개인용 테스트탑의 경우는 AI 를 지원하는 프로세서 및 프레임 제네레이션을 필두로 하는 그래픽카드로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소프트웨어 부분에서 지금까지 사용할 수 있었던 윈도우10 이 공식적인 업데이트를 중단하고 단종 수순으로 넘어가 사실상 윈도우11로 강제하게 되었다.  윈도우10 의 경우는 아직도 많이 사용하고 있는 운영체제로 일반적인 사무환경, 가정용 뿐만 아니라 다양한 버전으로 산업용 PC 로도 사용되고 있는 운영체제다.  문제는 이 윈도우10 상에서 실행되어야 하는 추가적인 소프트웨어가 있다면 강제적으로 윈도우11로 넘어갈 수 있는 환경아 아닐 확률이 높기 때문에 기업내에서는 여러가지 고민들이 있을 듯 하다. 


가정용 특히나 개인 PC 등의 경우는 어떨까?  아무래 가정에서 사용하는 개인용 컴퓨터들의 경우는 부담이 덜하긴 한데 그 이유는 특별한 소프트웨어 환경보다라는 지금 개인적으로 즐기는 게임들의 호환성적인 측면을 고민하게 될 듯 한데 게임 환경들을 특히나 최근에 출시된 대작 AAA 급 게임들은 윈도우10, 윈도우11 환경에서는 그렇게 큰 문제가 없다.   하지만 최근 출시된 코어 울트라 프로세서는 윈도우10 에서 사용이 가능할까?  지금 가장 저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코어 울트라5 225F 프로세서와 H810 칩셋 메인보드로 윈도우10, 윈도우11 환경을 만들어서 게임의 프레임 테스트를 해보려고 한다.  그 전에 오늘 테스트로 사용된 메인보드는 아래와 같다. 


ASUS PRIME H810M-A 코잇 




▲ 간략 스펙 : 인텔 H810/인텔(소켓1851)/DDR5/VGA 연결: PCIe4.0 x16/M-ATX (24.4x24.4cm)/전원부: 6+1+1+1페이즈/[메모리] 6400MHz (PC5-51200)/2개/메모리 용량: 최대 128GB/XMP/ [확장슬롯] PCIe버전: PCIe4.0/PCIex16: 1개/PCIex1: 1개/ [저장장치] M.2: 2개/SATA3: 4개/M.2 연결: PCIe4.0, NVMe/ [후면단자] HDMI/DP/USB3.x 10Gbps/USB 2.0/RJ-45/오디오잭/PS/2/ [랜/오디오] 유선랜 칩셋: Intel/1Gbps/RJ-45: 1개/M.2 Key-E(모듈별매)/오디오 칩셋: Realtek/7.1채널(8ch)/ [내부I/O] USB/팬 헤더: USB3.0 헤더, USB2.0 헤더, USB3.0 Type C 헤더, ARGB 5V 3핀 헤더/시스템팬 4핀: 2개/I/O 헤더: TPM 헤더, 프론트오디오AAFP 헤더, COM포트 헤더, S/PDIF OUT 헤더/ [특징] DrMOS/전원부 방열판/UEFI






▲ ASUS PRIME H810M-A 메인보드는 인텔의 코어 울트라 프로세서 소켓인 LGA1851 를 지원하며 표준 24핀 커넥터와 12V 8핀 커넥터 하나로 이루어진다.  전원부는 전체 9페이즈 구조이며 하이-로우 모스펫으로 구성되었다.  메인보드의 방열판의 경우는 프로세서의 Vcore  전압을 담당하는 부분만 적용되어 있다. 



 

▲ ASUS PRIME H810M-A 메인보드에는 2개의  M.2 2280 슬롯을 갖고 있는데 프로세서의 PCIe 레인에 연결되는 첫번째  M.2_1 은 경우는 Gen4 x4  규격까지 만을 지원한다.  이 부분과 동일하게 그래픽카드의 PCIe 슬롯의 경우도 4.0 16배속 만을 지원한다.  그리고 추가적인 M.2 2280 슬롯은 H810 칩셋에 직결되는 Gen4 x2 속도를 지원한다.


M.2_1, M.2_2 의 속도 차이 (마이크론 크루셜 T500 Gen4 x4 2TB)



▲ ASUS PRIME H810M-A M.2_1 속도 (PCIe Gen4 x4)  



▲ ASUS PRIME H810M-A M.2_2 속도 (PCIe Gen4 x2) 


최근 Gen4 x4 를 지원하는 SSD의 경우 연속 읽기 및 쓰기 7,000MB/s 내외의 속도를 갖는데 테스트로 진행된 크루셜 T500 2TB 모델은 프로세서의 직결되는 M.2_1 슬롯은 스펙에 맞는 성능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M.2_2 슬롯은 Gen4 x2 스펙 만을 지원하는데 동일한 T500 를 장착 간단한 테스트를 해보게 되면 Gen4 x2 스펙은 Gen3 x4 에 해당되는 속도 정도를 낸다.  굳이 Gen4 x4 규격을 지원하는 SSD를 두번째 M.2_2 슬롯에 장착해서 사용하진 않겠지만 운영체제가 설치되는 SSD는 꼭 첫번째 M.2_1 슬롯에 장착하길 권한다. 





▲ ASUS PRIME H810M-A 메인보드에는 에이수스의 스틸 슬롯이 적용되어 있으며 그래픽카드의 설치 및 제거를 위한 힌지 부분은 그래픽카드의 두께에 가리지 않도록 오른쪽 부분 만이 커져있는 PCIe 슬롯이 적용되었다.  앞서 설명을 했지만 그래픽카드의 연결은 PCIe 4.0 16배속 까지만을 지원한다. 






▲ ASUS PRIME H810M-A 의 사운드 코덱은 리얼텍의 ALC897 이 랜 컨트롤러는 인텔의 1Gbps 지원 I219-V 칩셋이 사용되었다.  ARGB 를 지원하는 수냉 쿨러 혹은 팬을 연결하기 위한 5V ARGB 핀 헤더는 총 3개를 제공한다.



▲ ASUS PRIME H810M-A IO 쉴드는 인텔의 내장 그래픽코어를 위한 HDMI,  디스플레이 포트 하나씩을 지원하는데 코어 울트라 "F" 시리즈의 경우는 내장 그래픽코어가 없으므로 이 포트를 사용할 수 없다.  USB  포트는 총 6개를 지원하며 USB 2.0 포트 4개, USB 3.2 Gen2 포트는 2개 지원한다.



 

■ ASUS PRIME H810M-A 바이오스 보기 





▲ ASUS PRIME H810M-A 의 최신 바이오스는 1407 버전이며 바이오스 업데이트를 위해선 에이수스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딩 받은 "zip" 확장자를 통째로 USB 메모리에 넣어서 업데이트를 해주어야 바이오스 및 ME 펌웨어가 업데이트가 된다.  에이수스 메인보드의 기본적인 UI 구성인 이지모드 및 어드밴스드모드를 지원한다.   마지막으로 게이밍 메모리는 XMP 3.0  DDR5-64000 까지 지원하며 듀얼 채널 구성시 최대 128GB 까지 확장이 가능한데 예전 세대 혹은 그 전세대에서  H 시리즈 칩셋 메인보드에서 유독 XMP 지원 메모리를 인색할 정돌 지원하지 않았는데 이번 H810 칩셋 메인보드들은 모두  DDR5-6400 를 지원해, 게임시 조금 더 높은 프레임을 제공한다.





▲ ASUS PRIME H810M-A 메인보드, 엄밀하게 최근 에이수스 메인보드들은 모두 VMD 옵션을 활성화 되어 있는데 가능하면 이 옵션은 비활성화 (Disable) 하는 것이 좋으며 그래픽카드와 연결되는 Gen4 16배속 슬롯의 PCIe 세대 설정을 할 수 있다.  위 옵션에선 Gen5 까지 선택 옵션을 제공하나 이 모드로는 작동되지 않는다.  기본값이 "AUTO"를 설정하게 되면 그래픽카드의 PCIe 지원 부분에 맞게 자동적으로 선택된다. 



▲ ASUS PRIME H810M-A, 에이수스 메인보드에서 이번 인텔 코어 울트라 세대 메인보드로 들어가면서 메인보드에 장착되어 있는 모든 주변기기들을 한번에 볼 수 있으며 녹색으로 표시되는, 장착된 제품을 클릭하게 되면 해당 제품에 맞는 옵션을 쉽게 설정할 수 있다. 


윈도우11, 윈도우10 게이밍 벤치마크 셋업 


● 프로세서 : 인텔 코어 울트라5 225F 

● 메모리 : 팀그룹 T-FORCE DDR5-6400 16GB x2 (XMP 3.0 지원)

● 그래픽카드 : 엔비디아 지포스 RTX 5060, 5050 / 라데온 RX 9060 XT 8GB 3종


● 스텔라 블레이드 - FHD, QHD 프레임 테스트 




▲ 인텔 Reserved Device -> Intel NPU Boost 드라이버 및 코어 울트라5 225F 프로세서 드라이버
 


 

▲ 인텔 H810 칩셋 윈도우10 드라이버 설치 모습  



▲ 윈도우 10  제어판에서 그래픽설정 > 하드웨어 가속 GPU 일정 예약 옵션은 활성화를 해야 게임 화질 옵션 내에서 그래픽카드들의 프레임 제네레이션이 활성화 된다.  (기본값은 비활성화이다.) 




 

우선 테스트로 진행된 총 3가지 그래픽카드들은 아무래도 FHD, 최대 QHD 해상도 정도까지 사용할 수 있는 스펙과 성능을 가진 그래픽카드다.  프레임 제네레이션을 제외한 스텔라 블레이드에서는 엔비디아 그래픽카드들의 경우는 윈도우10 환경에서 평균 프레임과 1% LOW 프레임이 살짝 높게 측정이 되었는데 오차라고 볼 수도 있는 부분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지포스 RTX 5060 에서 조금 더 차이가 있었다.  지포스 RTX 5050 에서는 오차 범위라고 볼 수 있을 정도로 그 차이가 미비했다. 


윈도우10 에서 윈도우11 그리고 코어 울트라5 225F 프로세서


마이크로소프트에서는 새로운 운영체제가 출시 되면 일부 구형 하드웨어 스펙을 지원하지 않는 방법으로 새로운 하드웨어가 빠르게 자리 잡도록 돕는다.  윈도우7 에서 윈도우10 로 넘어가면서 크게 지원이 갈렸던 부분은 USB 2.0 버전과 그 이상 USB 3.0 버전이 사용 여부였다.  특히나 이 부분은 윈도우가 설치가 되지 못하게 될 정도로 반-강제 되었다.   이번 윈도우10 에서 윈도우11에서 지원 여부가 갈리는 하드웨어는 무엇일까?  그것은 와이파이 6E, 와이파이7 등 6.0GHz 채널의 지원 여부로 갈린다.  필자의 생각으론는 이 와이파이6E, 와이파이7 지원여부는 데스크탑 영역 보다라는 모바일 영역, 즉 노트북을 위한 제한 으로 보여진다.  왜냐하면 아무래도 데스크탑 영역은 아직도 유선 인터넷 만을 사용하는 분들이 많기 때문이다. 


오늘 테스트가 된 스텔라블레이드에서 엔비디아의 지포스 RTX 50 시리즈 그리고 라데온 RX 90 시리즈는 윈도우11 환경과 프레임 비교를 해보게 되면 그렇게 크지 않은 성능 차이를 보여주었다.  엄밀하게 말하자면 오차 수준이라고 봐야 할 정도로 윈도우10 게이밍 환경이 좋은지 혹은 윈도우 11 게이밍 환경이 좋은지 우열을 가리기 힘들었다.  단지 두 가지 서로 다른 종류의 그래픽카드가 갖고 있는 프레임 제네레이션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선 윈도우11의 경우 프레임 제네레이션을 지원하는 그래픽카드를 자동적으로 알아채, 자동적 (게임-바 옵션)  으로 활성화를 해주는데 윈도우10의 경우는 앞서 설명을 했듯이 수동으로 이를 켜주어야 하며 이 옵션을 활성화 한 후에 리부팅 단계를 거쳐서 윈도우10 운영체제 환경 내에서도 프레임 제네레이션을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 윈도우11에서 프레임 제네레이션 기능을 지원하는 엔비디아 그래픽카드 혹은 라데온 그래픽카드를 사용하게 되면 이 "하드웨어 가속 GPU 일정 예약" 이 활성화 되어 있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아직까지는 윈도우10 환경에서 인텔 코어 울트라5 225F 프로세서, H810 칩셋 기반의 메인보드 마지막으로 지포스 RTX 50, 라데온 RX 90 시리즈 그래픽카드들을 모두 정상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게이밍 환경을 기준으로 윈도우10 과 윈도우 11 의 성능 차이는 오차 범위 수준이라고 정리를 할 수 있을 듯 하다. 


다행스럽다고 생각을 해야 하는 걸까?  윈도우10 환경에서 새로운 프로세서, 새로운 칩셋 그리고 새로운 그래픽카드 들도 모두 윈도우10 지원 드라이버를 정상적으로 제공,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게이밍 환경에서 그래픽카드의 성능과 안정성을 담보할 수 있는 드라이버의 경우도 엔비디아 및 AMD 가 동일한 유니폼 드라이버를 통해 윈도우10, 윈도우11 를 동시에 지원하기 때문에 그래픽카드 때문이 굳이 잘 사용하고 있는 윈도우10 환경에서 강제적으로 윈도우 11 환경으로 넘어갈 필요는 없다고 본다.   오늘의 기점으로 윈도우10 프로를 기준으로 2025-07 버전의 공식 업데이트가 나온 만큼 아직은 조금 더 윈도우10 환경을 사용하더라고 개인에게는 크게 문제가 없을 듯 하다. 


 

최신 리뷰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관련 브랜드로그

1/1
최신 벤치마크 전체 둘러보기
1/1
윈도우10 에서 코어 울트라5 225F 프로세서의 게이밍 성능은 어떨까? (2) 브레인박스
AI와 게이밍, 두 마리 토끼를 잡다! MSI 벡터 16 HX AI (3) 다나와
RTX 5080 x Ryzen AI 노트북 Razer Blade 16 R9 Zen5 (8) 다나와
이게 진짜 플래그십 노트북! MSI 레이더 A18 HX (5) 다나와
폭주하는 RTX 5080, AI에서 터졌다! MSI Vector A18 (7) 다나와
AI 워크스테이션을 노트북에 담다, MSI Titan 18 HX AI (4) 다나와
라데온으로 보는 이브의 뒤태. 스텔라 블레이드 벤치마크 (4) 기글하드웨어
속도·유연성·AI 최적화 3박자 삼성전자 갤럭시북5 프로360 (3) 다나와
휴대성과 균형있는 AI 연산, 삼성전자 갤럭시북4 프로 (3) 다나와
그래픽 옵션을 낮춰도 여캐는 수상할 정도로 디테일함. 1060도 풀옵 가능한 미친 최적화의 게임 #스텔라블레이드 (2) 동영상 있음 다나와
대화면과 라이젠 AI의 실속형 조화, ASUS 비보북 S 16 (4) 다나와
이 게임이 얼마나 여자 캐릭터에 진심인지 확인하세요. 스텔라 블레이드 모든옵션/역대 60시리즈 그래픽카드 벤치마크 (14) 동영상 있음 다나와
쿨엔조이 AMD Radeon RX 9060XT 16GB 벤치마크 (5) 쿨엔조이
얇고 강력한 프리미엄 AI 성능을 갖춘 삼성전자 갤럭시북5 (5) 다나와
아빠 우리집 컴으로 오블리비언 리마스터 할 수 있어? '가능' 지포스 1060 2060 3060 4060 벤치마크 #오블리비언리마스터 (3) 동영상 있음 다나와
한국인에겐 차갑지만 GTX1060 에게는 따뜻한 게임 [중간계PC 60원정대 : 오블리비언 리마스터 벤치마크] (8) 동영상 있음 다나와
둠 슬레이어와 암흑기를 해쳐가자, 둠 더 다크 에이지스 VGA 4종 비교 (1) 보드나라
휴대성과 긴 배터리, 강력한 AI 성능, 초경량 에이서 스위프트 14 AI (2) 다나와
쿨엔조이 Nvidia GeForce RTX 5060 8GB 벤치마크 (5) 쿨엔조이
형 33원정대 우리 컴퓨터로 돌릴 수 있어?? 1060 2060 3060 4060 벤치마크 (2) 동영상 있음 다나와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