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수냉이 처음이라면 이거 한번 잡숴봐. MSI MAG 코어리퀴드 I360

2024.12.09. 10:33:06
조회 수
3,678
20
댓글 수
9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DSC03313.JPG

 

이 글을 준비하면서 일체형 수냉 쿨러를 고르기가 참 어렵다는 걸 깨달았습니다. 우선 다나와에 등록 된 제품의 수가 410개, 그 중에는 구형이 됐거나 단종된 제품도 섞여 있겠지만 어쨌건 적지 않은 숫자고요. 그 중에서 괜찮은 제품을 골라야 하는데 싸게는 7만 원도 안 하는 제품부터 시작해서 비싸게는 50만 원에 육박하는 물건도 섞여 있더라고요. 이런 상황에서 비싼 게 당연히 좋을 거라는 소리는 가장 도움이 안 되는 말일 겁니다. 그런 논리대로라면 다 강남 아파트에 살면 됐지 뭐하러 어디 이사갈지를 고민하나요? 수냉 쿨러를 볼 줄 아는 분들이야 아무리 제품이 많아도 소신껏 정하면 되니 문제 될 게 없겠지만, 수냉 쿨러가 처음이라서 어떤 제품이 좋은지를 모른다면 MSI MAG 코어리퀴드 I360를 한번 주목해 보시라고 감히 말씀드려 봅니다. 

 

위에서 가격 이야기를 했으니 가장 먼저 가격부터 봅시다. MSI MAG 코어리퀴드 I360의 가격은 13만 원 중후반이네요. 가장 싼 3열 수냉 쿨러까지는 아니어도 부담되지 않는 가격대임에는 분명하지요. 가격만큼이나 중요한 성능은 듀얼 챔버 펌프 설계에 대형 구리 플레이트를 조합하고 12열 라디에이터로 전달된 열을 식혀주는 최대 풍량 70.7CFM의 고성능 팬으로  확보했고요. ARGB LED가 달린 쿨링팬과 더불어 듀얼 사이드 인피니트 미러 디자인의 워터블럭으로 화려한 시스템을 구성합니다. 하지만 MSI MAG 코어리퀴드 I360의 진정하는 가치는 가성비나 디자인이 아니라 다른 곳에 있습니다. 통합 브라켓에 쿨링팬을 기본 장착해 조립이 쉽고, 팬 케이블 커버가 있어 케이블을 가려주고요. 부품을 깔끔하게 구분한 포장을 도입해 관리가 편합니다. 또 밀봉된 LDB 유체 베어링이 탑재된 쿨링팬 덕분에 그 어떤 수냉 쿨러와 비교해도 정숙한 시스템을 만들 수 있습니다. 

 

DSC03310.JPG

 

 

제품명

MSI MAG 코어리퀴드 I360

소켓 호환

인텔: LGA 1851/1700/115x/1200

AMD: AM5/AM4

라디에이터 크기 394x125.6x52.6mm(쿨링팬 기본 장착)
라디에이터 재질 알루미늄
튜브 구조 EDPM 재질, 3겹 그물망 플라스틱, 메시 커버, 3레이어 구성
튜브 길이 400mm
워터블럭 크기 74x69.1x62.45mm
워터블럭 특징 ARGB LED 탑재 
유니 브라켓
워터블럭 구조 마이크로 채널 구리 플레이트
펌프 디자인 듀얼 챔버 펌프
펌프 전류 3.96W 0.33A
펌프 속도 3400rpm
펌프 수명 5만 시간
펌프 소음 20dBA
펌프 연결 커넥터 4핀 PWM
라디에이터 쿨링팬  LDB 베어링 팬
라디에이터 쿨링팬 크기 120x120x25mm
라디에이터 쿨링팬 수 3개
라디에이터 쿨링팬 회전 속도 최대 2350rpm
라디에이터 쿨링팬 풍량 최대 70.7CFM
라디에이터 쿨링팬 풍압 최대 3.651mmH2O
라디에이터 쿨링팬 소음 최대 32.8dBA
라디에이터 쿨링팬 전력 2.4W
라디에이터 쿨링팬 연결 커넥터 4핀 PWM
케이블 길이

5V ARGB 550mm, 4핀 PWM 500mm

팬 케이블 커버 제공

색상

블랙, 화이트

참고 블랙: https://prod.danawa.com/info/?pcode=67576196
가격 블랙: 133,700원(2024년 11월 다나와 최저가 기준)

 

 

고급 케이스에서나 보이던 그 포장이

 

DSC03311.JPG

 

일체형 수냉 쿨러를 많이 다뤄 봤다고 생각했는데 아무 생각 없이 포장을 열어보고 당황했습니다. 오히려 일체형 수냉 쿨러를 많이 다뤄 봤기에 당황했던 것 같기도 합니다. 우선 쿨링팬이 라디에이터에 달려 나옵니다. 쿨링팬을 하나하나 방향을 맞춰서 라디에이터에 조립할 필요가 없을 뿐더러, 케이블까지 가지란히 정리되어 하나의 케이블로 합쳐져 있기에 조립할 때 필요한 작업이 줄어들고 보다 깔끔한 시스템을 만들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인텔과 AMD의 모든 시스템을 지원하는 브라켓이 워터블럭에 기본적으로 탑재되어 있으니 어떤 부품을 고를지 뒤져보는 번거로움이 줄어들었습니다. 그래서 조립할 때 필요한 부품의 수가 많지 않으며, 그마저도 재포장 가능한 플라스틱 케이스 안에 포장되어 있습니다. 작은 비닐 봉지를 썼던 기종의 포장 방식에선 업그레이드나 시스템 교체 후 남는 나사를 간수하기가 참 불편했는데, 이건 깔끔하게 정리 정돈이 끝나지요. 

 

워터블럭은 입수와 출수가 구분된 듀얼 챔버 펌프 구조를 도입하고, 내부에선 0.1mm 대형 미세 가공 스키빙 핀을 세운 마이크로 채널을 구성해 강력한 성능을 발휘하지만 이게 겉으로 드러나는 특징은 아니고요. CPU 히트 스프레더 위를 완벽하게 덮는 대형 구리 플레이트와, 워터블럭 위의 듀얼 사이드 인피니티 미러 디자인이 뽑내는 화려한 삼각형 RGB LED는 보는 순간 바로 체감이 될 겁니다. 쿨링팬의 크기는 120mm, 당연히 ARGB LED가 들어갑니다. 여기까지는 여느 수냉 쿨러의 팬과 다를 게 없지만 유체 베어링에서 진일보한 밀봉 방식의 LDB 유체 베어링을 사용해 소음을 줄이고 수명을 늘렸습니다. 360mm 쿨링팬에 맞춘 라디에이터는 입/출수가 분리된 12열 구성이며, 팬 케이블 커버를 옆에 달아 쿨링팬의 케이블을 가릴 수 있습니다.  

 

DSC03272.JPG

 

박스 전면.

 

DSC03273.JPG

 

박스 뒷면.

 

DSC03277.JPG

 

박스 안쪽의 QR 코드로 조립 설명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DSC03278.JPG

 

내부 구성. 

 

 

DSC03279.JPG

 

수냉 쿨러, 팬 케이블 커벌, 조립에 필요한 부품이 포장된  플라스틱 패키징이 있습니다. 

 

DSC03283.JPG

 

쿨러 본체입니다. 3개의 120mm 케이블이 라디에이터에 장착된 채로 출고되며, 케이블도 하나로 정리되어 있기에 조립 과정이 간편하고 선정리에 공을 들일 필요가 없습니다. 

 

DSC03284.JPG

 

라디에이터의 크기는 394x125.6x52.6mm로 평범한 360mm 일체형 수냉 쿨러 라디에이터와 같다고 보시면 됩니다.

 

DSC03285.JPG

 

쿨링팬까지 합쳐서 두께 52.6mm입니다. 

 

DSC03294.JPG

 

ARGB LED의 효과를 높여줄 하얀색 반투명 날개와 MSI 드래곤 엠블럼. 

 

DSC03286.JPG

 

쿨링팬의 직경은 120mm. 

 

DSC03293.JPG

 

쿨링팬의 스펙은 최대 회전 속도 2350rpm, 최대 풍량 70.7CFM, 최대 소음 32.8dBA, 최대 풍압 3.651mmH2O, LDB 베어링 탑재, 수명 3만 시간, 소비 전력 2.4W고요.

 

DSC03291.JPG

 

3개의 팬 케이블은 전부 정리가 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3개의 케이블을 하나로 연결했습니다.

 

DSC03295.JPG

 

그래서 3개의 팬이 달려 있어도 연결해야 할 케이블은 4핀 PWM 1개, 3핀 ARGB LED 1개 뿐입니다. 그마저도 한 가닥으로 정리가 되어 있으니 선정리가 편하지요.

 

DSC03282.JPG

또 쿨링팬 옆 부분을 가려주는 팬 커버를 제공합니다. 

 

DSC03280.JPG

 

이렇게 끼우면 됩니다.

 

DSC03292.JPG

 

라디에이터는 출수 6열, 입수 6열로 분리되어 있으며, 각 수로 사이에 알루미늄 핀을 구부려 넣어 공기와 접촉 면적을 넓혔습니다. 

 

 

DSC03296.JPG

 

라디에이터 끝의 호스 연결 부위와 제품 정보. 

 

DSC03300.JPG

 

이제 워터블럭입니다. 상단에는 듀얼 사이드 인피니트 미러 디자인 ARGB LED가 있고, 아래에는 유니 브라켓이 장착되어 있습니다. 

 

DSC03288.JPG

 

크기는 74x96.1x62.45mm

 

DSC03290.JPG

 

수냉 쿨러는 메인보드 위에 작은 워터블럭만 올리면 되기에, 조립이 쉽고 메인보드의 부담을 낮춰줍니다.

 

DSC03305.JPG

 

바닥은 구리 재질입니다. 

 

DSC03301.JPG

 

호스는 자유롭게 회전합니다. 

 

DSC03302.JPG

 

워터블럭 역시 한 가닥으로 정리된 4핀 PWM과 5핀 ARGB LED 케이블이 있습니다. 워터블럭의 ARGB LED에서 나온 단자에 라디에이터의 ARGB LED를 연결하면 간단하게 ARGB LED가 동기화됩니다. 

 

DSC03297.JPG

 

 

직조 호스와 직조 케이블을 사용합니다.

 

DSC03307.JPG

 

조립에 필요한 나사와 써멀, 브라켓입니다. 어떤 부품인지 친절하게 써져 있으니 헷갈릴 일이 없고.

 

 

DSC03308.JPG

 

비닐을 자르는 게 아니라 옆에서 떼어내서 부품을 꺼낸 후, 다시 붙이면 되기에 부품을 관리하기도 쉽습니다. 

 

 

쿨러 조립에서 충분한 분량을 뽑을 수가 없습니다

 

DSC03309.JPG

 

쿨링팬이 라디에이터에 달려나와, 쿨링팬 선 정리도 끝나, 그렇게 나온 케이블도 하나로 합쳐져, 워터블럭 브라켓은 골라 끼울 필요도 없어. 이러다보니 조립에 필요한 과정이 대폭 줄어들었습니다. 제가 리뷰를 쓸 때 는분량이 좀 나와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그렇다고 이걸 아쉽다고 여기진 않았습니다. 왜냐면 조립 과정이 너무나도 편했거든요. 원래대로라면 팬을 라디에이터에 하나씩 조이면서 나사를 2개 쯤 빼먹어도 되지 않을까 고민했는데 그럴 이유가 사라졌고요. 3개의 쿨링팬에서 나온 전원 케이블과 RGB LED 케이블을 합하면 모두 6개인데 이걸 어떻게 정리해야 눈에 안 보이도록 감출 수 있을지 번뇌할  필요가 없어졌습니다. 또 뭐가 인텔이고 뭐가 AMD 브라켓인지 부품을 뒤적거리는 일도 이제는 없어졌습니다. 그냥 필요한 나사를 꺼내서 조립하고, 라디에이터 옆에 팬 케이블 커버를 장착하고, 케이블은 다 합해서 딱 4개만 메인보드에 연결하면 끝납니다. 

 

인텔 플랫폼은 최신인 LGA 1851은 당연하고 기존 플랫폼인 1700/115x/1200을 모두 지원합니다. 장착 방식은 다 똑같지만 LGA 1851의 경우 업그레이드 오프셋 키트를 별도로 제공합니다. 핫스팟이 중앙에서 우측 상단으로 옮겨진 코어 울트라 200 시리즈에 맞춰서 워터블럭의 위치를 옮겨주는 것인데요. 여기에서 신청 가능합니다. https://kr.msi.com/Promotion/coreliquid-lga-1851-offset-kit-enhancer AMD는 AM5/AM4 소켓을 지원합니다. 둘 다 장착 방식은 같지만 MSI MAG 코어리퀴드 I360는 AMD 플랫폼을 위해 두 가지 장착 방식을 제공합니다. 메인보드에 기본 탑재된 쿨러 가이드를 활용하는 방식과, 쿨러 가이드를 제거하고 전용 나사를 메인보드에 장착하는 방식이죠. 둘 다 성능에 주는 영향은 없으니 편한 걸 골라서 장착하면 되겠습니다.

 

DSC03315.JPG

 

먼저 AM5/AM4 플랫폼의 조립 방법부터 봅시다. 메인보드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검은색 쿨러 가이드를 그대로 두고 조립하고 싶다면-

 

DSC03320.JPG

 

워터블럭에 고정 클립을 나사로 고정하고요.

 

DSC03321.JPG

 

쿨러 가이드에 워터블럭을 끼운 후 나사를 돌려주면 됩니다.

 

DSC03323.JPG

 

그럼 조립이 끝납니다.

 

DSC03316.JPG

 

대부분의 사제 쿨러처럼 AMD 기본 쿨러 가이드를 떼어내고 조립하겠다면-

 

DSC03317.JPG

 

AM5/AM4용 지지대를 메인보드에 고정합니다. 나사가 한쪽은 굵고 다른 한쪽은 얇은데, 굵은 쪽이 메인보드에 장착되도록 조립하면 됩니다. 더 쉽게 말하면 나사를 꽂고 돌렸을때 헛돌면 뒤집어서 끼우면 됩니다.

 

DSC03319.JPG

 

그리고 워터블럭을 올린 후, 손나사 4개로 고정합니다.

 

DSC03325.JPG

 

이제 인텔 차례입니다. 인텔은 백플레이트를 먼저 장착해야 합니다. LGA 1851과 1700의 나사 구멍 너비가 같고, 그 전에 나온 LGA 1200이나 LGA 115x 시리즈는 나사 간격을 조절해서 끼워야 합니다. 

 

DSC03326.JPG

 

백플레이트 위에 인텔 플랫폼용 기둥을 돌려 고정합니다. 이건 위/아래 구분이 없으니 아무렇게나 끼우면 됩니다.

 

DSC03331.JPG

 

워터블럭에서 보호 비닐을 떼어내고.

 

DSC03332.JPG

 

써멀을 발라주고. 

 

DSC03333.JPG

 

워터블럭을 장착하고 손나사 4개로 고정합니다.

 

DSC03334.JPG

 

그리고 케이블을 연결하고요. 

 

DSC03335.JPG

 

그럼 조립 완성입니다.

 

DSC03336.JPG

 

메인보드 위에는 비교적 작은 크기의 워터블럭만 올라가기에 케이스 호환성을 타지 않습니다.

 

DSC03338.JPG

 

DSC03340.JPG

 

또 메모리나 전원부와 간섭도 없습니다.

 

 

 

고성능 저소음에 최적화된 셋팅

 

DSC03510.JPG

 

여기에선 팬 속도와 소음, 성능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수동으로 팬 속도를 지정해서 테스트했습니다. 하지만 실제 사용에서는 팬 속도를 직접 지정하는 귀찮은 작업을 절대로 하지 말고, 자동 설정으로 두고 쓰기를 권장합니다. MSI MAG 코어리퀴드 I360는 펌프부터 쿨링팬까지 모든 구성이 저소음 작동에 맞춰서 최적화되어 있거든요. 그래서 팬 소음을 줄이겠다고 팬 속도를 낮춰봤자 효과는 크지 않고 온도만 오르는 부작용이 생기게 됩니다. 그런 복잡한 설정에 신경 쓸 필요 없이, 메인보드에서 자동으로 쿨링팬 속도를 지정하도록 설정하면 낮은 소음과 낮은 온도라는 두 마리 토끼를 확실하게 잡아줍니다. 그리고 저소음 뿐만 아니라 쿨링 성능 역시 준수합니다. CPU 성능은 몰라도 발열만 따지면 아직까지 탑급인 코어 i9-13900K를 장착하고 전력 설정을 무제한으로 풀어서 테스트해도 온도는 최고 87도, 소음은 48dB에 그쳤으며 CPU 성능 하락도 없었습니다. 

 

DSC03343.JPG

 

테스트 환경입니다.

코어 i9-13900K

MSI MAG Z790 토마호크 WIFI 

DDR5-6000 32GB 듀얼채널 

내장 그래픽

NVMe M.2 SSD

윈도우 11 24H2

실온 18도

 

DSC03513.JPG

 

라디에이터 팬과 워터블럭의 ARGB LED

 

ezgif.com-optimize.gif

 

워터블럭의 듀얼 사이드 인피니티 미러 ARGB LED

 

ezgif.com-crop (1).gif

 

쿨링팬의 ARGB LED 효과

 

Cap 2024-12-02 10-32-50-584.png

 

실사용에서는 메인보드의 자동 설정, MSI 메인보드라면 스마트 팬으로 맞춰두고 쓰길 권장합니다. 그래야 저소음 구동 팬의 효과를 100% 볼 수 있거든요.

 

아래는 바이오스 설정에서 전력 제한을 253W(번들 쿨러), 288W(수냉 쿨러), 4096W(무제한)으로 설정해서 테스트한 결과입니다.

 

Cap 2024-12-05 15-25-21-737.png

 

아이들 시 온도 

 

Cap 2024-12-05 15-26-03-236.png

 

아이들 시 팬 속도

 

Cap 2024-12-05 15-26-27-620.png

 

아이들 시 팬 소음

 

Cap 2024-12-05 15-25-34-268.png

 

풀로드시 온도

 

Cap 2024-12-05 15-26-18-020.png

 

풀로드시 팬 속도 

 

Cap 2024-12-05 15-26-37-369.png

풀로드시 소음 

 

Cap 2024-12-05 15-25-05-152.png

 

각 조건에서 시네벤치 2024 멀티 점수

 

Cap 2024-12-05 15-24-50-503.png

 

각 조건에서 시네벤치 2024 멀티 실행 시 최종 클럭 

 

 

Cap 2024-12-02 10-32-53-036.png

 

이번 리뷰에서는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팬 속도를 수동으로 지정해서 테스트한 결과도 함께 넣었습니다.

 

Cap 2024-12-05 15-26-56-402.png

 

라디에이터 팬 속도

 

Cap 2024-12-05 15-27-06-169.png

 

라디에이터 팬 소음

 

Cap 2024-12-05 15-28-04-235.png

 

4096W에서 풀로드시 온도

 

Cap 2024-12-05 15-28-13-467.png

 

4096W에서 풀로드시 클럭

 

Cap 2024-12-05 15-28-33-300.png

 

288W에서 풀로드시 온도

 

Cap 2024-12-05 15-28-43-867.png

 

288W에서 풀로드시 클럭

 

Cap 2024-12-05 15-29-01-650.png

 

 

253W에서 풀로드시 온도

 

Cap 2024-12-05 15-29-11-567.png

 

253W에서 풀로드시 클럭

 

Cap 2024-12-02 10-06-05-723.png

 

4096W 무제한 설정에서 온도 변화

 

 

MSI MAG 코어리퀴드 I360

 

DSC03312.JPG

 

가격 싸, 디자인 깔끔해, 조립 간단해, 부품 간수 편해, 성능 뛰어나, 소음 낮아. 이 정도면 단점이 없는 일체형 수냉 쿨러 아닐까요? 쉬운 조립과 더불어 제품 본체와 쿨링팬까지 모두 5년의 무상 보증 기간을 제공하니 일체형 수냉 쿨러를 처음 쓰는 초보에게 추천할 수 있고요. 고성능 저소음에 깔끔한 선정리까지 가능하니 까다로운 조건의 하이엔드 유저도 만족시킬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c) 기글하드웨어(https://gigglehd.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글하드웨어 인기글

작고 강력한 USB 메모리가... 여기 있었네? SONIZOON PSSD USB 3.1 512GB
모질라, 리브랜딩 발표
아틱 센자. 라이젠 5000G 탑재 패시브 쿨링 PC
X3D의 잠재 능력을 끌어낸다. MSI MPG X870E 카본 WiFi
이젠 가성비의 7500F에서 정상화의 9600X로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관련 브랜드로그

1/1
최신 전문가 리뷰 전체 둘러보기
1/1
게임, 작업, 내구성, 휴대성, 다 잡아버림...MSI 사이보그 15 A13VF (SSD 512GB)[노리다] 동영상 있음 다나와
플라스틱 기계식키보드 최고의 스위치는 뭘까? 독거미 AULA F99 + 스위치 42종 타건음 비교 (42 switches Typing sound with Aula F99) (1) 동영상 있음 다나와
화려함과 오버클럭, 둘 다 잡는다. 팀그룹 T-Force DDR5-6400 CL32 XTREEM ARGB (1) 케이벤치
GV70 Electrified 보고 왔습니다 동영상 있음 오토기어
비교불가 화질! 삼성 퀀텀닷 OLED 패널 게이밍 모니터 끝판왕! [프리미엄 리포터V] 동영상 있음 다나와
(4K) [리뷰] 풀배열 F108 독거미 AURA 기계식키보드 한국출시 실사용 리뷰 | 타건영상 있음 동영상 있음 진블로그
이거 완전 미친 로청 아냐;;;; 로봇 팔을 달아 버린 로보락의 신제품 (2) 동영상 있음 UnderKG
도파민 폭발 후 밀려오는 허무감, 문명 7 체험기 (1) 게임메카
ASUS B860M AYW 게이밍 메인보드 언박싱! 245K 게임 테스트 까지 (1) 동영상 있음 잘컴TV
탑티어 게이밍 헤드셋 중 하나, 커세어 버츄오소 MAX 와이어리스 #무선헤드셋 동영상 있음 DmonkTV
극강의 퍼포먼스와 화질을 모두 갖춘 플래그십 OLED 모니터 LG전자 울트라기어 32GS95UV (1) 쿨엔조이
색감이 좋은 강력한 게이밍 모니터 LG전자 울트라기어 32GS85Q!! 동영상 있음 쿨엔조이
심플하고 컴팩트한 어항 케이스가 왔습니다. darkFlash DB330X RGB 강화유리 (2) 쿨엔조이
스타일 고급지고 성능도 좋고! ADATA DDR5-6400 CL32 LANCER BLADE RGB 화이트 32GB 패키지 서린 써보니 위클리포스트
(4K) [리뷰] 국내 최초 라이카 스마트폰 샤오미14T 출시, 미리 사용해본 리뷰와 경험후기 (1) 동영상 있음 진블로그
작고 가벼운 컬러플 마우스, 한성컴퓨터 M5 Nano OfficeMaster 3모드 초경량 사무용마우스 노트포럼
오늘 나온 롯데리아 X 나폴리 맛피아 버거 동영상 있음 맛상무
안정성과 편의성 한층높인 국민 메인보드, MSI MAG B860M 박격포 WIFI 노트포럼
길쭉해져요 진짜 팔겠다는 레노버의 미친 상소문.. 아니 롤러블 노트북 (1) 동영상 있음 UnderKG
샤오미 14T, 이정도면 라이카 똑딱이 수준은 되는거 아닌가요? (Xiaomi 14T) (5) 동영상 있음 고나고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