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기 노트북 구매가이드 2편
(게이밍 고사양 작업편)
게임도 아주 잘 되고, 무게도 가벼운 노트북을 원하시나요?
안타깝지만, 아직 그런 제품은 없습니다.
향후 23년 하반기에 인텔 14세대 CPU에서는 내장그래픽 성능을 크게 향상시키고,
지금 AMD 680M 내장 그래픽 성능이 1050과 비슷한 성능이 되었지만,
AAA급 게임이 부드럽게 돌아가기는 아직 어려운 상황이네요.
아직은 무겁지만 성능 좋은 게이밍 노트북이나, 데스크탑을
구매 할 수 밖에는없는 상황입니다.
지난 20년 ~21년간은 그래픽카드를 구하지 못해 어쩔수 없이
게이밍 노트북을 구매하신 분들도 있구요.
그러면 데스크탑이 더 좋지 않냐구요?
내구성이나 수리편의성 등을 생각하면 맞는 얘기지만,
장기 지방/해외 파견 근무 혹은 내 방없는 유부님들~
지방에서 올라온 자취생님들의 경우 공간 여건상 데탑대용
고사양 노트북이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모두가 같은 환경일 수는 없으니까요~
[우선 중요하게 생각할 것들은 무엇일까요?]
성능이 높다보면 한번에 이동할 수 있는 편의성만 갖추면 되기에,
휴대성은 깔끔하게 포기합니다.
붕붕이가 있다면 더욱 유리하고,
허니문이라면 캐리어가 있으니 더욱 좋습니다.
[어떤 사양으로 준비해 볼까요?]
H급(고성능 45W이상) 에서 인텔은 I7급 / AMD 라이젠 7
급을 일단 선택하세요.
데스크탑 성능과 거의 대등하거나 최소 인텔 12400F나 AMD 5600X급과는
유사한 성능을 낼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입니다.
벤치 점수는 제품에 따라 편차가 있으니 참고용으로 보세요~
게임 성능과 직결되는 GPU는 칩셋과 TGP를 꼭 같이 봐야합니다!!
사이버 펑크를 예를 들어 보면
FHD 기준으로 게임옵션을 낮음>보통>높음>울트라 4단계로 설정시
GPU 칩셋별 평균 프레임은아래와 같습니다.
여기서 QHD로 해상도가 변경된다면 그래픽 옵션을 2단계
더 내려야 평균 60프레임으로 진행이 가능할 듯 합니다.
하지만 노트북의 경우 GPU 칩셋만 고르는 것으로는 부족합니다.
TGP (Total Graphic Power) : 최대설계전력이 굉장히 중요합니다.
같은 칩셋이라도 TGP에 따라 성능차이가 많이 좌우됩니다.
3080이라도 TGP가 낮으면 3060 칩셋에 성능이 밀리기도 합니다.
TGP가 표기된 다나와 TGP 범위는 아래와 같습니다.
그외 확인해야할 사항은 아래와 같습니다.
감내해야 할 사항 : 소음과 발열!!!
게이밍 노트북은 고사양 HW를 한곳에 우겨넣은 만큼
제조사의 설계 / 생산능력에 따라 소음과 발열등의 차이가 큰 편입니다.
데스크탑에 비해 수명이 짧은 이유도 그 때문이구요.
이 부분은 구매전 각 제품의 구매후기 등을 잘 확인해봐야 합니다.
[관련 옵션을 다 확인하기가 힘드시죠?]
아래 버튼을 클릭하면 기본 사양이 선택됩니다.
다나와 게이밍 노트북 섹션에서는 GPU와 TGP 범위 처리를 진행하였습니다.
GPU를 고른 후 TGP 범위로 빠르게 제품을 찾아보세요.